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항함수의 적분법

문서에서 Ⅰ 미적분 (페이지 48-69)

http://zuaki.tistory.com

f(x)=;3@;x‹ -2x¤ +;2!;+C

이때 f(1)=-1이므로

;3@;-2+;2!;+C=-1 ∴ C=-;6!;

따라서 f(x)=;3@;x‹ -2x¤ +;2!;-;6!;이므로

f(-1)=-;3@;-2+;2!;-;6!;=-;3&; -;3&;

180

;dÎ[;: x¤ dx=x¤ 이므로 주어진 식은 logxx¤ =x¤ -2x-1

2=x¤ -2x-1, x¤ -2x-3=0 (x-3)(x+1)=0

로그의 밑, 진수의 조건`(x>0, x+1)에 유의하면

x=3 3

181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Î[;: f(x)dx=;dÎ[;[xf(x)-2x‹ +x¤ ] f(x)=f(x)+xf '(x)-6x¤ +2x xf '(x)=6x¤ -2x ∴ f '(x)=6x-2 f(x)=: f '(x)dx=: (6x-2)dx (3x¤ -2x)'=6x-2이므로 : (6x-2)dx=3x¤ -2x+C f(0)=2에서 C=2

따라서 f(x)=3x¤ -2x+2이므로

f(-1)=3¥(-1)¤ -2¥(-1)+2=7 7

182

⑴ (주어진 식)=-x› +C

⑵ (주어진 식)=: (4t¤ -12t+9)dt (주어진 식)=;3$;t‹ -6t¤ +9t+C

⑶ (주어진 식)=: (x¤ -2tx+t¤ )dx (주어진 식)=;3!;x‹ -tx¤ +t¤ x+C

⑷ (주어진 식)=: (y‹ +5y¤ +3y-9)dy (주어진 식)=;4!;y› +;3%;y‹ +;2#;y¤ -9y+C

⑸ (주어진 식)=: 20x dx=10x¤ +C

풀이 참조

183

f(x)=: {(x-1)(x¤ +x+1)-x(3x-1)¤ }dx f(x)=: (-8x‹ +6x¤ -x-1)dx

f(x)=-2x› +2x‹ -;2!;x¤ -x+C 이때 f(0)=0이므로 C=0

따라서 f(x)=-2x› +2x‹ -;2!;x¤ -x이므로 f(-1)=-2-2-;2!;+1=-;2&; -;2&;

184

⑴ (주어진 식)

=: dy

=: (y¤ -y+1)dy

=;3!;y‹ -;2!;y¤ +y+C

⑵ (주어진 식)=:{ + } dx

(주어진 식)=: dx

(주어진 식)=: dx

(주어진 식)=: (x+1)dx (주어진 식)=;2!;x¤ +x+C

⑶ (주어진 식)=:[{;2{;+2}¤ -{;2{;-2}¤ ] dx (주어진 식)=: 4x dx=2x¤ +C

⑷ (주어진 식)=:{ - } dx 1112x+1x-1 x‹ +2x

1112x-1 (x-1)(x+1) 1111112x-1

x¤ -1 1125x-1

1121-x1 112x-1x¤

(y¤ +y+1)(y¤ -y+1) 11211111112y¤ +y+1

http://zuaki.tistory.com

(주어진 식)=: dx

(주어진 식)=: dx

(주어진 식)=: (x¤ +x+1)dx (주어진 식)=;3!;x‹ +;2!;x¤ +x+C

풀이 참조

185

f(x)=: dx+: dx

f(x)=: dx

f(x)=: dx

f(x)=: (x¤ -2x+4)dx f(x)=;3!;x‹ -x¤ +4x+C 이때 f(1)=2이므로

;3!;-1+4+C=2로로∴ C=-;3$;

따라서 f(x)=;3!;x‹ -x¤ +4x-;3$;이므로

f(2)=;3*;-4+8-;3$;=:¡3§: :¡3§:

