•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 현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2-47)

최근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87%가 회사 내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 고 있으며 그 가장 큰 원인은 과도한 업무량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리크루팅 업체인 잡코리아에 따르면 2007년 12월 12일 자사회원 직장인 1천127명을 상대로 '직무 스트레스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87.8%가 ‘직무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복수응답)로 '과도한 업무량 '(48.3%)을 가장 많이 지적했고, ‘회사와 자신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비전 '(44.0%)이 2위에, ’업무에 따르는 책임감'(38.5%), ‘타사에 비해 뒤떨어진 복리후생'(34.2%), ’성과에 비례하지 않는 급여'(23.4%), ‘상사와의 관계 '(18.6%), '동료나 부하 직원과의 대인관계'(15.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39.8%는 직무 스트레스로 회사를 그만 둔 경험이 있 는 것으로 응답했다.

이밖에 직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응답자들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 한 방법으로 ‘술이나 담배'(43.7%), ’운동 등 취미생활'(23.0%), ‘직장 동료와 대화'(12.8%), ’친구ㆍ가족과 대화'(11.5%) 등을 꼽았다.

1997년 외환위기 이전 우리나라 성인에게 있어서 가장 큰 스트레스 원인은

12) 상게서, p. 24.

순 위 2007년 사망률 1 악성 신 생물(암)-Malignant Neoplasm 137.5 2 뇌혈관질환-Cerebrovascular Diseases 59.6

3 심장질환-Heart Diseases 43.7

4 자살-Intentional Self-harm 24.8 5 당뇨병-Diabetes Mellitus 22.9 6 운수사고-Transport accidents 15.5 7 만성하기도질환-Chronic Lower Respiratory Diseases 15.3 8 간질환-Diseases of Liver 14.9 9 고혈압성질환-Hypertensive Diseases 11.0

10 폐렴-Pneumonia 9.3

가족문제(23.2%),경제난(12.8%),인간관계(14.3%)순 이었으나 외환위기이후 에는 직장생활(34.1%),경제난(25.7%),인간관계(13.4%)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조조정,고용조정,퇴출불안 등의 직무상황의 변화가 복잡한 스트레 스원을 야기 시킨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에 관련하여 노동부는 2002년 “업무상 재해 인정범위”

를 크게 확대하여 산재보상보험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개정하였다.

그 동안 업무상 재해범위에 포함되지 않았던 기업의 구조조정에 따른 스트 레스로 발병한 우울증이나 적응장애 등 정신과적 질환도 업무상 재해로 인정 하고,사인이 불분명하더라도 직무와 관련된 상당 인과관계가 입증되고 업무 상 과로사로 판단되면 산재보상혜택을 주기로 했다.

2007년 우리나라의 사망자 중 암(악성신생물)으로 인한 사망자가 인구 10 만 명당 137.5명으로 사망원인 순위 1위로 나타났다.그 다음은 뇌혈관질환과 심장질환 요인이었다.

Gibson에 의하면 미국 전체 사망자 중 38%가 심장병에 의한 사망인데,심 장병원인의 75%가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 보고된 질병들이 [표2-6]과 같이 사망원인 중 높은 순위를 나타나고 있다.

[표 2-6]2007년 사망자의 사망원인 순위 (단위:인구10만 명당-통계청)

연령별 남녀 사망률 비율을 보면 스트레스 증상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40

대 남자사망률이 여자사망률의 3.0배로 가장 높고,다음이 50대 2.9배,30대 2.4배 순이다.

남자의 간질환 사망률이 여자의 9.0배,운수사고가 3.9배,자살이 3.1배,뇌 혈관질환이 2.4배,암이 1.7배로 [표 2-7]과 같이 나타나고 있다.특히 스트레 스의 영향을 많이 받는 자살이 남자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표 2-7]40대의 5대(大)사인 비교 (단위 :인구 10만명당,통계청)

40대 계 1위 2위 3위 4위 5위

암 간질환 뇌혈관질환 운수사고 자살

남자 406.0 95.0 66.8 30.9 33.6 27.5 여자 137.7 55.7 7.4 13.1 8.6 8.9 사망률비 3.0 1.7 9.0 2.4 3.9 3.1

또한 2008년도 건설업의 업무상 질병 현황을 분석한 결과 뇌혈관·심장질환 이 115건으로 요통을 제외한 다른 업무상 질병보다 높게 나타났고,작업관련 성 질병의 비율이 직업병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참고 [표 2-8]

[표 2-8]2007년도 건설업 업무상질병 현황 및 분석(단위 :명,노동부)

종류 업종 총 계

직업병 직업 관련성 질병 기 타

진폐증 소음성 난 청

금속 및 중금속

유 기 용 제

특 정 화 학 물 질

뇌․심 혈관질환

신 체 부 담 작 업

요 통 기 타 총계

(전산업)

10,449

(100.00%) 980 237 5 19 131 978 1,390 6,333 376 건설업 851

(8.14%) 14 2 1 0 23 115 36 636 24

이중 스트레스에 의해 발병률이 높은 뇌졸중의 중요한 위험인자로는 고혈 압,당뇨,흡연,음주,허혈성 심장질환이 뇌경색의 위험인자로 잘 알려져 있 다.

