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후보지 입지평가 및 적지 선정

GIS S/W하드웨어

5.4 후보지 입지평가 및 적지 선정

그림

< 5-20 대기정박지 입지 후보지 계산>

정박지는 지점이고 연구 보고서에서 제시한 대기정박지 위치는 지점이

M1~M7 A , C

다. B 지점은 외해에 위치한 E1 정박지로 중소형 선박이 대기하나 이용량은 적다.

A A

B B

C C

D D

E E

그림

< 5-21 대기정박지 후보지>

본 연구에서는 기존 A지점을 포함하여 B지점, C지점, D지점, E지점에 대한 대 기정박지 입지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의견과 연구보고서를. 토대로 대기정박지 입지평가 요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여 계층모델화 시켰다 정. 박지의 위치 선정요인으로 크게 안전요인(SF), 환경요인(EF), 해상교통요인(TT)로 분류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안전요인에는 안전한 정박, (SA), 조선의 용이(SC) 요 인이 포함되고 환경요인에는 수심, (ES), 저질(EB), 항만정온도(ET) 요인이 포함되 며 해상교통요인에는 타항만시설과의 적합도, (TS), 근접성(TC), 교통혼잡(TA) 요인 이 포함된다.

대기정박지 선정요인 대기정박지

선정요인

환경 요인 환경 요인 안전 요인

안전 요인 해상교통 요인해상교통 요인

안전한 정박

안전한 정박 조선의 용이조선의 용이 수심수심 저질저질 항만 정온도항만 정온도 타항만시설과의 적합도 타항만시설과의

적합도 접근성접근성

A 후보지

A 후보지 B 후보지B 후보지 C 후보지C 후보지 D 후보지D 후보지 E 후보지E 후보지 1단계

2단계

3단계

교통혼잡교통혼잡

그림

< 5-22 입지선정 요인의 계층도>

5.4.2 설문분석 수행

1) 설문 준비

울산항을 이용하는 전문가를 상대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의 구성은. 3단 계 평가로 구성되며 아래의 내용과 같다.

단계 평가 안전 요인 환경 요인 해상교통 요인 간의 중요도 평가

- 1 : , ,

단계 평가 안전한 정박 조선의 용이 요인 간의 중요도 평가

- 2 : ,

수심 저질 항만 정온도 요인 간의 중요도 평가, ,

타항만시설과의 적합도 근접성 교통혼잡 요인 간의 중요도 평가, ,

단계 평가 단계 요인 각각에 대해 지역 간의 우선도 평가

- 3 : 2 A, B, C, D, E

본 연구에서는 설문 결과를 Fuzzy AHP를 이용한 가중치 산정을 위해 다음과 같 이 삼각 퍼지 변환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작성하였다.

언어 척도 삼각 퍼지 척도 삼각 퍼지 상대 척도

동일 (Just equal) (1, 1, 1) (1, 1, 1)

조금 중요 (Equally important) (1/2, 1, 3/2) (2/3, 1, 2) 보통 중요 (Weakly more important) (1, 3/2, 2) (1/2, 2/3, 1) 많이 중요 (Strongly more important) (3/2, 2, 5/2) (2/5, 1/2, 2/3) 매우 중요 (Very strongly more important) (2, 5/2, 3) (1/3, 2/5 1/2) 절대 중요 (Absolutely more important) (5/2, 3, 7/2) (2/7, 1/3, 2/5) 표

< 5-10 삼각 퍼지 변환 척도>

위 삼각 퍼지 변환 척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설문을 작성하였다.

단계 평가 1

안전요인과 환경요인을 비교할 때 그 중요도는 어떠합니까

Q1-1. ?

안전요인과 해상교통요인을 비교할 때 그 중요도는 어떠합니까

Q1-2. ?

질문 요인 절대

중요 매우 중요 많이

중요 보통 중요 조금

중요 동일 조금 중요 보통

중요 많이 중요 매우

중요 절대

중요 요인

Q1-1. 안전

요인 환경

요인 Q1-2. 안전

요인 해상교통

요인

단계 평가 2

안전한 정박 요인과 조선의 용이 요인을 비교할 때 그 중요도는 어떠합니까

Q2-1. ?

질문 요인 절대

중요 매우 중요 많이

중요 보통 중요 조금

중요 동일 조금 중요 보통

중요 많이 중요 매우

중요 절대

중요 요인

Q2-1. 안전한

정박 조선의

용이

단계 평가 3

안전한 정박

[ ]

안전한 정박 요인에 있어서 후보지와 후보지를 비교할 때 그 우선도는 어떠합니까

Q3-1. A B ?

안전한 정박 요인에 있어서 후보지와 후보지를 비교할 때 그 우선도는 어떠합니까

Q3-2. A C ?

안전한 정박 요인에 있어서 후보지와 후보지를 비교할 때 그 우선도는 어떠합니까

Q3-3. A D ?

