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환자안전역량 관련요인

1) 비판적 사고성향

최근 의료수준이 높아지고 질병의 특성에 따라 대상자의 건강에 대한 요구 가 복잡해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의료 현장에서 대상자에게 전문직 실무와 교육을 제공하는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는 매우 중요한 역량이다 (Zuriguel Pérez et al., 2015). 비판적 사고는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이끌어내 기 위한 목적 하에 스스로 판단을 내리는 사고(Facione et al., 1994)이며, 비판 적 사고성향은 개인적 또는 전문적 업무에 있어서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이끌 어내기 위하여 목적을 가지고 자기 조절적인 판단을 내리는 사고를 중요하게 여기고 이를 사용하려는 개인적인 성향, 습관을 의미한다(신경림, 하주영, 김건 희, 2005; Facione et al., 1994). 비판적 사고는 성향과 기술로 구분할 수 있으 며, 아무리 뛰어난 비판적 사고기술을 가지고 있어도 기술을 사용하려는 성향 이 없으면 비판적 사고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판적 사고성향이 중요하다(박승 미, 권인각, 2007).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은 간호사는 관례적인 절차에 따라 간 호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상황에서 정확한 간호지식에 근거하여 간호 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환자의 증상과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신 경림, 2003). 따라서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은 간호사는 간호현장에서 신중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업무수행능력을 높여 환자의 안전과 간호의 질적 향상을 보 장할 수 있다(Fero et al., 2009).

간호사를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과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간호근무환경과 비판적 사고성향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이지윤, 박소영, 2014), 임상

간호사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간호사-의사 협 력관계가 좋을수록 비판적 사고성향은 증진된다고 하였다(최은주, 황지현, 장인 실, 2017).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업무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박안나, 정경희, 김원경, 2016; 최혜란, 2011), 환자안전과 관련 된 위험 상황에서도 이러한 능력을 발휘하여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제거 할 수 있다고 하였다(김미란, 2011). 간호사의 업무 중 투약은 가장 중요한 간 호업무이며 환자의 안전과 생명에 직접적인 위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투약하기 전에 처방오류나 조제오류를 걸러내고 투약오류를 방지하는 중요한 환자안전관리 활동이다(장춘희, 2017). 따라서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투 약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환자안전과 관련된 간호업무에서 정확한 의 사소통, 낙상, 감염, 욕창, 수혈 등의 업무를 수행할 때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으 면 환자안전간호활동 향상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천고운, 김지영, 2018),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이 높은 간호사는 환자안 전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효선, 2015).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비판적 사고성향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있지만,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본 연구 에서 비판적 사고성향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2)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communication)은 라틴어(communis)에서 유래되어 “공통 (common)과 공유(sharing)” 라는 뜻을 지닌 어원으로 하고 있으며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 사이의 공통성을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이광자,

2006). 의사소통능력은 개인이 겪고 있는 상황에서 적절한 의사소통을 인지하 고 수정 보완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개인이 추구하고 자 하는 바를 이룰 수 있는 능력이다(송기현, 2013).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간호업무의 기본이며, 환 자의 가장 중요한 요구사항 중 하나이다(Amiri, Sadeghi Sharme, Karimi Zarchi, Bahari, & Binesh, 2013). 원활한 의사소통은 환자와 보호자와의 치료적 관계 형성을 도와 신뢰 관계를 유지하여 치료 효과가 상승되며(김대현, 2006) 환자안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간호사의 의사소통 방법에 따라 의료진과 의 관계는 물론 환자의 치료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조현진, 2018). 의료진들 간의 의사소통 장애가 발생하면 안전사고를 유발하여 간호업무의 효율성을 저 하시키고(Pronovost et al., 2003), 환자치료와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Happ et al., 2011). 또한 간호사들은 근무하거나 인수인계 할 때, 여러 의료진과 다양 한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으며 부정확하고 부주의한 의사소통을 시행할 우려가 크며(이영부, 2015), 의료진과의 부주의한 의사소통은 의료사고의 원인 이 될 수 있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의료기관에서 의사소통의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유해한 조직문화, 표준화되지 않은 의사소통, 환자이양 인계 시 의사소통의 부 족을 원인이라고 하였다(이재영, 2015).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임 상수행 능력과 간호업무성과가 높았으며(김재원, 김경희, 정혜경, 곽연희, 2017;