한국의 고혈압 유병률은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높은 편이 아님에도 불구하 고 뇌졸중의 유병율과 이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이유는 고혈압 치료를 제대

로 하지 않기 때문이며,이러한 뇌졸중의 위험인자로는 소량 또는 적당량의 음주 보다 과음이 더 큰 역할을 한다는 보고가 있다.

또 정선주13)의 뇌졸중 선행인자에 관한 연구에서는,뇌졸중 환자군의 1개 월간,그리고 1년간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제어그룹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 으며[표 2-9],정신적 스트레스가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 뇌졸중의 유발 인자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선진국의 경우 미국,스웨덴,핀란드,덴마크,호주,일본은 직업성 스트레스 가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명시하고 있다.14)

[표 2-9]뇌졸중 환자군과 대조군의 정신적 스트레스 뇌졸중그룹

(n=113)

제어그룹

(n=23) p값

SRRS(1month) 24.2±36.55* 1.7±5.76* <0.01*

SRRS(1 year) 98.9±8.19* 48.7±18.15* <0.001*

SRRS=SocialReadjustmentRatingScale(사회재적응평정척도) 다음은 사업장 작업환경 측정결과에 따르면 아직도 많은 사업장이 소음, 분진,유해광선 순으로 작업환경기준을 초과하고 있으며 특히 소음의 경우는 기준을 초과하는 사업장이 24%에 이르러,직업병 발생을 비롯한 근로자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에 각종 장해를 유발하고 있다.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청각기에 미치는 영향과 전신영향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청각기에는 소음성 난청을 유발하며,전신적으로는 순환기계의 이 상과 스트레스를 포함하는 신경·정신적 장해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소음에 의한 전신영향은 소음환경에 백서(白鼠,흰쥐)를 노출시킨 후 소음에 따른 맥박과 혈압변화를 측정한 결과 소음노출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로 인한 정서불안과 맥박과 혈압이 증가하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이같이 소

13) 정선주, 뇌졸중 선행인자에 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1998

14) 엄정현, 건설근로자의 스트레스 관리방안에 관한연구, 서울 산업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3), pp. 25-26.

음은 고혈압과 같은 순환기계 장해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높은 스트레스 수준은 알레르기,고혈압,관상 동맥성 질환 등 순환기계 장 해 발생과 상관관계가 깊어서 만성질환을 비롯하여 성인병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으며,소음노출 수준이 높을수록 급격한 스트레스와 정신장애를 유발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 소음과 그에 따른 순환기계 및 정신적 장해가 서로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2008년도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결과에 의하면 직업성 질환자 발생현황에서 진폐와 난청이 차지하는 직업병 발생비율이 82%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작업관 련성 질병으로는 뇌·심혈관 질환이 전체의 15%의 비율을 나타냈다.

최근에 고혈압,당뇨,고지혈증 등의 일반질병을 가진 근로자들이 업무상 과로나 스트레스 등의 직업적 요인에 의하여 뇌혈관,심장질환으로 사망하거 나 후유증을 남기는 경우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2008년도 직업성 질환자 발생현황은 [표2-10]과 같다.

[표 2-10]2008년도 직업성 질환자 발생현황 (단위 :명,노동부)

구분 총계

직업병 작업관련성 질병

소계 진폐 난청 금속 및 중금속

유기 용제

특정 화학

타 소계 뇌․심 질환

신체

부담 요통 사고성 요통

기 타 2008

. 12월 말

계 9,734 1,653 1,145 220 11 11 68 198 8,081 1,207 1,471 1,831 3,401171 요양자 8,760 1,190 719 220 8 6 52 185 7,570 725 1,471 1,831 3,401142 사망자 974 463 426 0 3 5 16 13 511 482 0 0 0 29

전년 동기

계 11,472 2,098 1,422 237 6 25 153 255 9,374 1,493 1,390 564 5,769158

요양자 10,449 1,618 980 237 5 19 131 246 8,831 978 1,390 564 5,769130 사망자 1,023 480 442 0 1 6 22 9 543 515 0 0 0 28

증감

-1,738 -445 -277 -17 5 -14 -85 -57-1,293 -286 81 1,267-2,368 13 요양자 -1,689 -428 -261 -17 3 -13 -79 -61-1,261 -253 81 1,267-2,368 12 사망자 -49 -17 -16 0 2 -1 -6 4 -32 -33 0 0 0 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