안전한 정박 요인에 있어서 후보지와 후보지를 비교할 때 그 우선도는 어떠합니까

Q3-4. A E ?

질문 요인 절대

우선 매우 우선 많이

우선 보통 우선 조금

우선 동일 조금우선 보통 우선 많이

우선 매우 우선 절대

우선 요인

Q3-1. A후보지 B후보지

Q3-2. A후보지 C후보지

Q3-3. A후보지 D후보지

Q3-4. A후보지 E후보지

위 설문 내용은 각 단계별 사례에 해당되며 전체 설문 내용은 부록에 첨부하였다.

2) 설문 결과 정리

본 연구에서는 울산항의 실제 이용자에 해당되는 도선사 및 항해사 10인의 전문 가를 상대로 설문을 수행하였으며 각 전문가 설문 내용을 정리하여 평균한 다음, 다음과 같이 삼각퍼지수로 표시하여 정리하였다.

단계

<1 >

  안전요인(SF) 환경요인(EF) 해상교통요인(TF)

안전요인(SF) 1.00 1.00 1.00 1.00 1.50 2.00 0.50 1.00 1.50 환경요인(EF) 0.50 0.67 1.00 1.00 1.00 1.00 0.50 1.00 1.50 해상교통요인(TF) 0.67 1.00 2.00 0.67 1.00 2.00 1.00 1.00 1.00

단계

<2 >

안전요인 [ (SF)]

  안전한정박(SA) 조선의용이(SC)

안전한정박(SA) 1.00 1.00 1.00 1.00 1.00 1.00 조선의용이(SC) 1.00 1.00 1.00 1.00 1.00 1.00 환경요인

[ (EF)]

  수심(ES) 저질(EB) 항만정온도(ET)

수심(ES) 1.00 1.00 1.00 0.67 1.00 2.00 0.50 0.67 1.00 저질(EB) 0.50 1.00 1.50 1.00 1.00 1.00 0.50 0.67 1.00 항만정온도(ET) 1.00 1.50 2.00 1.00 1.50 2.00 1.00 1.00 1.00 해상교통요인

[ (TF)]

  타항만시설과의적합도(TS)항만관제서비스용이(TC) 정박지항과(TA) 타항만시설과의적합도(TS) 1.00 1.00 1.00 0.50 0.67 1.00 0.67 1.00 2.00

항만관제서비스용이(TC) 1.00 1.50 2.00 1.00 1.00 1.00 1.00 1.50 2.00 정박지항과(TA) 0.50 1.00 1.50 0.50 0.67 1.00 1.00 1.00 1.00 단계

<3 >

안전한정박 [ (SA)]

  A지역 B지역 C지역 D지역 E지역

A지역 1.00 1.00 1.00 0.50 1.00 1.50 1.00 1.50 2.00 1.00 1.50 2.00 0.50 1.00 1.50 B지역 0.67 1.00 2.00 1.00 1.00 1.00 0.50 1.00 1.50 1.00 1.50 2.00 0.50 1.00 1.50 C지역 0.50 0.67 1.00 0.67 1.00 2.00 1.00 1.00 1.00 0.67 1.00 2.00 0.67 1.00 2.00 D지역 0.50 0.67 1.00 0.50 0.67 1.00 0.50 1.00 1.50 1.00 1.00 1.00 0.50 0.67 1.00 E지역 0.67 1.00 2.00 0.67 1.00 2.00 0.50 1.00 1.50 1.00 1.50 2.00 1.00 1.00 1.00 조선의용이

[ (SC)]

  A지역 B지역 C지역 D지역 E지역

A지역 1.00 1.00 1.00 0.50 0.67 1.00 0.67 1.00 2.00 0.67 1.00 2.00 0.50 0.67 1.00 B지역 1.00 1.50 2.00 1.00 1.00 1.00 1.00 1.50 2.00 0.50 1.00 1.50 0.67 1.00 2.00 C지역 0.50 1.00 1.50 0.50 0.67 1.00 1.00 1.00 1.00 0.67 1.00 2.00 0.67 1.00 2.00 D지역 0.50 1.00 1.50 0.67 1.00 2.00 0.50 1.00 1.50 1.00 1.00 1.00 0.50 0.67 1.00 E지역 1.00 1.50 2.00 0.50 1.00 1.50 0.50 1.00 1.50 1.00 1.50 2.00 1.00 1.00 1.00

수심 [ (ES)]

  A지역 B지역 C지역 D지역 E지역

A지역 1.00 1.00 1.00 1.50 2.00 2.50 1.00 1.50 2.00 0.50 1.00 1.50 1.00 1.50 2.00 B지역 0.40 0.50 0.67 1.00 1.00 1.00 0.50 1.00 1.50 0.67 1.00 2.00 1.00 1.00 1.00 C지역 0.50 0.67 1.00 0.67 1.00 2.00 1.00 1.00 1.00 0.67 1.00 2.00 0.67 1.00 2.00 D지역 0.67 1.00 2.00 0.50 1.00 1.50 1.00 1.50 2.00 1.00 1.00 1.00 0.50 1.00 1.50 E지역 0.50 0.67 1.00 1.00 1.00 1.00 1.00 1.50 2.00 0.67 1.00 2.00 1.00 1.00 1.00 저질