이애경, 2013; 임미영, 2016), 간호사의 조직의사소통만족이 높을수록 간호사의 환자안전태도가 높았다(김경자 등, 2012; 노미나, 2017; 송미라, 2014). 한편 의 사소통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대한 연구로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 고성향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순희, 정승은, 2014; 이지윤, 이용미, 박소영, 이미자, 정유희, 2013; 정계선 등, 2013). 이와 같

이 의사소통능력은 환자안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비판적 사고성향과 상관성을 가지고 환자 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3) 일반적 특성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관련된 여러 요인 중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연령(김정민, 2018; 김효선, 2015; 서미란, 정경화, 2018), 최종학력(김솔잎, 2018;

김효선, 2015; 이상의, 2018), 총 임상경력(김솔잎, 2018; 김정민, 2018; 이상의, 2018), 현 부서경력(김솔잎, 2018; 장해나, 2013), 근무부서(김효선, 2015), 의료 기관 인증평가 경험(이상의, 2018), 환자안전관련 활동 참여 여부(김솔잎, 2018;

김정민, 2018), 환자안전교육 이수여부(김미정, 김종경, 2017; 김솔잎, 2018), 본 인의 과실유무와 무관한 환자안전사고 보고경험(김솔잎, 2018; 서미란, 정경화, 2018; 이정자, 2019)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김정민(2018)의 연구에서 30대 이상이 25세 이하 그룹보다 높은 수준 을 나타냈고, 김효선(2015)의 연구에서는 41세 이상 그룹이 25세 이하의 그룹보 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 서미란과 정경화(2018)의 연구에서는 40대 이상 그룹 이 20대 이상 그룹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최종학력은 석사이상의 그룹이 학사, 전문학사 그룹에 비해 환자안전역량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김솔잎, 2018; 김효선, 2015; 이상의, 2018). 총 임상경력은 경력이 많을수록 환자안전역 량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고(김솔잎, 2018; 김정민, 2018; 이상의, 2018), 현 부서 경력에 따른 환자안전역량은 현 부서에서 근무한 경력이 많을수록 환자안전역 량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김솔잎, 2018; 장해나, 2013). 근무부서에 따른 환자

안전역량은 내과계 병동 그룹이 외과계 병동 그룹보다 높았으며(김효선, 2015), 의료기관 인증평가 경험은 인증평가 경험이 있는 그룹이 경험이 없는 그룹보다 환자안전역량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이상의, 2018). 환자안전관련 활동 참여 여부는 환자안전관련 활동에 참여한 그룹이 참여하지 않는 그룹보다 환자안전 역량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김솔잎, 2018; 김정민, 2018), 환자안전교육 이 수여부는 교육 이수를 한 그룹이 교육 이수를 하지 않은 그룹보다 환자안전역 량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김미정, 김종경, 2017; 김솔잎, 2018). 본인의 과실유 무와 무관한 환자안전사고 보고경험은 환자안전사고 보고경험이 있는 그룹이 보고경험이 없는 그룹보다 환자안전역량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김솔잎, 2018;

서미란, 정경화, 2018; 이정자, 2019).

이상의 문헌을 통하여 연령, 최종학력, 총 임상경력, 현 부서경력, 근무부서, 의료기관 인증평가 경험, 환자안전관련 활동 참여 여부, 환자안전교육 이수여 부, 본인의 과실유무와 무관한 환자안전사고 보고경험과 같은 특성이 환자안전 역량의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연구에서 나타난 특성들을 포함하 여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의 여러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Ⅲ. 연구 방법

A. 연구설계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의 수준을 파악하고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 사연구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