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함수의 극한과 연속

문서에서 Ⅰ 미적분 (페이지 87-103)

69

= = =y=cos 30˘= 이므로 O’A¡”=O’A”¥ = (∵ O’A”=1)

O’A™”=O’A¡”¥ ={ }¤ O’A£”=O’A™”¥ ={ }

= = =y=sin 30˘=;2!;이므로 A’A¡”=OA”¥;2!;=;2!; (∵ O’A”=1)

A’¡A™”=O’A¡”¥;2!;= ¥;2!;

A’™A£”=O’A™”¥;2!;={ }¤ ¥;2!;

따라서 구하는 길이의 합 S는

S=A’A¡”+A’¡A™”+A’™A£”+A’£A¢”+y S=;2!;+;2!;¥ +;2!;¥{ }¤ +;2!;¥{ }‹ +y

S= =2+'3 2+'3

13114;2!;

1-12'32

12'32 12'32

12'32 12'32 12'32 A’™A£”

1134O’A™”

A’¡A™””

1134O’A¡”

A’A¡”

115OA”

12'32 12'32

12'32 12'32

12'32 12'32

12'32 115OA£”

OA™”

115OA™”

OA¡”

115OA¡”

OA”

70

xfi -4x-24를 인수정리에 의한 조립제법으로 인수 분해하면

xfi -4x-24=(x-2)(x› +2x‹ +4x¤ +8x+12)

∴ lim

x⁄2

(x-2)(x› +2x‹ +4x¤ +8x+12)

=lim

x⁄211111111111111x-2

=lim

x⁄2(x› +2x‹ +4x¤ +8x+12)

=16+16+16+16+12

=76

71

x⁄ 2+일 때, x>2이므로

|x-2|=x-2

=

= (x-3)=-1

x⁄ 2-일 때, x<2이므로

|x-2|=-(x-2)

=

= (-x+3)=1

따라서 +

이므로 극한 은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하지 않는다.

72

⑴ lim

xڦ{log (x+1)-log x}

=limxڦ{log ::[::

x+1 }

=log [ lim

xڦ{1+;[!;}]

=log 1=0

x¤ -5x+6 112112|x-2|

limx⁄2

x¤ -5x+6 112112|x-2|

xlim

⁄2-x¤ -5x+6 112112|x-2|

xlim⁄2+

xlim

⁄2-(x-2)(x-3) 1121111-(x-2)

xlim

⁄2-x¤ -5x+6 112112|x-2|

xlim

⁄2-xlim⁄2+

(x-2)(x-3) 1121111x-2

xlim⁄2+

x¤ -5x+6 112112|x-2|

xlim⁄2+

xfi -4x-24 112111x-2

⑵ lim

x⁄3{log™ |x-3|-log™ |'ƒx+1-2|}

=lim x-3

x⁄3log™F111125F '∂x+1 -2

(x-3)('∂x+1 +2)

=log™Flimx⁄311112522222223Fx-3

=log™Ïlimx⁄3('∂x+1+2)Ï

=log™ 4=2

⑴ 0 ⑵ 2

73

x=-t로 놓으면 x ⁄ -¶일 때, t ⁄ ¶이므로

x {3- }

=- t {3- }

=-=-¶

74

② x=-t로 놓으면 x ⁄ -¶일 때, t ⁄ ¶이므로

=

= =-;2!;

=

= x-2

1121111115 (x-2)('ƒx+2+2) limx⁄2

('ƒx+2-2)('ƒx+2+2) 11211111111

(x-2)('ƒx+2+2) limx⁄2

'ƒx+2-2 11211x-2 limx⁄2

-1+;t!;

11111 Æ…1-;t!;+1

tlimڦ

112112-t+1

"√t¤ -t+t

tlimڦ

112112x+1

"√x¤ +x-x

xlim⁄-¶

11111111111155t+7 Æ…;t!;+1 {3Æ…;t!;+1+Æ…;t@;+4 }

tlimڦ

5t¤ +7t

11111111112 'ƒ1+t(3'ƒ1+t+'ƒ2+4t)

tlimڦ

t(3'ƒ1+t-'ƒ2+4t)(3'ƒ1+t+'ƒ2+4t) 11111111111111112

'ƒ1+t(3'ƒ1+t+'ƒ2+4t )

tlimڦ

t(3'ƒ1+t-'ƒ2+4t) 111111111

'ƒ1+t

tlimڦ

'ƒ2+4t 11215

'ƒ1+t

tlimڦ

'ƒ2-4x 11215

'ƒ1-x

xlim⁄-¶

=

=;4!;

('x-'ƒx-1)

=

= =0

⑤ x ⁄ -¶에서 x<0이므로 |x|=-x

=

=

이때 x=-t로 놓으면 x ⁄ -¶일 때, t ⁄ ¶ 이므로

= =-;3!;

75

=k(k+3)로 놓으면

=

= =

=-3

76

(x+1)=2, x¤ =1

따라서 f(x)+ f(x)이므로

x⁄1일 때, f(x)의 극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존재하지 않는다.

xlim ⁄1-xlim⁄1+

xlim ⁄1-xlim⁄1+

-3(3-k) 111113-k -9+3k

11113-k

3f(x) 10x-9+111x 11111112f(x)

2x+3-112x limx⁄0

10x¤ -9x+3f(x) 1111111252x¤ +3x-f(x) limx⁄0

112f(x)x limx⁄0

11125-6t+12t+1

tlimڦ

-2x+1 11116x+1

xlim⁄-¶

-2x+1 11116x+1

xlim⁄-¶

x-3x+1 11211252x+4x+1

xlim⁄-¶

x+3|x|+1 11211122x-4|x|+1

xlim⁄-¶

11211251 'x+'ƒx-1

xlimڦ

('x-'ƒx-1)('x+'ƒx-1) 1121111111112

'x+'ƒx-1

xlimڦ

xlimڦ

111121 'ƒx+2+2 limx⁄2

http://zuaki.tistory.com

77

a= f(x)=3

b= f(x)=1 c= f(x)=-5

∴ a+b+c=3+1-5=-1 -1

78

f(x)= {-(x-2)¤ +k}=-1+k f(x)= (3x+5)=8

에서 f(x)의 값이 존재하므로 f(x)= f(x)

-1+k=8 ∴ k=9

∴ f(x)=[

∴ f(4)=-(4-2)¤ +9=5

79

ㄱ. x=1에서의 좌극한을 구 하면

=-¶

ㄴ. x⁄ 2-일 때, x<2이 므로

|x-2|=-(x-2)

= =-1

ㄷ. 0<x<1일 때, [x]=0

[x]=0 1<x<2일 때, [x]=1

[x]=1

따라서 [x]+ [x]이므로 극한값 [x]는 존재하지 않는다.

limx⁄1

xlim ⁄1-xlim⁄1+

xlim⁄1+

xlim

⁄1-11112-(x-2)x-2

xlim

⁄2-1115|x-2|x-2

xlim

⁄2-112x-1x

xlim⁄1- O

1 1

x y y= x

x-1

-(x-2)¤ +9 (x>1) 3x+5 (x…1)

xlim ⁄1-xlim⁄1+

limx⁄1

xlim ⁄1-xlim

⁄1-xlim⁄1+

xlim⁄1+

xlim ⁄2-xlim⁄2+

xlim

⁄-1-ㄹ.