[ (EB)]

  A지역 B지역 C지역 D지역 E지역

A지역 1.00 1.00 1.00 0.50 1.00 1.50 0.50 1.00 1.50 1.00 1.00 1.00 1.00 1.00 1.00 B지역 0.67 1.00 2.00 1.00 1.00 1.00 1.00 1.00 1.00 0.67 1.00 2.00 0.67 1.00 2.00 C지역 0.67 1.00 2.00 1.00 1.00 1.00 1.00 1.00 1.00 0.67 1.00 2.00 0.67 1.00 2.00 D지역 1.00 1.00 1.00 0.50 1.00 1.50 0.50 1.00 1.50 1.00 1.00 1.00 1.00 1.00 1.00 E지역 1.00 1.00 1.00 0.50 1.00 1.50 0.50 1.00 1.50 1.00 1.00 1.00 1.00 1.00 1.00 항만정온도

[ (ET)]

  A지역 B지역 C지역 D지역 E지역

A지역 1.00 1.00 1.00 1.00 1.50 2.00 1.00 1.50 2.00 1.50 2.00 2.50 1.50 2.00 2.50 B지역 0.50 0.67 1.00 1.00 1.00 1.00 1.00 1.00 1.00 0.50 1.00 1.50 0.50 1.00 1.50 C지역 0.50 0.67 1.00 1.00 1.00 1.00 1.00 1.00 1.00 0.50 1.00 1.50 0.50 1.00 1.50 D지역 0.40 0.50 0.67 0.67 1.00 2.00 0.67 1.00 2.00 1.00 1.00 1.00 1.00 1.00 1.00 E지역 0.40 0.50 0.67 0.67 1.00 2.00 0.67 1.00 2.00 1.00 1.00 1.00 1.00 1.00 1.00 타항만시설과의적합도

[ (TS)]

  A지역 B지역 C지역 D지역 E지역

A지역 1.00 1.00 1.00 0.50 0.67 1.00 0.67 1.00 2.00 0.50 0.67 1.00 1.00 1.00 1.00 B지역 1.00 1.50 2.00 1.00 1.00 1.00 1.00 1.50 2.00 1.50 2.00 2.50 1.00 1.00 1.00 C지역 0.50 1.00 1.50 0.50 0.67 1.00 1.00 1.00 1.00 0.67 1.00 2.00 1.00 1.00 1.00 D지역 1.00 1.50 2.00 0.40 0.50 0.67 0.50 1.00 1.50 1.00 1.00 1.00 1.00 1.00 1.00 E지역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항만관제서비스용이

[ (TC)]

  A지역 B지역 C지역 D지역 E지역

A지역 1.00 1.00 1.00 0.50 1.00 1.50 1.00 1.50 2.00 0.50 1.00 1.50 1.50 2.00 2.50 B지역 0.67 1.00 2.00 1.00 1.00 1.00 1.00 1.50 2.00 0.67 1.00 2.00 0.67 1.00 2.00 C지역 0.50 0.67 1.00 0.50 0.67 1.00 1.00 1.00 1.00 0.50 0.67 1.00 0.67 1.00 2.00 D지역 0.67 1.00 2.00 0.50 1.00 1.50 1.00 1.50 2.00 1.00 1.00 1.00 0.50 1.00 1.50 E지역 0.40 0.50 0.67 0.50 1.00 1.50 0.50 1.00 1.50 0.67 1.00 2.00 1.00 1.00 1.00 정박지항과

[ (TA)]

  A지역 B지역 C지역 D지역 E지역

A지역 1.00 1.00 1.00 1.00 1.50 2.00 1.50 2.00 2.50 2.00 2.50 3.00 1.00 1.00 1.00 B지역 0.50 0.67 1.00 1.00 1.00 1.00 0.50 1.00 1.50 1.00 1.50 2.00 0.50 0.67 1.00 C지역 0.40 0.50 0.67 0.67 1.00 2.00 1.00 1.00 1.00 1.00 1.00 1.00 0.50 0.67 1.00 D지역 0.30 0.40 0.50 0.50 0.67 1.00 1.00 1.00 1.00 1.00 1.00 1.00 0.50 0.67 1.00 E지역 1.00 1.00 1.00 1.50 2.00 2.50 1.50 2.00 2.50 1.50 2.00 2.50 1.00 1.00 1.00

5.4.3 평가치 계산

1) 상위 요인 계산

단계 평가인 상위요인 조선요인 환경요인 해상교통요인을 식 식 식 에

1 , , (2), (3), (5)

