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핵심범주 ‘ 문화 통합적인 어머니 되어가기’ 와 과정 분석

핵심범주(corecategory)혹은 중심범주는 선택 코딩을 통해 도출되었다.선택 코딩은 개방 코딩과 축 코딩을 통해 정교화 된 범주들을 재구성하는 과정이다.본 연구에서는 핵심범주를 결정하기 위하여 전체 현상을 포괄적으로 담을 수 있는 줄 거리(story line),즉 이야기 윤곽을 전개하였고,이를 참여자 1명에게 보여주어 확 인하는 과정을 거쳤다.핵심범주와 다른 범주들을 연결시켜 이론적 개요를 구성하 였다.

1.이야기 윤곽(Story Line)과 핵심범주

본 연구에서는 핵심범주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야기 윤곽을 서술하였 다.이야기 윤곽은 패러다임 모델의 인과적 조건,맥락,중재적 조건,상호작용 전략 등의 범주들 간의 개념들이 어떻게 참여자들의 이야기로 연결 되었는지 생생한 참 여자 진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중국에서 자란 참여자는 한국에 이주하게 된다.결혼하고 임신을 하여 아기를 낳게 된다.임신 소식을 듣고 여성은 행복한 삶의 기대에 부풀어 있지만.곧 감당해 야 할 여러 가지 일들이 떠올라 걱정에 휩싸이게 된다.임신에서부터 아기가 30개 월까지 자라기까지 이민자 어머니로서 정상적인 자녀 성장에 대해 걱정함(원인 조 건)은 지속적으로 계속되었다.그러한 걱정함이 좋은 엄마가 되기를 열망함(현상)으 로 나타나지만 좋은 엄마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 수도 없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도 모르기에 노력하면서도 애가 타고 있다.또한 참여자는 자신이 외국인인기에 차

별을 받는다고 느끼고 자신의 자녀도 차별을 받게 될 것이라는 생각으로 염려한다.

않아 위축되어(전략)밖에 나가는 것을 꺼리고 관계를 맺지 못하는 참여자는 이런

중재적 조건,상호작용 전략,어머니 됨의 결과 등으로 연결하여 서술하였으며,이 러한 이야기의 전개는 참여자가 한국에서 중국 양육 문화와 한국 양육 문화를 아우 르며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획득하고 두 문화를 통합한 어머니로서의 정체성을 이루 어 가는 과정으로 이해되었기에 ‘문화 통합적인 어머니 되어가기’로 참여자의 어머 니 됨을 추상화 할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의 핵심범주,한국 이주 중국 여성의 어 머니 됨은 '문화 통합적인 어머니 되어가기'이다.

2.‘문화 통합적인 어머니 되어가기’과정 분석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중재적 조건의 영향을 받아 상호작용 전략이 어떻게 사용 되는가를 분석한 결과를 과정 분석이라 한다.본 연구에서는 한국 이주 중국 여성 이 결혼 후 임신과 출산,양육의 기간을 거쳐 어머니가 되어가는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를 그림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2>.

그림 2.‘한국 이주 중국 여성의 어머니 되어가기’과정 단계

‘좋은 어머니 되기를 열망함’이라는 현상에서 위축되기,견뎌내기,도전하기, 정착하기의 상호작용 전략을 단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과정을 연구자는 문화위축기 -> 문화갈등기 -> 문화조절기 -> 문화통합기 등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이 네 단계는 참여자가 두 문화를 통합하여 어머니 되 어가는 과정에 영향을 주는 중재적 조건과 상황에 따라 중복되거나 반복되어 나타 나며 혹은 단계를 건너뛰어 통합에 이르는 결과를 보이기도 한다.과정 분석을 통 해 한국 이주 중국 여성이 문화 통합적인 어머니가 되어가는 과정의 각 단계별 내 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문화위축기 단계

한국사회에 이주하여 결혼,임신,출산,양육의 과정을 경험하는 참여자는 사 회적,문화적,양육 등의 총체적 낯섦에 직면하게 된다.또한 중국인이라는 차별,조 선족의 경우는 한국인을 동족으로 생각하지만 한국인으로부터 차별을 받게 되어 동 족으로부터 차별을 받는다고 느끼며,한국과 중국의 임신,출산,양육 문화의 차이 에서 비롯된 갈등과 어려움으로 위축된다.

(B)문화갈등기 단계

참여자는 한국사회에서 자녀를 양육하며 성장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나 두 문화의 차이로 인해 어머니 되어가면서 갈등을 경험한다.갈등의 내용은 임신 중 태교 음식 및 방식의 차이,출산 후 산후조리 방법과 산후조리 산관자에 대한 인식 의 차이,시댁의 전적인 아이 돌봄 책임,남편의 가사와 양육에 대한 동등한 역할 분담,아이를 중심으로 양육에 주력하는 정도의 차이 등이다.이에 참여자는 갈등을 견뎌내며 문화적 갈등기를 거치게 된다.