=[

=-1

ㅁ. =0

ㅂ.

=

= (x-1)=-1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ㄴ, ㄹ, ㅁ, ㅂ의 4

개이다.

80

f(x)=3, g(x)=-3이므로 f(x)g(x)= f(x)¥ g(x)

=3¥(-3)=-9 f(x)=-3, g(x)=3이므로 f(x)g(x)= f(x)¥ g(x)

=(-3)¥3=-9

따라서 f(x)g(x)= f(x)g(x)=-9 이므로

f(x)g(x)=-9 -9

81

x‹ -a‹ (x-a)(x¤ +ax+a¤ )

⑴ lim

x⁄a1115=lim

x⁄a1111111113 x¤ -a¤ (x-a)(x+a) limx⁄a1115=lim

x⁄a

limx⁄a1115=3a¤

2a

x¤ +ax+a¤

x+a limx⁄2

xlim ⁄2-xlim⁄2+

xlim ⁄2-xlim

⁄2-xlim

⁄2-xlim ⁄2-xlim

⁄2-xlim⁄2+

xlim⁄2+

xlim⁄2+

xlim⁄2+

xlim⁄2+

limx⁄0

x(x-1) 112125x limx⁄0

x¤ -x 1123x limx⁄0

O x

y

y=|x| 7 1257

lim|x|

xڦ

|x+2|

1115x+2

xlim⁄-¶

1 (x>-2)

-1 (x<-2) O x

y 1

-1 -2

y= x+2

|x+2|

|x+2|

1115x+2

http://zuaki.tistory.com

=6에서 a=4 limx⁄¶("√x¤ +ax-"√x¤ +bx)

(a-b)x

=limxڦ111111112

"√x¤ +ax+"√x¤ +bx

=lim a-b

x⁄¶111111112 Æ…1+;[A; +Æ…1+;[B;

=112a-b2

=3에서 =3

∴ b=-2

∴ a+b=4+(-2)=2

⑵ x-1=t로 놓으면 x-2=t-1이고 x⁄ 2일 때, t⁄ 1이므로

f(x-2) limx⁄2 1111x¤ -4

f(x-2)

=limx⁄2 1111112(x-2)(x+2)

1 f(x-2)

=limx⁄2 112¥limx+2 x⁄2 1111x-2 f(t-1)

=;4!;¥lim

t⁄1 1111t-1

=;4!;¥1=;4!;

⑴ 2 ⑵ ;4!;

82

-1<x<0일 때, [x]=-1 0<x<1일 때, [x]=0

∴ lim

x⁄0+[x]=0, lim

x⁄0-[x]=-1,

∴lim

x⁄0+[x+1]=1, lim

x⁄0-[x-1]=-2,

∴lim

x⁄3+[x-3]=0

① lim x

x⁄0-124=0[x]

② lim [x]

x⁄0+124=0x

[x-1] -2

③ lim

x⁄0-124125=limx-1 x⁄0-112=2x-1 1124-b2 112a-b2

3a¤

2a

④ lim x+1

x⁄0+124125=1[x+1]

[x-3]

⑤ lim

x⁄3+124125=0

x-3

83

⑴ [x]=x-h(0…h<1)로 놓으면

=

=

=

=-;5!;

⑵ [x]=x-h(0…h<1)로 놓으면 ("√x¤ +[x]-x)

= ("√x¤ +x-h-x)

=

=

=

=;2!;

⑶[;4{;]=;4{;-h (0…h<1)로 놓으면 limx⁄¶;[*; [;4{;]=limx⁄¶;[*; {;4{;-h}

limxڦ;x*; [;4X;]=lim

x⁄¶{2-;[*; ¥h}=2

⑴ -;5!; ⑵;2!; ⑶ 2 1-;[H;

11111111h æ≠1+;[!;-13+1x¤

xlimڦ

1111112x-h

"√x¤ +x-h+x

xlimڦ

("√x¤ +x-h-x)("√x¤ +x-h+x) 1121111111111115

"√x¤ +x-h+x

xlimڦ

xlimڦ

xlimڦ

-1+:£[Ó:

11113 5-:™[Ó:

xlimڦ

-x+3h 11115x-2h

xlimڦ

2x-3(x-h) 11211113x+2(x-h)

xlimڦ

2x-3 [x]

111153x+2 [x]

xlimڦ

[1.2]=1=1.2-0.2 [-3.4]=-4=-3.4-0.6 따라서 일반적으로 x가 실수일 때 [x]=x-h (단, 0…h<1) KEY Point

http://zuaki.tistory.com

84

ㄱ. 0<x<1일 때, 1<x+1<2이므로 [x+1]=1

= =1

x¤ -3x x(x-3) ㄴ. lim

x⁄ 3+1112= lim|x-3| x⁄ 3+1111=3x-3 x¤ -3x x(x-3) ㄴ. lim

x⁄ 3-1112= lim|x-3| x⁄ 3-11112=-3-(x-3)

따라서 + 이므로

극한 는 존재하지 않는다.

ㄷ. -1<x<0일 때, [x]=-1이므로

= =-;2!;

-2<x<-1일 때, [x]=-2이므로

= =-;5@;

따라서 + 이므

로 극한 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ㄱ이다.