따라 확장퍼지 계산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SF) 2.50 3.50 4.50 6.84 9.17 13.00 0.08 0.11 0.15 0.19 0.38 0.66 S(EF) 2.00 2.67 3.50 6.84 9.17 13.00 0.08 0.11 0.15 0.15 0.29 0.51 S(TF) 2.34 3.00 5.00 6.84 9.17 13.00 0.08 0.11 0.15 0.18 0.33 0.73

  = (2.50, 3.50, 4.50)⊗(1/13.0, 1/9.17, 1/6.84) = (0.192, 0.382, 0.658)

 = (2.00, 2.67, 3.50)⊗(1/13.0, 1/9.17, 1/6.84) = (0.154, 0.291, 0.512)

 = (2.34, 3.00, 5.00)⊗(1/13.0, 1/9.17, 1/6.84) = (0.180, 0.327, 0.7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위 식을 이용하여 가능성 정도를 파악한다.

의  값이 의  보다 클 경우 이며1 , 의 이 의  보다 클 경우 이 부여된다 그리고 이외의 경우에는

0 . 과 가 교차 되므로 아래 그림과 같이

교차점 의 값을 구해야 하므로 위 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1

) (M2 M1

V ≥

a2 b2 a1 d c2 b1 c1

M2 M1

1

) (M2 M1

V ≥

a2 b2 a1 d c2 b1 c1

M2 M1

그림

< 5-23> 과 의 교차점

위의 결과 값에 대해 단계( 2)의 가능성 정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S(SF)>S(EF) 1 S(SF)<S(TF) 0.9081 S(SF)<S(EF) 0.779 S(EF)>S(TF) 0.902125 S(SF)>S(TF) 1 S(EF)<S(TF) 1.0000

각 쌍대비교 과정에서 최소 가능성 정도 값은 다음과 같으며,

  ≥ = 1

 ≥ = 0.779

 ≥ = 0.9081

각 값은    가중치 벡터로 구성되며 정규화 과정을 통해 상, 위 속성의 중요도 가중치은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다.

    = (0.3721, 0.2899, 0.3379)

2) 하위 요인의 계산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위 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구한다.

안전요인 [ (SF)]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SA) 2.00 2.00 2.00 4.00 4.00 4.00 0.25 0.25 0.25 0.50 0.50 0.50 S(SC) 2.00 2.00 2.00 4.00 4.00 4.00 0.25 0.25 0.25 0.50 0.50 0.50

S(SA)>S(SC) 1 S(SA)<S(SC) 1

  ≥ = 1

 ≥ = 1

   = (0.5, 0.5)

환경요인 [ (EF)]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ES) 2.17 2.67 4.00 7.17 9.34 12.50 0.08 0.11 0.14 0.17 0.29 0.56 S(EB) 2.00 2.67 3.50 7.17 9.34 12.50 0.08 0.11 0.14 0.16 0.29 0.49 S(ET) 3.00 4.00 5.00 7.17 9.34 12.50 0.08 0.11 0.14 0.24 0.43 0.70

S(ES)>S(EB) 1.000 S(ES)<S(ET) 1.000 S(ES)<S(EB) 1.000 S(EB)>S(ET) 0.635 S(ES)>S(ET) 0.691 S(EB)<S(ET) 1.000

≥ = 0.691

≥ = 0.635

≥ = 1

    = (0.297, 0.273, 0.430)

해상교통요인

[ (TF)]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TS) 2.17 2.67 4.00 7.17 9.34 12.50 0.08 0.11 0.14 0.17 0.29 0.56 S(TC) 3.00 4.00 5.00 7.17 9.34 12.50 0.08 0.11 0.14 0.24 0.43 0.70 S(TA) 2.00 2.67 3.50 7.17 9.34 12.50 0.08 0.11 0.14 0.16 0.29 0.49

S(TS)>S(TC) 0.691 S(TS)<S(TA) 1.000 S(TS)<S(TC) 1.000 S(TC)>S(TA) 1.000 S(TS)>S(TA) 1.000 S(TC)<S(TA) 0.635

≥ = 0.691

≥ = 1.000

 ≥ = 0.635

    = (0.297, 0.430, 0.273)

3) 후보지 평가

단계와 단계의 대기정박지의 입지선정 요인 가중치를 계산하였고 단계의 각

1 2 2

평가 요인에 대해 후보지를 선정된 A지역, B지역, C지역, D지역, E지역을 위와 동 일한 방법으로 계산한다.

