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1. 현상학 연구

가. 현상학 연구

질적 연구는 참여자 중심의 시각에서 참여자의 눈으로 사건, 행동, 규범, 가치 등을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을 자연 그대로의 상태에서 이해하는 데 목표를 둔다. 그러므로 현상에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다양한 반응, 해석, 상대 방의 관점에 대한 상호작용내용, 시각의 변화 등을 강조하는 특성을 지닌다(이정 은, 2015). 질적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에 비해 계량화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지만, 동시에 우리의 삶에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문제를 연구할 때 실제로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행위자를 통해서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신경림 외,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면담, 하나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두 개 이 상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다양한 탐색을 하는 삼각법(triangulation), 유아교육전 문가의 검토, 연구 참여자의 확인 등을 통해 연구하며 질적 연구의 신뢰성을 높 이고, 현상학 연구의 대표적인 Colaizzi의 연구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Colaizzi는 자료수집 방법을 기술하는데 전체적인 강조점을 두었다. 특히 적절 한 자료출처를 적절한 자료 수집방법과 일치시키는 것에 강조를 두고 있다.

Colaizzi 방법의 자료 분석과정은 다음과 같은 6단계로 정리된다. 1단계, 자료에 서 느낌을 얻기 위해 대상자의 기술을 읽는다. 2단계, 탐구하는 현상을 포함하는 문장으로부터 의미있는 진술을 도출한다. 3단계, 의미있는 진술에서 좀 더 일반 적인 형태로 재진술한다. 4단계, 의미있는 진술과 재진술로부터 구성된 의미를 끌어낸다. 5단계, 도출된 의미를 주제, 주제모음, 범주로 조직한다. 6단계, 주제를 관심있는 현상과 관련시켜 명확한 진술로 완전하게 최종적으로 기술한다(김분한 외, 1996).

나. 현상학 연구의 과정

1) 연구 목적 및 질문 형성

현상학의 연구 목적에는 주로 ‘기술’, ‘경험’, ‘의미’, ‘본질’ 등의 용어가 포함된 다(Creswell, 1998; 백금순, 2015: 30에서 재인용). Moustakas(1994)에 의하면 현 상학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 첫째, 인간 경험의 본질과 의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추구한다. 둘째, 인간의 행동과 경험에 대한 질적인 요소 를 밝히고자 한다. 셋째,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전 인격적 참여와 개별적이고 열정적인 관여를 요구한다(권민수, 2014: 22에서 재인용).

2) 문헌고찰

현상학적 연구에서 문헌고찰은 연구의 모든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현상학의 연구 특성상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 연구 초기에는 연 구의 대상이 되는 현상과 관련하여 어느 정도까지 기존의 연구물에 의해 연구되 었는지를 확인하고, 어떠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한지를 알기 위해 문헌고찰이 필 요하다(신경림 외, 2004). 하지만 다른 연구방법과 달리 현상학에서는 자료의 수 집과정이나 해석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그 이상의 문헌고찰은 환원의 과정 을 실행하기 위해 자료 분석 후 연구결과를 고찰하는 단계까지 보류해 두는 것 이 바람직하다(신경림 외, 2004).

3) 연구 참여자의 선정

연구 참여자 선정은 적절성과 충분성의 원리에 의해 선정한다(신경림 외, 2004). 신경림(2004)은 적절성이란 연구 참여자를 선택할 때 연구에 대한 좋은 정보를 줄 수 있는가를 고려한 후 선택해야 하며, 충분성이란 자료가 포화 상태 가 되도록 수집하여야 하는 것을 말하는데 연구 현상에 대한 충분하고 풍부한 설명을 하는 데 필요하다고 하였다. 현상학에서는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한

심도 있는 경험을 했으며, 자신들의 경험에 대해 되짚어 생각해볼 수 있는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4) 자료 수집의 원리

현상학적 연구에서는 인터뷰, 관찰, 체험을 직접 서술한 자료의 수집, 연구 주 제에 관한 문학작품 수집 등의 다양한 자료 수집방법이 존재한다(vanManen, 1994; 이찬영, 2006: 26에서 재인용).

현상학적 연구에서는 수집되는 자료가 연구 참여자에게서 나온 것인지, 연구자 의 해석을 통해 나온 것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의식적으로 어떤 자료 가 참여자, 문헌고찰, 혹은 연구자의 인식으로부터 나온 것인지를 기록하는 습관 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신경림 외, 2004).

5) 자료 분석의 단계

현상학에서 자료를 분석할 때 주의할 점은 연구자의 경험과 선이해가 연구하 고자 하는 현상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막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 자료 분 석방법은 Moustakas(1994)의 주장을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첫째, 연구자는 기존 에 경험했던 세계 속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한 모습을 괄호 치기 (bracketing)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괄호 치기 과정을 통해서 연구자는 열린 태도 로 새로운 눈을 통해서 현상을 새롭게 경험하게 된다. 둘째, 괄호 치기 과정 이 후에 수평화 작업(horizonalizing)이 필요하다. 수평화 작업은 괄호 치기 과정을 통해 얻어진 각종 개념들에게 모두 동일한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각종 개념 에 대해서 모두 동일한 중요성을 부여하여 다양한 개념들을 모았을 때 연구하고 자 하는 현상에 대한 본질을 탐구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화 작업 이후에 조직적 진술(tectural description)을 하게 된다. 조직적 기술이란 촘촘하게 수집된 개념들 을 구성하여 하나의 의미단위를 만들도록 기술하는 것을 뜻한다. 셋째, 이러한 조직적 진술과정을 통해서 나타난 현상에 대해서 상상적 변형(imaginative variation)을 통해서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한 다양한 모습을 상상해 본다.

그리고 현상에 대한 다양한 모습 속에서 변하지 않고 존재하는 즉 그 현상이 현 상되도록 하는 본질을 찾아낸다. 넷째, 구조적 진술(structure description) 과정에 서는 상상적 변형을 통해서 얻어진 다양한 개념들을 연구 구조에 맞게 기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현상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본질이 파 악되게 된다(권민수, 2014: 23에서 재인용).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