85

[x]=2이므로

([x] ¤ +a[x])=4+2a …… ㉠ [x]=1이므로

([x] ¤ +a [x])=1+a …… ㉡

㉠, ㉡에서 4+2a=1+a이므로 a=-3

[x]=n, [x]=n-1이므로

= =n+2 …… ㉠

=

=n¤ +1 …… ㉡

1123n-1 (n-1)¤ +2n 111111n-1 [x] ¤ +2x

112135[x]

xlim

⁄n-n¤ +2n 1112n [x] ¤ +2x

112125[x]

xlim⁄n+

xlim ⁄n-xlim⁄n+

xlim ⁄2-xlim ⁄2-xlim⁄2+

xlim⁄2+

1121[x] ¤ -x[x]

xlim⁄-1

1121[x] ¤ -x[x]

xlim

⁄-1-1121[x] ¤ -x[x]

xlim⁄-1+

1124-x-2

xlim

⁄-1-1121[x] ¤ -x[x]

xlim

⁄-1-1121-x-1

xlim⁄-1+

1121[x] ¤ -x[x]

xlim⁄-1+

x¤ -3x 1121|x-3|

limx⁄3

x¤ -3x 1121|x-3|

xlim

⁄3-x¤ -3x 1121|x-3|

xlim⁄3+

112x+11

xlim⁄0+

1115[x+1]x+1

xlim⁄0+

의 값이 존재하므로 ㉠, ㉡에서 n+2= , n¤ +1=n¤ +n-2 ∴ n=3

=5

⑴ -3 ⑵ n=3, 극한값:5

86

( f Á g)(x)=f( g(x))=(2x-1)¤

(g Á f )(x)=g( f(x))=2x¤ -1

∴ (주어진 식)

(2x-1)¤ -(2x¤ -1)

=lim

x⁄1111111111(x¤ -1)(x‹ -1) 2(x-1)¤

=lim

x⁄1111111111111112(x+1)(x-1)(x-1)(x¤ +x+1)

=lim 2

x⁄1111111115(x+1)(x¤ +x+1)

=;3!; ;3!;

87

3f(x)-2g(x)=h(x)로 놓으면 2g(x)=3f(x)-h(x), lim

xڦh(x)=1 f(x)+4g(x)

∴ lim

xڦ`-2f(x)+6g(x)1111111

f(x)+2 {3f(x)-h(x)}

∴=lim

xڦ111111111111-2f(x)+3 {3 f(x)-h(x)}

7f(x)-2h(x)

∴=lim

x⁄¶11111127f(x)-3h(x) 7-2¥11h(x)f(x)

∴=lim

x⁄¶111112 h(x) 7-3¥11f(x) 7-2¥0

∴=11123=1 1

7-3¥0

88

x-2=t로 놓으면 x ⁄ 2일 때, t ⁄ 0이므로

= f(t)

112112(t+2)¤ -4 limt⁄0

f(x-2) 11212x¤ -4 limx⁄2

[x] ¤ +2x 112135[x]

limx⁄3

n¤ +1 1123n-1 [x] ¤ +2x 112135[x]

limx⁄n

¤ = lim =0

xڦh(x)

11112 limxڦf(x) 112h(x)f(x)

xlimڦ

http://zuaki.tistory.com

=

= [ ¥ ]

=3¥;4!;=;4#; ;4#;

89

x¤ -ax+2

limx⁄21111232=k(k는 상수)라 하면x-2 limx⁄2(x¤ -ax+2)=0

4-2a+2=0 ∴ a=3 x¤ -3x+2

∴ k=lim

x⁄2111123x-2 (x-1)(x-2)

∴ k=lim

x⁄21111113=1x-2

∴ ak=3_1=3 3

90

x⁄1일 때, x-1 ⁄0이므로 limx⁄1(a'x+b)=0

a+b=0 ∴ b=-a

a'x +b a'x -a a('x -1)

∴ lim

x⁄11112=limx-1 x⁄11112=limx-1 x⁄1111253x-1 a(x-1)

=limx⁄1111251114 (x-1)('x +1)

=;2A;

따라서;2A;=1에서 a=2

∴ b=-2

∴ ab=-4

91

x ⁄ -3일 때, (분모) ⁄ 0이므로 (분자) ⁄ 0이 어야 한다.

("√x¤ -x-3+ax)=0

'ƒ9+3-3-3a=0, 3-3a=0 ∴ a=1

∴ lim 11211112"√x¤ -x-3+axx+3

x⁄-3 xlim⁄-3

112t+41 112f(t)t limt⁄0

11125t(t+4)f(t)

limt⁄0=

=

=

=

=-;6!;

∴ b=-;6!;

∴ a+b=1+{-;6!;}=;6%; ;6%;

92

=-1, =-1이므 로 함수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f(x)=-1 -1

93

=9에서 x⁄1일 때, (분모)⁄0이 므로 (분자) ⁄ 0이어야 한다.

{ f(x)+1}=f(1)+1=0이므로 f(1)=-1

=

= _

=9_{ }=-3 -3

94

x« +ax-3

limx⁄111111=10에서 x ⁄ 1일 때,x-1 (분모)⁄ 0이므로 (분자) ⁄ 0이어야 한다.

즉 lim

x⁄1(x« +ax-3)=0이므로 1+a-3=0 ∴ a=2

11-13

11112x¤ +x+1f(x) limx⁄1

f(x)+1 1111x-1 limx⁄1

f(x){ f(x)+1}

111111112(x-1)(x¤ +x+1) limx⁄1

{ f(x)}¤ +f(x) 1111112x‹ -1 limx⁄1

limx⁄1

f(x)+1 11212x-1 limx⁄1

xlimڦ

1122-xx

xlimڦ

1+5x-3x¤

1111123x¤

xlimڦ

1111112-1

"√x¤ -x-3-x

xlim⁄-3

-(x+3) 11111111112

(x+3)("√x¤ -x-3-x)

xlim⁄-3

("√x¤ -x-3+x)("√x¤ -x-3-x)1121111111111125 (x+3)("√x¤ -x-3-x)

xlim⁄-3

"√x¤ -x-3+x 1121111x+3

xlim⁄-3

http://zuaki.tistory.com

x« +2x-3=(x-1)(x« —⁄ +x« —¤ +y+x+3)

x« +2x-3

∴ lim

x⁄111111x-1

∴=lim

x⁄1

∴=lim

x⁄1(x« —⁄ +x« —¤ +y+x+1+2)

=n+2=10

∴ n=8 8

95

=2에서 x⁄ 0일 때, (분모) ⁄ 0이므 로 (분자)⁄ 0이어야 한다.