그림

< 5-24 상위 및 하위 요인의 가중치>

안전한정박 [ (SA)]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A) 4.00 6.00 8.00 18.02 25.68 38.00 0.03 0.04 0.06 0.11 0.23 0.44 S(B) 3.67 5.50 8.00 18.02 25.68 38.00 0.03 0.04 0.06 0.10 0.21 0.44 S(C) 3.51 4.67 8.00 18.02 25.68 38.00 0.03 0.04 0.06 0.09 0.18 0.44 S(D) 3.00 4.01 5.50 18.02 25.68 38.00 0.03 0.04 0.06 0.08 0.16 0.31 S(E) 3.84 5.50 8.50 18.02 25.68 38.00 0.03 0.04 0.06 0.10 0.21 0.47

S(A)>S(B) 1.00 S(A)<S(D) 0.72 S(B)>S(D) 1.00 S(C)<S(D) 0.89 S(A)<S(B) 0.95 S(A)>S(E) 1.00 S(B)<S(D) 0.78 S(C)>S(E) 0.91 S(A)>S(C) 1.00 S(A)<S(E) 0.95 S(B)>S(E) 1.00 S(C)<S(E) 1.00 S(A)<S(C) 0.87 S(B)>S(C) 1.00 S(B)<S(E) 1.00 S(D)>S(E) 0.78 S(A)>S(D) 1.00 S(B)<S(C) 0.91 S(C)>S(D) 1.00 S(D)<S(E) 1.00

≥ = 1.000

≥ = 0.950

≥ = 0.870

≥ = 0.780

≥ = 0.950

      = (0.220, 0.209, 0.191, 0.171, 0.209)

조선의용이

[ (SC)]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A) 3.34 4.34 7.00 18.02 25.68 38.00 0.03 0.04 0.06 0.09 0.17 0.39 S(B) 4.17 6.00 8.50 18.02 25.68 38.00 0.03 0.04 0.06 0.11 0.23 0.47 S(C) 3.34 4.67 7.50 18.02 25.68 38.00 0.03 0.04 0.06 0.09 0.18 0.42 S(D) 3.17 4.67 7.00 18.02 25.68 38.00 0.03 0.04 0.06 0.08 0.18 0.39 S(E) 4.00 6.00 8.00 18.02 25.68 38.00 0.03 0.04 0.06 0.11 0.23 0.44

S(A)>S(B) 0.81 S(A)<S(D) 1.00 S(B)>S(D) 1.00 S(C)<S(D) 1.00 S(A)<S(B) 1.00 S(A)>S(E) 0.81 S(B)<S(D) 0.84 S(C)>S(E) 0.86 S(A)>S(C) 0.96 S(A)<S(E) 1.00 S(B)>S(E) 1.00 S(C)<S(E) 1.00 S(A)<S(C) 1.00 S(B)>S(C) 1.00 S(B)<S(E) 1.00 S(D)>S(E) 0.85 S(A)>S(D) 0.96 S(B)<S(C) 0.86 S(C)>S(D) 1.00 S(D)<S(E) 1.00

≥ = 0.814

≥ = 1.000

≥ = 0.855

≥ = 0.843

≥ = 1.000

      = (0.180, 0.222, 0.190, 0.187, 0.222)

수심 [ (ES)]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A) 5.00 7.00 9.00 19.92 26.84 38.17 0.03 0.04 0.05 0.13 0.26 0.45 S(B) 3.57 4.50 6.17 19.92 26.84 38.17 0.03 0.04 0.05 0.09 0.17 0.31 S(C) 3.51 4.67 8.00 19.92 26.84 38.17 0.03 0.04 0.05 0.09 0.17 0.40 S(D) 3.67 5.50 8.00 19.92 26.84 38.17 0.03 0.04 0.05 0.10 0.20 0.40 S(E) 4.17 5.17 7.00 19.92 26.84 38.17 0.03 0.04 0.05 0.11 0.19 0.35

S(A)>S(B) 1.00 S(A)<S(D) 0.83 S(B)>S(D) 0.85 S(C)<S(D) 1.00 S(A)<S(B) 0.66 S(A)>S(E) 1.00 S(B)<S(D) 1.00 S(C)>S(E) 0.94 S(A)>S(C) 1.00 S(A)<S(E) 0.76 S(B)>S(E) 0.89 S(C)<S(E) 1.00 S(A)<S(C) 0.76 S(B)>S(C) 0.97 S(B)<S(E) 1.00 S(D)>S(E) 1.00 S(A)>S(D) 1.00 S(B)<S(C) 1.00 S(C)>S(D) 0.91 S(D)<S(E) 0.95

≥ = 1.000

≥ = 0.657

≥ = 0.757

≥ = 0.829

≥ = 0.764

      = (0.250, 0.164, 0.189, 0.207, 0.191)

저질 [ (EB)]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A) 4.00 5.00 6.00 20.02 25.00 34.00 0.03 0.04 0.05 0.12 0.20 0.30 S(B) 4.01 5.00 8.00 20.02 25.00 34.00 0.03 0.04 0.05 0.12 0.20 0.40 S(C) 4.01 5.00 8.00 20.02 25.00 34.00 0.03 0.04 0.05 0.12 0.20 0.40 S(D) 4.00 5.00 6.00 20.02 25.00 34.00 0.03 0.04 0.05 0.12 0.20 0.30 S(E) 4.00 5.00 6.00 20.02 25.00 34.00 0.03 0.04 0.05 0.12 0.20 0.30