(C)문화조절기 단계

위축과 견딤을 경험한 참여자는 자신의 심리 사회적 관계를 새롭게 바라보며 두 문화 속에 있는 어머니 되는 과정의 방식을 탐색하고 조절하기 위한 시도를 함 으로서 도전하기 전략을 사용한다.가족과 지역사회 속에서 양립하는 두 문화의 양

육 방식을 비교하며 둘 다 사용해 보기도 하는 시행착오를 경험하여,두 문화에서 들어온 양육 문화의 장점들을 찾아가기 시작한다.

(D)문화통합기 단계

참여자는 한국사회에서 자신과 자녀의 성장을 위해 어머니 역할과 정체성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두 문화에서 기인한 양육방식을 통합적으로 수용한다.참여자는 좋은 어머니가 되기 위해 한국어 능력을 기르고 자녀 양육과 교육에 필요한 경제적 여건을 향상시키기 위해 취업을 결정하며 노력한다.자녀에게는 한국 교육을 통해 한국사회에 적합한 인재로 성장하기를 기대한다.어머니인 자신이 한국 사람이 아 나라는 점이 자녀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 할 것을 염려하였지만 중국인이라 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자녀에게 중국어를 가르치며 중국 문화 에 친숙해질 수 있는 교육을 한다.한국 이주 중국 여성을 어머니로 둔 자녀가 한 국과 중국,두 문화 통합적인 인식과 사고를 갖춘 한국인으로 성장하는 것이 ‘좋은 어머니 되기를 열망하는’참여자들의 어머니 되어가는 마지막 단계이다.

D.' 한국 이주 중국 여성의 어머니 됨' 의 유형과 상황모형

본 연구는 한국 이주 중국 여성이 어머니 되어가는 현상의 개념과 범주 간의 상호작용을 탐색하고 분석하여 세 가지 유형의 어머니 됨을 확인하였고,그들의 어 머니 됨을 포괄적으로 도식화한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1.'한국 이주 중국 여성의 어머니 됨'유형

참여자는 이민자 어머니로서 정상적인 자녀 성장을 걱정하는 원인 조건을 가 지고 공통적으로 좋은 어머니가 되기를 열망하고 있다.참여자가 처한 사회심리적 조건인 맥락의 차이(‘문화교차로에서의 차별’의 심함 - 약함,‘한국사회에서의 성장 욕구’의 강함 - 약함,‘총체적 낯섦’의 낯섦 - 친숙함)에 의해,중재적 조건,상호작 용 전략의 영향을 받아 각각 다른 어머니가 되어 가는 과정과 결과로 나타났다.이 론을 구축하기 위해서 가설적 관계진술문을 근거자료와 지속적으로 비교해 보면서 각 범주 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관계를 정형화하였다.그 결과에 따른 '문화 통 합적인 어머니 되어가기'과정에는 위축형,갈등형,통합형의 세 가지 유형이 확인 되었다.

(A)위축형

위축형은 맥락 중 ‘문화교차로에서의 차별’을 심하게 받고,‘한국사회에서의 성

용 전략으로는 위축하기를 주로 사용하며,문화 통합적인 양육과 어머니 됨을 이루 는데 어려움에 놓여있어서 양육이 고통스럽게 느껴지며 중국으로 돌아갈 생각으로 번민한다고 했다.돈 벌러 온 중국인이라는 한국인들의 인식과 차별을 느끼고 위축 되며,위축된 상태로 어머니 되어가는 과정을 겪는다.맥락과 중재적 조건이 가장 취약하며 중재적 지지조건이 강화되지 않거나 위축되기 전략을 지속하게 되면 결과 적으로 위축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한국에서의 어머니 됨은 고통스러운 상태가 된 다.

위축형은 참여자 1,4,10등으로 한족보다는 주로 조선족 참여자에게서 나타 나는데,한국 사람들이 참여자의 한국어 억양을 듣고 조선족인 것을 알아보고 눈치 를 주며 불편하게 하여 위축이 된다고 한다.그래서 한국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 하고 외롭다고 느낀다.한국사회 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아서 불편할 때가 많다.양육 은 처음 경험하는 일이라서 모든 것이 서툴고 어색하며 답답함을 느끼기도 한다.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나 기술이나 학력이 부족하고 조선족에 대한 차별 대우로 인 해 사회적으로 위축된다.배우자는 양육에 협조적이기는 하지만 서툴고 동일하게 양육에 대해 무지하기에 숙련된 도움을 주지 못한다.시댁이나 친정 가족은 기대에 못 미치는 지원을 제공한다.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다문화 가족에 대한 혜택을 받 고자 하였으나 수혜자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제외될 때가 많다.취 약한 환경에서 충분한 자원이 없어 적절하게 도움을 받지 못한다는 생각에 사회적 위축은 가중된다.결과적으로 참여자는 언제까지 한국사회에서 아이를 키우며 살아 가야 할지 고민한다.

(B)갈등형

조리와 양육법 전수의 과정은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문화적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한국식으로 현대적 편리함을 따르고 싶은 참여자와는 달리,친정엄마의 중국

조리와 양육법 전수의 과정은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문화적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한국식으로 현대적 편리함을 따르고 싶은 참여자와는 달리,친정엄마의 중국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