즉 lim

x⁄0f(x)=0이므로 f(0)=0

=a에서

f(x)-3x¤ =ax+k (k는 상수)라 하면 f(x)=3x¤ +ax+k

f(0)=0에서 f(0)=k=0이므로 f(x)=3x¤ +ax 3x¤ +ax

즉 lim

x⁄01111=2에서x limx⁄0(3x+a)=2

∴ a=2 2

96

f(x)=ax‹ +bx¤ +cx+d라 하면 f(1)=0, f(-2)=0이므로

f(x)=(x-1)(x+2)(ax+k)(k는 상수) 로 놓을 수 있다.

lim f(x)

x⁄111114=limx⁄1(ax+k)=a+k=1 x¤ +x-2

`lim f(x)

x⁄-211114=limx⁄-2(ax+k)=-2a+k=4 x¤ +x-2

따라서 a=-1, k=2이므로 f(x)=(x-1)(x+2)(-x+2) f(x)=-x‹ +x¤ +4x-4

∴ a=-1, b=1, c=4, d=-4

a=-1, b=1, c=4, d=-4 f(x)-3x¤

111115x

xlimڦ

112f(x)x limx⁄0

(x-1)(x« —⁄ +x« —¤ +y+x+3) 112111111111112x-1

97

x¤ +ax+b

⑴ lim

x⁄011111=c에서 x ⁄ 0일 때,x (분모)⁄ 0이므로 (분자) ⁄ 0이어야 한다.

즉 lim

x⁄0(x¤ +ax+b)=0에서

b=0 yy㉠

lim 1

x⁄1+113=¶에서 lim

x⁄1+f(x)=0이므로 f(x)

1+a+b=0 yy㉡

㉠, ㉡에서 a=-1 x¤ +ax+b

∴ c=lim

x⁄011111x

x¤ -x x(x-1)

∴ c=lim

x⁄0111=lim

x⁄01111

x x

∴ c=lim

x⁄0(x-1)=-1

∴ a+b+c=-1+0+(-1)=-2

⑵ lim

x⁄¶` =1에서 극한값이 1이므로 분

모, 분자는 같은 차수이고 f(x)는 이차식이다.

따라서 f(x)=ax¤ +bx+c(a+0)라 하면

xlim⁄¶` =1에서 a=2 또 lim

x⁄-2 =-1에서 x⁄`-2일 때, (분모)⁄ 0이므로 (분자) ⁄ 0이어야 한다.

즉 lim

x⁄-2(2x¤ +bx+c)=0에서 8-2b+c=0

∴ c=2b-8

∴ lim

x⁄-2

∴=lim

x⁄-2

=lim

x⁄-2

=lim

x⁄-2

=

=-1

∴ b=9, c=10 -4-4+b

-2+1 2x-4+b

x+1

(x+2)(2x-4+b) (x+1)(x+2) 2x¤ +bx+2b-8

x¤ +3x+2 f(x)

x¤ +3x+2 2x¤ +bx+c

x¤ +3x+2 ax¤ +bx+c

2x¤ -x+3 f(x) 2x¤ -x+3

http://zuaki.tistory.com

∴ f(x)=2x¤ +9x+10

∴ f(1)=2+9+10=21

⑴ -2 ⑵ 21

98

⑴ { +a}

= =b

x ⁄ 1일 때, (분모) ⁄ 0이므로 (분자) ⁄ 0이 어야 한다.

(x¤ +ax+a)=0에서 2a+1=0 ∴ a=-;2!;

=

=

=

=

=;4#;=b

∴ b-a=;4#;-{-;2!;}=;4%;

('ƒx+a'ƒx+b-x)

=

=

=

=

=2

∴ a+b=4 112a+b2

a+b+:Å[ı:

111111112 Æ…1+;[A;Æ…1+;[B;+1

xlimڦ

(a+b)x+ab 11111112

'ƒx+a'ƒx+b+x

xlimڦ

('ƒx+a'ƒx+b-x)('ƒx+a'ƒx+b+x) 11111111111111115

'ƒx+a'ƒx+b+x

xlimڦ

xlimڦ

11112(x+1)2x+1 limx⁄1

(2x+1)(x-1) 111111152(x-1)(x+1) limx⁄1

2x¤ -x-1 111111152(x-1)(x+1) limx⁄1

x¤ -;2!;x-;2!;

11111125(x-1)(x+1) limx⁄1

x¤ +ax+a 11111125(x-1)(x+1) limx⁄1

limx⁄1

x¤ +ax+a 11111125(x-1)(x+1) limx⁄1

112x+1x¤

112x-11 limx⁄1

⑶ x=-t로 놓으면 x ⁄ -¶일 때, t ⁄ ¶이므로 ("√x¤ +3ax+2-"√ax¤ +ax+1)

= ("√t¤ -3at+2-"√at¤ -at+1)

=

=

= =b

1-a=0일 때, 극한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a=1

∴ b= =-1

∴ a+b=1-1=0

⑴;4%; ⑵ 4 ⑶ 0

99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에 을 곱하면

x>1일 때

… …

¤ x<1일 때

… …

그런데

=

= 2x(x-2)=-2

=

= (x‹ -x¤ -x-1)=-2 이므로

=-2 -2

112x-1f(x) limx⁄1

limx⁄1

(x-1)(x‹ -x¤ -x-1) 11111111113x-1 limx⁄1

x› -2x‹ +1 111115x-1 limx⁄1

limx⁄1

2x(x-1)(x-2) 111111125x-1 limx⁄1

2x‹ -6x¤ +4x 1111112x-1 limx⁄1

2x‹ -6x¤ +4x 1111112x-1 112x-1f(x)

x› -2x‹ +1 111115x-1

x› -2x‹ +1 111113x-1 112x-1f(x)

2x‹ -6x¤ +4x 1121111x-1

112x-11 1121+1-2

(1-a)t-2a+;t!;

111111111112123a 2 1 æ≠1-12+15+æ≠a-;tA;+15t

tlimڦ

(1-a)t¤ -2at+1 1111111111125

"√t¤ -3at+2+"√at¤ -at+1

tlimڦ

t¤ -3at+2-at¤ +at-1 1111111111125

"√t¤ -3at+2+"√at¤ -at+1

tlimڦ

tlimڦ

xlim⁄-¶

http://zuaki.tistory.com

100

f(1)=0, f(-1)=0이어야 하므로 f(x)=(x-1)(x+1)g(x) 라 하면

f(x) (x-1)(x+1)g(x) limx⁄1112=lim

x⁄1112111111

x-1 x-1

limx⁄1112=lim

x⁄1(x+1)g(x)=2 g(1)

2 g(1)=-6에서 g(1)=-3 …… ㉠ f(x) (x+1)(x-1)g(x)

xlim⁄-1112= lim

x⁄-1112111111

x+1 x+1

xlim⁄-1112= lim

x⁄-1(x-1)g(x)=-2g(-1) -2 g(-1)=2에서 g(-1)=-1 …… ㉡

㉠, ㉡을 만족시키는 차수가 가장 낮은 다항식은 일 차식이므로 g(x)=ax+b라 하면

g(1)=a+b=-3 …… ㉢

g(-1)=-a+b=-1 …… ㉣

㉢, ㉣을 연립하여 풀면 a=-1, b=-2

∴ g(x)=-x-2

∴ f(x)=-(x-1)(x+1)(x+2)

f(x)=-(x-1)(x+1)(x+2)

101

⁄ lim f(x)

x⁄-¶1111135=2에서 2x-"≈x¤ +3

f(x)(2x+"≈x¤ +3 )

xlim⁄-¶1111131114=23x¤ -3 15 꼴이고 극한값이 2이므로¶¶

(분모의 차수)=(분자의 차수)이고 극한값 2는 분모, 분자의 최고차항의 계수의 비이다.