S(A)>S(B) 1.00 S(A)<S(D) 1.00 S(B)>S(D) 1.00 S(C)<S(D) 1.00 S(A)<S(B) 1.00 S(A)>S(E) 1.00 S(B)<S(D) 1.00 S(C)>S(E) 1.00 S(A)>S(C) 1.00 S(A)<S(E) 1.00 S(B)>S(E) 1.00 S(C)<S(E) 1.00 S(A)<S(C) 1.00 S(B)>S(C) 1.00 S(B)<S(E) 1.00 S(D)>S(E) 1.00 S(A)>S(D) 1.00 S(B)<S(C) 1.00 S(C)>S(D) 1.00 S(D)<S(E) 1.00

≥ = 1.000

≥ = 1.000

≥ = 1.000

≥ = 1.000

≥ = 1.000

      = (0.200, 0.200, 0.200, 0.200, 0.200)

항만정온도 [ (ET)]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A) 6.00 8.00 10.00 20.48 26.34 35.34 0.03 0.04 0.05 0.17 0.30 0.49 S(B) 3.50 4.67 6.00 20.48 26.34 35.34 0.03 0.04 0.05 0.10 0.18 0.29 S(C) 3.50 4.67 6.00 20.48 26.34 35.34 0.03 0.04 0.05 0.10 0.18 0.29 S(D) 3.74 4.50 6.67 20.48 26.34 35.34 0.03 0.04 0.05 0.11 0.17 0.33 S(E) 3.74 4.50 6.67 20.48 26.34 35.34 0.03 0.04 0.05 0.11 0.17 0.33

S(A)>S(B) 1.00 S(A)<S(D) 0.54 S(B)>S(D) 1.00 S(C)<S(D) 0.97 S(A)<S(B) 0.49 S(A)>S(E) 1.00 S(B)<S(D) 0.97 S(C)>S(E) 1.00 S(A)>S(C) 1.00 S(A)<S(E) 0.54 S(B)>S(E) 1.00 S(C)<S(E) 0.97 S(A)<S(C) 0.49 S(B)>S(C) 1.00 S(B)<S(E) 0.97 S(D)>S(E) 1.00 S(A)>S(D) 1.00 S(B)<S(C) 1.00 S(C)>S(D) 1.00 S(D)<S(E) 1.00

≥ = 1.000

≥ = 0.494

≥ = 0.494

≥ = 0.540

≥ = 0.540

      = (0.326, 0.161, 0.161, 0.176, 0.176)

타항만시설과의적합도

[ (TS)]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A) 3.67 4.34 6.00 21.74 26.01 32.17 0.03 0.04 0.05 0.11 0.17 0.28 S(B) 5.50 7.00 8.50 21.74 26.01 32.17 0.03 0.04 0.05 0.17 0.27 0.39 S(C) 3.67 4.67 6.50 21.74 26.01 32.17 0.03 0.04 0.05 0.11 0.18 0.30 S(D) 3.90 5.00 6.17 21.74 26.01 32.17 0.03 0.04 0.05 0.12 0.19 0.28 S(E) 5.00 5.00 5.00 21.74 26.01 32.17 0.03 0.04 0.05 0.16 0.19 0.23

S(A)>S(B) 0.51 S(A)<S(D) 1.00 S(B)>S(D) 1.00 S(C)<S(D) 1.00 S(A)<S(B) 1.00 S(A)>S(E) 0.83 S(B)<S(D) 0.59 S(C)>S(E) 0.92 S(A)>S(C) 0.93 S(A)<S(E) 1.00 S(B)>S(E) 1.00 S(C)<S(E) 1.00 S(A)<S(C) 1.00 S(B)>S(C) 1.00 S(B)<S(E) 0.43 S(D)>S(E) 1.00 S(A)>S(D) 0.86 S(B)<S(C) 0.59 S(C)>S(D) 0.93 S(D)<S(E) 1.00

≥ = 0.507

≥ = 1.000

≥ = 0.588

≥ = 0.595

≥ = 0.434

      = (0.162, 0.320, 0.188, 0.190, 0.139)

접근도 [ (TC)]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A) 4.50 6.50 8.50 18.42 26.01 38.17 0.03 0.04 0.05 0.12 0.25 0.46 S(B) 4.01 5.50 9.00 18.42 26.01 38.17 0.03 0.04 0.05 0.11 0.21 0.49 S(C) 3.17 4.01 6.00 18.42 26.01 38.17 0.03 0.04 0.05 0.08 0.15 0.33 S(D) 3.67 5.50 8.00 18.42 26.01 38.17 0.03 0.04 0.05 0.10 0.21 0.43 S(E) 3.07 4.50 6.67 18.42 26.01 38.17 0.03 0.04 0.05 0.08 0.17 0.36