∴ f(x)=6x+k (k는 상수) …… ㉠

¤lim f(x)

x⁄211114=p에서x¤ +x-6

limx⁄2f(x)=0 ∴ f(2)=0 …… ㉡

㉠, ㉡에서 12+k=0 ∴ k=-12

∴ f(x)=6x-12 6x-12

∴ p=lim

x⁄211114x¤ +x-6

6(x-2)

∴ p=lim

x⁄21111411=;5^;(x-2)(x+3)

f(x)=6x-12, p=;5^;

102

;[!;=t라 하면 x ⁄ 0+일 때, t ⁄ ¶이므로

=

= =5

∴ f(x)=x‹ +5x¤ +ax+b yy ㉠

한편 =;3!;에서

x⁄ 1일 때, (분모) ⁄ 0이므로 (분자) ⁄ 0이어야 한다. 즉 f(x)=0

f(1)=6+a+b=0 (∵ ㉠)에서 b=-a-6

=

=

=

= =;3!;

따라서 a=-12, b=6이므로 f(x)=x‹ +5x¤ -12x+6

∴ f(2)=2‹ +5¥2¤ -12¥2+6

=10 10

103

x ⁄ 1-일 때, g(x)=-1이므로 f(g(x))=f(-1)=0

x ⁄ -1+일 때, f(x) ⁄ 1-이므로 f(x)=t로 놓 으면

xlim

⁄1-11113+a3

x¤ +6x+a+6 1111112x+2 limx⁄1

(x-1)(x¤ +6x+a+6) 11211111111(x-1)(x+2) limx⁄1

x‹ +5x¤ +ax-a-6 1121111112(x-1)(x+2) limx⁄1

11211x¤ +x-2f(x) limx⁄1

limx⁄1

11211x¤ +x-2f(x) limx⁄1

f(t)-t‹

11213t¤ +1

tlimڦ

15f(t)-1t‹1 11211251

15+;t!;t‹

tlimڦ

x‹ f {;[!;}-1 1121125x‹ +x

xlim⁄0+

http://zuaki.tistory.com

g( f(x))= g(t)=-1

f(g(x))- g( f(x))=0+1=1 1

104

ㄱ. f(x)=0이고 f(x)=1이므로 극한값 은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ㄴ. x ⁄ 1+일 때, f(x) ⁄ 0+이므로 f(x)=t로 놓으면

f( f(x))= f(t)=1 (참) ㄷ. x ⁄ 1-일 때, f(x)=1이므로

f( f(x))=f(1)=0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ㄴ, ㄷ

105

(우극한)=(좌극한)일 때, 극한값이 존재한다.

ㄱ. { f(x)+g(x)}=0+3=3 ㄱ. { f(x)+g(x)}=0+(-3)=-3 ㄱ. 즉 { f(x)+g(x)}+ { f(x)+g(x)}

ㄱ. 이므로 극한 { f(x)+g(x)}는 존재하지 않 ㄱ. 는다.

ㄴ. [{ f(x)}¤ +{ g(x)}¤ ]=0¤ +3¤ =9 ㄴ. lim[{ f(x)}¤ +{ g(x)}¤ ]=0¤ +(-3)¤ =9

x ⁄2-xlim⁄2+

limx⁄2

xlim ⁄2-xlim⁄2+

xlim ⁄2-xlim⁄2+

xlim

⁄1-tlim⁄0+

xlim⁄1+

xlim ⁄1-xlim⁄1+

xlim⁄-1+

xlim

⁄1-tlim ⁄1-xlim⁄-1+

1. g( f(x))의 값을 구할 때에는

x ⁄ a일 때, f(x) ⁄⁄ b인 것과 f(x)=b인 것을 구분하여 계산한다.

① x ⁄ a일 때, f(x) ⁄⁄ b이면

f(x)=t로 놓고 g( f(x))= g(t)

② x ⁄ a일 때, f(x)=b이면 g( f(x))=g(b)

2. 합성함수 g( f(x))의 극한값을 구할 때에는 우극한 과 좌극한에 주의하면서 f(x)=t로 놓는다.

x ⁄ a+일 때, f(x) ⁄⁄ b+이면 t ⁄⁄ b+

g( f(x))= g(t) =lim g(x)

x⁄b+

lim

t⁄b+

lim

x⁄a+

lim

x⁄a

lim

t⁄b

lim

x⁄a

limx⁄a

KEY Point

ㄴ. ∴ [{ f(x)}¤ +{ g(x)}¤ ] ㄴ. ∴= [{ f(x)}¤ +{ g(x)}¤ ] ㄷ. { f(x)g(x)}=0_3=0 ㄱ. { f(x)g(x)}=0_(-3)=0 ㄱ. ∴ { f(x)g(x)}= { f(x)g(x)}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ㄴ, ㄷ이다.

ㄴ, ㄷ

106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x¤ +y¤ =r¤

점 P(x, y)는 원과 곡선 y="x 위에 있으므로 x¤ +y¤ =r¤ , y='x를 연립하여 r를 구하면 x¤ +x=r¤ ∴ r="√x¤ +x

∴ QH”=r-x="√x¤ +x-x 또한 PH”¤ =y¤ =('x)¤ =x이므로

PH” ¤ x

xlim⁄ 0+113=limQH” x⁄0+11111"√x¤ +x-x

PH¤” x("√x¤ +x+x) limx⁄0112= lim

x⁄ 0+111111111112 QH” ("√x¤ +x-x)("√x¤ +x+x) limx⁄0112= lim

x⁄ 0+("√x¤ +x+x)=0 0

107

오른쪽 그림에서

f(a)=c, f(x)=c, f(x)=b

이므로 lim

x⁄af(x)의 값이 존 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x=a에서 불연속이다.

108

x=0에서 연속이면 f(x)=f(0)

f(x)= x|x|=0이고 f(0)=0

따라서 f(x)=f(0)이므로 x=0에서 연속 이다.

limx⁄0

limx⁄0

limx⁄0

limx⁄0 xlim

⁄a-xlim⁄a+

O y

a x b c

xlim ⁄2-xlim⁄2+

xlim ⁄2-xlim⁄2+

xlim ⁄2-xlim⁄2+

http://zuaki.tistory.com

[x]=0, [x]=-1이므로 f(x)= x [x]=0 f(x)= x [x]=0 f(0)=0

따라서 f(x)=f(0)이므로 x=0에서 연속 이다.

f(x)= ;[{;=1

f(x)= =-1

f(x)+ f(x)

따라서 f(x)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x=0에서 불연속이다.

f(x)= (x¤ +1)=1 f(0)=1

f(x)=f(0) 따라서 x=0에서 연속이다.

f(x)= =

= =-3

f(0)=3

f(x)+f(0)

따라서 x=0에서 불연속이다.

③, ⑤

109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려면 x=-1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f(x)= (x‹ +bx+2)=1-b f(x)= (-x¤ +x+a)=a-2 f(x)= f(x)=f(-1)에서 1-b=a-2=2

∴ a=4, b=-1

∴ ab=-4 -4

x⁄-1-lim

xlim⁄-1+

x⁄-1-lim

xlim

⁄-1-x⁄-1+lim

xlim⁄-1+

limx⁄0

112x-3x+1 limx⁄0

x(x-3) 11115x(x+1) limx⁄0

x¤ -3x 1112x¤ +x limx⁄0

limx⁄0

limx⁄0

limx⁄0

limx⁄0

limx⁄0

xlim ⁄0-xlim⁄0+

11-xx

xlim ⁄0-xlim

⁄0-xlim⁄0+

xlim⁄0+

limx⁄0 xlim ⁄0-xlim

⁄0-xlim⁄0+

xlim⁄0+

xlim

⁄0-xlim⁄0+

110

함수 f(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lim

x⁄1f(x)=f(1) 이어야 하므로

=c yy`㉠

x⁄1일 때, (분모) ⁄ 0이므로 (분자) ⁄ 0이다.

(x‹ +ax+b)=0이므로

1+a+b=0이어∴ b=-a-1 yy`㉡

㉡을 ㉠에 대입하면 x‹ +ax-a-1 limx⁄11111113(x-1)¤

(x-1)(x¤ +x+1)+a(x-1)

=limx⁄1111111311111125(x-1)¤

x¤ +x+1+a

=limx⁄111111245x-1

여기서 다시 x⁄1일 때, (분모) ⁄ 0이므로 (분자)⁄ 0이다.

(x¤ +x+1+a)=0이므로 1+1+1+a=0

∴ a=-3

a=-3을 ㉡에 대입하면 b=2 x‹ -3x+2

∴ lim

x⁄1f(x)=lim

x⁄111111(x-1)¤

x¤ +x-2

∴ lim

x⁄1f(x)=lim

x⁄111113x-1

∴ lim

x⁄1f(x)=lim

x⁄1(x+2)=3=c

∴ a+b+c=-3+2+3

=2 2

111

x=0에서 연속이므로 lim

x⁄0f(x)=f(0) '∂1+x -'∂1-x

limx⁄01111111x

=lim 2x

x⁄0111111113 x('∂1+x +'∂1-x )

=lim 2

x⁄01111111 '∂1+x +'∂1-x

=1

∴ a=1 1

limx⁄1

limx⁄1

x‹ +ax+b 112112(x-1)¤

limx⁄1

http://zuaki.tistory.com

112

ax¤ -bx x+-2일 때, f(x)=1111x+2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므로 f(x)는 x=-2에서 연속이다.

즉 lim

x⁄-2f(x)=f(-2)이어야 하고 x⁄ -2일 때, (분모)⁄ 0이고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분자) ⁄ 0 이다.

xlim⁄-2(ax¤ -bx)=0에서 4a+2b=0

∴ b=-2a

ax¤ +2ax

∴ f(-2)=lim

x⁄-211112x+2 ax(x+2)

∴ f(-2)= lim

x⁄-211121x+2

∴ f(-2)=-2a=2 따라서 a=-1, b=2이므로

a+b=1 1

113

x=1에서 연속이므로 lim

x⁄1f(x)=f(1)

|x|-1 |x|-1

limx⁄11115=limx¤ -1 x⁄11115111115(|x|-1)(|x|+1) lim 1

x⁄11115=lim

x⁄11115=;2!;|x|+1

∴ a=;2!; ;2!;

114

|x|>1일 때, x¤ « =¶이므로

=0

∴ f(x)=

∴ f(x)= =1

¤ |x|<1일 때, x¤ « =0이므로

f(x)= = 0 =0

1121+0 11151+x¤ «x¤ «

nlimڦ

nlimڦ

112111 12+1x¤ «

nlimڦ

11151+x¤ «x¤ «

nlimڦ

12x¤ «1

nlimڦ

nlimڦ

x=1일 때, f(1)= =;2!;

x=-1일 때, f(-1)= =;2!;

ㄱ. |x|>1일 때, f(x)=1 (참)

ㄴ. 불연속인 점은 x=-1, x=1의 2개이다. (거짓) ㄷ. |x|<1일 때, f(x)=0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ㄱ, ㄷ

115

⑴ ⁄ x=0일 때, f(0)=0

¤ x+0일 때, 함수 f(x)는 첫째항이 ,

¤ 공비가 인 등비급수의 합이고

¤ 0< <1이므로

¤ f(x)= =x¤

⁄, ¤에서 f(x)=[

이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그 림과 같다.

따라서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x‹ x‹

⑵ f(x)=x‹ +111+1111+y1+x¤ (1+x¤ )¤

⁄ x=0일 때, f(x)=0

¤ x+0일 때, 함수 f(x)는 첫째항이 x‹ ,

¤ 공비가111인 등비급수의 합이고1+x¤1

¤ 0<111<1이므로1+x¤1

¤ f(x)=11111=x(1+x¤ )x‹1 1-1111+x¤

x¤ (x+0) 0 (x=0)

O x

y y=f(x)

1125x¤ +1x¤

11111

1-1125x¤ +1 1125x¤ +1x¤

1125x¤ +1x¤

1125x¤ +1x¤

1121+11 1121+11

http://zuaki.tistory.com

, ¤에서 f(x)=[ 0 (x=0) x(1+x¤ ) (x+0) 이때 lim

x⁄0f(x)=lim

x⁄0x(1+x¤ )=0=f (0)이므 로 f(x)는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다.