S(A)>S(B) 1.00 S(A)<S(D) 0.89 S(B)>S(D) 1.00 S(C)<S(D) 1.00 S(A)<S(B) 0.91 S(A)>S(E) 1.00 S(B)<S(D) 1.00 S(C)>S(E) 0.93 S(A)>S(C) 1.00 S(A)<S(E) 0.76 S(B)>S(E) 1.00 S(C)<S(E) 1.00 S(A)<S(C) 0.68 S(B)>S(C) 1.00 S(B)<S(E) 0.87 S(D)>S(E) 1.00 S(A)>S(D) 1.00 S(B)<S(C) 0.79 S(C)>S(D) 0.80 S(D)<S(E) 0.87

≥ = 1.000

≥ = 0.906

≥ = 0.685

≥ = 0.892

≥ = 0.870

      = (0.230, 0.208, 0.157, 0.205, 0.200)

혼잡도 [ (TA)]

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A) 6.50 8.00 9.50 23.37 28.75 35.67 0.03 0.03 0.04 0.18 0.28 0.41 S(B) 3.50 4.84 6.50 23.37 28.75 35.67 0.03 0.03 0.04 0.10 0.17 0.28 S(C) 3.57 4.17 5.67 23.37 28.75 35.67 0.03 0.03 0.04 0.10 0.15 0.24 S(D) 3.30 3.74 4.50 23.37 28.75 35.67 0.03 0.03 0.04 0.09 0.13 0.19 S(E) 6.50 8.00 9.50 23.37 28.75 35.67 0.03 0.03 0.04 0.18 0.28 0.41

S(A)>S(B) 1.00 S(A)<S(D) 0.07 S(B)>S(D) 1.00 S(C)<S(D) 0.86 S(A)<S(B) 0.47 S(A)>S(E) 1.00 S(B)<S(D) 0.71 S(C)>S(E) 0.31 S(A)>S(C) 1.00 S(A)<S(E) 1.00 S(B)>S(E) 0.47 S(C)<S(E) 1.00 S(A)<S(C) 0.31 S(B)>S(C) 1.00 S(B)<S(E) 1.00 S(D)>S(E) 0.07 S(A)>S(D) 1.00 S(B)<S(C) 0.86 S(C)>S(D) 1.00 S(D)<S(E) 1.00

≥ = 1.000

≥ = 0.466

≥ = 0.312

≥ = 0.065

≥ = 1.000

      = (0.352, 0.164, 0.110, 0.023, 0.352)

4) 평가치 종합

아래 표는 전문가 의견을 정리하여 삼각퍼지수로 표현된 하위요인의 평가값을, 확장퍼지 계산과 최소 가능성 정도값을 계산하여 정리하였다 퍼지. AHP법을 이용 하여 울산항 대기정박지의 입지평가를 수행하였을 때 A지점의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안전 요인

0.372 환경 요인

0.290 해상교통 요인

0.338 안전한

0.500정박

조선의 0.500용이

0.297수심 저질 0.273

항만 정온도0.430

타항만 시설적합도

0.297

접근도0.430 혼잡도 0.273

A지점 0.220 0.180 0.250 0.200 0.326 0.162 0.230 0.352 0.235 B지점 0.209 0.222 0.164 0.200 0.161 0.320 0.208 0.164 0.208 C지점 0.191 0.190 0.189 0.200 0.161 0.188 0.157 0.110 0.175 D지점 0.171 0.187 0.207 0.200 0.176 0.190 0.205 0.023 0.173 E지점 0.209 0.222 0.191 0.200 0.176 0.139 0.200 0.352 0.210

< 5-12 평가치 종합>

의사결정 규칙 관점

Fuzzy AHP 가중치 및 평가치 종합결과 A지점-E지점-B지점-C지점-D지점 순위 각 대안에 가중치 적용한 결과

순위가중치결정법 의사결정자의 의사전략 (모험적, 중도적, 안정적) 에 따라 의사결정 구현

n

/ 1

그림

< 5-25 의사결정 규칙 관점의 평가값>

5.4.4 순위가중치평균법 적용

다기준 의사결정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떠한 의사결정 규칙을 이용하여, 대안들의 순위를 결정하는가의 문제이다 의사결정 규칙. (decision rule)이란 평가기

준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한 후에 이를 근거로 하여 대안의 순위를 결정하는 일련, 의 규칙들을 말한다 즉 평가기준과 대안들의 정보 의사결정자의 선호도를 통합하. , , 여 대안들을 전체적으로 평가한 후 대안들을 순위화하여 최선의 대안을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의사결정 규칙이다 의사결정 규칙은 넓은 의미의 의사결정 전략. 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문제의 해결점을 찾기 위한 전체 절 (decision strategy) ,

차이며 의사결정 규칙은 그 전략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

순위가중치 결정법은 가중치가 부여된 평가기준들을 총합화하는 규칙으로 평가, 기준들의 가중치와 순위 가중치가 사용되는 가중 합계(weighted sum)이다 순위. 가중치는 평가 기준 사이에 존재하는 상충수준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전체. 상충수준의 정도는 평가기준 상충적 가중치에 따라 결정된다 퍼지총합 연산에서/ . 총합규칙은 재순위화된 기준점수를 바탕으로 하게 되며, 가중 계수(weighting 가 주어진 대안에 대한 평가기준 값의 순위에 할당된다 즉 높은 값을

coefficients) . ,

갖는 평가기준에 가장 높은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이다.