⑶ 0<x<2에서 0<x¤ <4

0<x¤ <1일 때, [x¤ ]=0

¤1…x¤ <2일 때, [x¤ ]=1

2…x¤ <3일 때, [x¤ ]=2

3…x¤ <4일 때, [x¤ ]=3 따라서 불연속인 점은 x=1, '2 , '3 의 3개 이다.

⑴ 0 ⑵ 0 ⑶ 3

116

함수 y=f(x)g(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려면 x=1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f(1)=3, g(1)=1+k이므로 f(1)g(1)=3+3k

f(x)g(x)=3¥(1+k)=3+3k f(x)g(x)=1¥(1+k)=1+k 함수 y=f(x)g(x)가 x=1에서 연속이려면

f(x)g(x)= f(x)g(x)=f(1)g(1) 3+3k=1+k

∴ k=-1

-1

117

함수 f(x)가 구간 (-¶, ¶)에서 연속이기 위해서는 x=-1, x=2에서 연속이어야 한다.

x=-1에서 연속이려면

xlim ⁄1-xlim⁄1+

xlim ⁄1-xlim⁄1+

O

y

1

1 2 3 4 2

3

y=[x2]

'2 '3 x

f(x)= f(x)

(x¤ -2x+b)= (ax+1)

1+2+b=-a+1

∴ a+b=-2 …… ㉠

¤x=2에서 연속이려면

f(x)= f(x)

(ax+1)= (x¤ -2x+b) 2a+1=4-4+b

∴ 2a-b=-1 …… ㉡

㉠, ㉡에서 a=-1, b=-1

∴ 2a+b=2_(-1)-1

=-3 -3

다른풀이함수 f(x)가 구간 (-¶, ¶)에서 연속이 기 위해서는 그래프가 끊어져 있지 않고 연결되어 있 어야 한다.

p(x)=ax+1, q(x)=x¤ -2x+b라 하면 x=-1, x=2일 때, p(x)

와 q(x)의 함숫값이 같아 야 그래프는 연결이 된다.

p(-1)=q(-1)에서 -a+1=1+2+b

∴ a+b=-2 …… ㉠ p(2)=q(2)에서 2a+1=4-4+b

∴ 2a-b=-1 …… ㉡

㉠, ㉡에서 a=-1, b=-1

∴ 2a+b=2_(-1)-1

=-3

118

[x]=2, [x]=1이므로 f(x)= ([x] ¤ -a [x]+1)

=2¤ -2a+1

=5-2a

f(x)= ([x] ¤ -a [x]+1)

=1-a+1

=2-a

xlim ⁄2-xlim

⁄2-xlim⁄2+

xlim⁄2+

xlim ⁄2-xlim⁄2+

2 -1

x2-2x+b

ax+1 xlim

⁄2-xlim⁄2+

xlim ⁄2-xlim⁄2+

xlim ⁄-1-x⁄-1+lim

xlim ⁄-1-x⁄-1+lim

http://zuaki.tistory.com

따라서 x=2에서 연속이므로 f(x)= f(x)=f(2) 5-2a=2-a

∴ a=3 3

119

|x|>1일 때,

f(x)=lim

nڦ

f(x)=lim

nڦ =-|x|

¤|x|<1일 때,

f(x)=lim

nڦ = =x

x=1일 때,

f(x)=lim

nڦ = =0

x=-1일 때,

f(x)=lim

nڦ = =-1

따라서 함수 y=f(x)의 그 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 므로 불연속인 점의 개수는 1개이다.

1

120

f(x)=xμ + + +y

x=0일 때, f(x)=0

¤x+0일 때, 함수 f(x)는 첫째항이 xμ , 공비가

¤ 인 등비급수의 합이고 0< <1이 므로

1 1+x›

1 1+x›

(1+x› )¤

1+x›

y=f(x)

O x

y 1

1 -1

-1

-1-1 1+1 x-|x|« ±⁄

1+|x|«

1-1 1+1 x-|x|« ±⁄

1+|x|«

x-0 1+0 x-|x|« ±⁄

1+|x|«

114-|x||x|«x 1111141

114+1|x|«

x-|x|« ±⁄

1+|x|«

xlim ⁄2-xlim⁄2+

¤ f(x)= =

¤f(x)=(1+x› )xμ —›

f(x)가 x=0에서 연속이려면 limx⁄ 0f(x)=f(0)

그런데 lim

x⁄ 0f(x)=lim

x⁄ 0(1+x› )xμ —›에서 m=4이면

limx⁄ 0(1+x› )xμ —› =1, f(0)+lim

x⁄ 0 f(x) 따라서 자연수 m의 최솟값은 5이다.

121

f(x)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므로 f(x)는 x=2에서 연속이다. 즉 f(x)의 값이 존재하므로

f(x)= f(x)에서 (x¤ +ax+b)= (2x-4)

∴ 4+2a+b=0 yy㉠

또 f(x-1)=f(x+3)에 x 대신 x+1을 대입하면 f(x)=f(x+4)이므로 f(0)=f(4)

∴ -4=16+4a+b yy㉡

㉠, ㉡에서 a=-8, b=12

∴ f(x)=[

∴ f(11)=f(7)=f(3)

=3¤ -8_3+12

=-3 -3

122

ㄱ. g(x)=t로 놓으면 x ⁄ 1-일 때, g(x) ⁄ 이므로 t ⁄

1-∴ f(g(x))=lim f(t)=1 (참)

t ⁄1-xlim

⁄1-2x-4 (0…x<2) x¤ -8x+12 (2…x…4)

xlim ⁄2-xlim⁄2+

xlim ⁄2-xlim⁄2+

limx⁄2

0 (x=0)

(1+x› )xμ —› (x+0)

·“ª

⁄, ¤에서 f(x)=

xμ (1+x› ) x›

1-11221+x›1

http://zuaki.tistory.com

ㄴ. f(x)g(x)=(-1)_0=0 f(x)g(x)=1_1=1

따라서 f(x)g(x)+ f(x)g(x)이므 로 극한값 f(x)g(x)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함수 f(x)g(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참) ㄷ. f(x)=t로 놓으면

x ⁄ 0+일 때, f(x) ⁄ 0+이므로 t ⁄ 0+

g( f(x))= g(t)=0 x ⁄ 0-일 때, f(x)=1이므로

g( f(x))=g(1)=1

따라서 g( f(x))+ g( f(x))이므로 극한값 g( f(x))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함수 g( f(x))는 x=0에서 불연속이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ㄱ, ㄴ

123

-1<2x-1<1,즉` 0<x<1이면

⁄lim

n⁄¶(2x-1)¤ « =0이므로

f(x)=ax+b

¤2x-1<-1또는` 2x-1>1, 즉` x<0 또는`

x>1이면 lim

n⁄¶(2x-1)¤ « =¶이므로 (2x-1)+1112234(2x-1)¤ «ax+b

f(x)=lim

n⁄¶111111111231 1+1112234(2x-1)¤ «

f(x)=2x-1

1 ax+b

{∵ lim

nڦ11113=lim

nڦ11113=0}

(2x-1)¤ « (2x-1)¤ «

2x-1=1또는` 2x-1=-1, 즉 x=1 또는`

x=0이면 limx⁄0

xlim ⁄0-xlim⁄0+

xlim

⁄0-tlim⁄0+

xlim⁄0+

limx⁄1

xlim ⁄1-xlim⁄1+

xlim ⁄1-xlim⁄1+

합성함수 g( f(x))의 극한값을 구할 때는 우극한과 좌 극한에 주의하면서 f(x)=t로 치환하여 생각한다.

x ⁄ a+일 때, f(x) ⁄⁄ b+이면 g( f(x))= g(t)=lim g(x)

x⁄b+

lim

t⁄b+

lim

x⁄a+

KEY Point

1+a+b -1+b

f(1)=11123,` f(0)=11142 2

함수 f(x)가 x=0, x=1에서 연속이 되어야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연속이 되므로

(ax+b)= (2x-1)=f(0) b=-1=-1+b111452 ∴ b=-1

(2x-1)= (ax+b)=f(1) 1+a+b

1=a+b=111424 ∴ a=2 2

a=2, b=-1

124

h(x)= =

따라서 는 x¤ -2x-3=0, 즉 x=-1, x=3일 때, 불연속이므로 함수 h(x)가 불연속인 점 의 개수는 2개이다.

2

125

f(x)=0에서 f(0)f(1)<0이면 0과 1 사이에 적어 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⑤ f(0)f(1)=(-4)¥2=-8<0

126

⑤ f(x)=xfi -4x+2라 하면

f(0)=2, f(1)=-1

∴ f(0)f(1)<0

따라서 사이값 정리에 의하여 구간 (0, 1)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127

g(x)=f(x)-x라 하면 g(-2)=-1-(-2)=1>0 g(-1)=-2-(-1)=-1<0 g(0)=1-0=1>0

g(1)=-2-1=-3<0 112111f(x)-g(x)f(x)

112112x¤ -2x-3x¤

112111f(x)-g(x)f(x)

xlim ⁄1-xlim⁄1+

xlim ⁄0-xlim⁄0+

http://zuaki.tistory.com

g(2)=-;2!;-2=-;2%;<0

이므로 -2<x<-1, -1<x<0, 0<x<1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따라서 방정식 f(x)=x는 -2…x…2에서 적어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3

128

ㄱ. x=-1, 0, 1일 때, 불연속이므로 불연속인 점 은 3개이다. (참)

ㄴ. f(x)=-1, f(x)=0

f(x)+ f(x)

f(x)=2, f(x)=1

f(x)+ f(x)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점은 x=0, x=1의 2개이다. (거짓)

ㄷ. 함수 f(x)는 최댓값 2를 갖고, 최솟값 -1을 갖 는다. (참)

ㄹ. f(x)=t로 놓으면 x ⁄ 1+일 때, f(x) ⁄ 이므로 t ⁄

2-∴ f( f(x))= f(t)=0

x ⁄ 일 때, f(x) ⁄ 이므로 t ⁄

1-∴ f( f(x))= f(t)=1

따라서 f( f(x))+ f( f(x))이므로 극한값 f( f(x))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함수 f( f(x))는 x=1에서 불연속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ㄹ이다.

ㄱ, ㄷ, ㄹ

129

lim f(x)

x⁄1112=;2!;에서 x ⁄`1일 때, (분모) ⁄`0이므로x-1 (분자)⁄`0이다.

∴ lim

x⁄1f(x)=0 limx⁄1

xlim ⁄1-xlim⁄1+

tlim ⁄1-xlim

⁄1-tlim ⁄2-xlim⁄1+

xlim ⁄1-xlim⁄1+

xlim ⁄1-xlim⁄1+

xlim ⁄0-xlim⁄0+

xlim ⁄0-xlim⁄0+

∴ f(1)=0 …… ㉠

또 lim f(x)

x⁄21125=;2!;에서 x ⁄ 2일 때, (분모) ⁄ 0이x-2 므로 (분자)⁄ 0이다.

∴ f(2)=0 …… ㉡

㉠, ㉡ 에서 f(x)=(x-1)(x-2)g(x)로 놓을 수 있다.

∴ lim f(x)

x⁄1112=limx-1 x⁄1(x-2)g(x)

∴ lim

x⁄1112=-g(1)=;2!;

∴ g (1)=-;2!; …… ㉢ limf(x)

x⁄2112=limx-2 x⁄2(x-1)g(x) limx⁄2112=g(2)=;2!; …… ㉣

㉢, ㉣에서 g(1)g(2)=-;4!;<0

따라서 방정식 g(x)=0은 열린 구간 (1, 2)에서 적 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는다. 즉 방정식 f(x)=0은 닫힌 구간 [1, 2]에서 적어도` 3개의 실근을 갖는다.

3

http://zuaki.tistory.com

130

f(a)-f(1) 111113=3a-1

(a‹ -2a+5)-(1-2+5) 111113111111=3a-1

a‹ -2a+1 11111=3a-1

(a-1)(a¤ +a-1) 111113111=3a-1

∴ a¤ +a-4=0

이것은 a에 대한 이차방정식이므로 a를 모두 곱한 값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4이다.

-4

131

f(1-2h)-f(1)

① (주어진 식)=lim

h⁄011111113¥(-2)-2h

① (주어진 식)=-2 f '(1)

f(1+5h)-f(1)

② (주어진 식)=lim

h⁄011111113¥55h f(1+3h)-f(1)

② (주어진 식)=-lim

h⁄011111113¥33h

① (주어진 식)=5 f '(1)-3 f '(1)

① (주어진 식)=2 f '(1)

f(1+4h)-f(1)

③ (주어진 식)=lim

h⁄011111113¥24h

① (주어진 식)=2 f '(1)

f(x)-f(1) 'x +1

④ (주어진 식)=lim

x⁄1111113¥111 'x -1 'x +1 f(x)-f(1)

④ (주어진 식)=lim

x⁄1111113¥('x +1)x-1

① (주어진 식)=2 f '(1)

f(x¤ )-f(1)

⑤ (주어진 식)=lim

x⁄11111125¥(x+1)x¤ -1

① (주어진 식)=2 f '(1)

문서에서 Ⅰ 미적분 (페이지 87-10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