퍼지 AHP에 계산된 < 5-16>표 의 결과는 중성적(neutral)인 평가값으로 의사결, 정자의 의사전략 요인의 평가치에 결합된다면 다양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순위. 가중치평균법은 대기정박지 요인의 순서와 상관없이 의사결정자의 전략에 따른 순 위 가중치를 결합하는 방법이다.

OWA 순위가중치

높은 orness 낮은 orness

=

− −

= Ω

=

n

i

wi

i n n

W orness

1

) 1 (

) 1 (

1 3/4 2/3 1/2 1/3 1/4 0

그림

< 5-26> OWA 순위가중치 적용 개념

순위 가중치 값을 결합하기 위해 입지 후보지의 평가값을 비교하여 입지후보지 평가값과 각 지점의 요인가중치 값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다.

요인 평가값의 내림차순 정렬

A지점 0.3517 0.3261 0.2496 0.2298 0.2198 0.2000 0.1804 0.1622 0.0923 0.1246 0.0861 0.1453 0.1861 0.0791 0.1861 0.1003 B지점 0.3201 0.2216 0.2088 0.2082 0.2000 0.1641 0.1639 0.1609 0.1003 0.1861 0.1861 0.1453 0.0791 0.0861 0.0923 0.1246 C지점 0.2000 0.1912 0.1896 0.1889 0.1883 0.1609 0.1573 0.1097 0.0791 0.1861 0.1861 0.0861 0.1003 0.1246 0.1453 0.0923 D지점 0.2068 0.2049 0.2000 0.1904 0.1869 0.1760 0.1714 0.0229 0.0861 0.1453 0.0791 0.1003 0.1861 0.1246 0.1861 0.0923 E지점 0.3517 0.2216 0.2088 0.2000 0.1999 0.1906 0.1760 0.1390 0.0923 0.1861 0.1861 0.0791 0.1453 0.0861 0.1246 0.1003 표

< 5-13 요인 평가값의 내림차순 정렬>

본 연구에서는 안병석(2006)이 제안한 [1, 3/4, 2/3, 1/2, 1/3, 1/4, 0]의 일정한 수 준의 순위가중치 값을 계산하기 위해 아래의 공식에 따 순위 가중치 값을 계산하, 였다.

의사결정 전략 순위 가중치(=2) 순위 가중치(=3) Orness Optimistic

Moderately Optimistic Rather Optimistic Neutral

Rather Pessimistic Moderately Pessimistic Pessimistic

(1, 0)

(0.750, 0.250) (0.667 0.333) (0.50, 0.50) (0.333, 0.667) (0.250, 0.750) (0, 1)

(1, 0, 0)

(0.611, 0.278, 0.111) (0.500, 0.333, 0.167) (0.333, 0.333, 0.333) (0.167, 0.333, 0.500) (0.111, 0.278, 0.611) (0, 0, 1)

1 0.75 0.67 0.5 0.34 0.25 0 표

< 5-14> Orness 값에 대한 의사결정 전략 의미

- Optimistic Strategy :         ≠  - Moderately Optimistic Strategy :  

  

- Rather Optimistic Strategy :    

    

- Neutral Strategy :  

- Rather Pessimistic Strategy :    



- Moderately Pessimistic Strategy :  

  

    

- Pessimistic Strategy :      ≠ 

단계 입지 선정 평가항목이 개 이므로 위 계산식에

2 8   을 적용시켜 다음의

순위 가중치 값을 계산하였다.

1 1.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3/4 0.3397 0.2147 0.1522 0.1106 0.0793 0.0543 0.0335 0.0156 2/3 0.2222 0.1944 0.1667 0.1389 0.1111 0.0833 0.0556 0.0278 1/2 0.1250 0.1250 0.1250 0.1250 0.1250 0.1250 0.1250 0.1250 1/3 0.0278 0.0556 0.0833 0.1111 0.1389 0.1667 0.1944 0.2222 1/4 0.0156 0.0335 0.0543 0.0793 0.1106 0.1522 0.2147 0.3397 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0.0000 1.0000 표

< 5-15>   에 대한 가중치 행렬

표 의 입지후보지 평가 값에 표 의 순위 가중치 값을 적용하여

< 5-13> < 5-15>

표 의 최종 결과 값을 도출하였다

< 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