186

f '(x)=6x¤ -4x-2이므로

f(x)=: f '(x)dx=: (6x¤ -4x-2)dx f(x)=2x‹ -2x¤ -2x+C

이때 f(-1)=1이므로 -2-2+2+C=1 ∴ C=3

따라서 f(x)=2x‹ -2x¤ -2x+3이므로

f(2)=16-8-4+3=7 7

187

점 (x, y)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3x¤ -10x+2이 므로

(x+2)(x¤ -2x+4) 111111111x+2

x‹ +8 1125x+2

112x+28 112x+2x‹

(x-1)(x¤ +x+1) 111111112x-1

x‹ -1 1125x-1

f '(x)=3x¤ -10x+2

∴ f(x)=: f '(x)dx

∴ f(x)=: (3x¤ -10x+2)dx

∴ f(x)=x‹ -5x¤ +2x+C

y=f(x)가 점 (0, 2)를 지나므로 C=2

∴ f(x)=x‹ -5x¤ +2x+2

f(x)=x‹ -5x¤ +2x+2

188

f '(x)=3x¤ -2x+1이므로 f(x)=: f '(x)dx

f(x)=: (3x¤ -2x+1)dx f(x)=x‹ -x¤ +x+C

f(1)=1-1+1+C=3이므로 C=2

: f(x)dx=: (x‹ -x¤ +x+2)dx

: f(x)dx=;4!;x› -;3!;x‹ +;2!;x¤ +2x+C ;4!;x› -;3!;x‹ +;2!;x¤ +2x+C

189

F(x)=xf(x)-6x‹ (x-1) 에서 양변을 x 에 대하여 미분하면 F'(x)= f(x)+xf '(x)-24x‹ +18x¤

조건으로부터 F'(x)=f(x)이므로 xf '(x)=24x‹ -18x¤

∴ f '(x)=24x¤ -18x

∴ f(x)=: f '(x)dx

∴ f(x)=: (24x¤ -18x)dx

∴ f(x)= 8x‹ -9x¤ +C 이때 f(1)=0이므로 8-9+C=0지름∴ C=1

∴ f(x)=8x‹ -9x¤ +1

f(x)=8x‹ -9x¤ +1

http://zuaki.tistory.com

190

f '(x)=3x¤ -12=3(x+2)(x-2) f '(x)=0에서 x=-2 또는 x=2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솟값을 갖고, x=-2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f(x)=: (3x¤ -12)dx=x‹ -12x+C x=2에서 극솟값 -12를 가지므로 8-24+C=-12 ∴ C=4

따라서 f(x)=x‹ -12x+4이므로 f(x)의 극댓값은

f(-2)=-8+24+4=20 20

191

f '(x)=k(x+2)(x-2)=0에서 x=—2

k>0이므로 f(x)는 x=-2에서 극대, x=2에서 극소이다.

f(x)=: k(x¤ -4)dx=k{;3!;x‹ -4x}+C

f(-2)=20에서:¡3§:k+C=20 …… ㉠ f(2)=-12에서 -:¡3§:k+C=-12 …… ㉡

㉠, ㉡을 연립하여 풀면 C=4, k=3

∴ f(x)=x‹ -12x+4 f(x)=x‹ -12x+4

192

각 분점 사이의 거리는;n@;, 각 직사각형의 높이는

{;n@;}3 , {::n::2_2

}3 , {::n::2_3 }3 , …

O x

y

... 2 y=x‹

n2 2_2n 2_3 n

이므로 각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 S« 은 S«=;n@;¥{::n::2_1

}3 +;n@;¥{::n::2_2 }3 +…

S«=+;n@;¥{::n::2_n }3 S«=:¡:§:n› (1‹ +2‹ +…+n‹ )

n¤ (n+1)¤

S«=:¡:§:n› ¥1111244 따라서 구하는 넓이 S는

16n¤ (n+1)¤

S=lim

n⁄¶S«=lim

n⁄¶1111125=4 4 4n›

193

정사각뿔의 높이를 n등분하여 만들어진 직육면체의 밑넓이는 위에서부터 차례로

{ }¤ , { }¤

, …, [ ]¤

이고, 높이는 모두;nH;이므로 (n-1)개의 직육면체 의 부피의 합 V«은

V«={ }

¤¥;nH;+{ }

¤¥;nH;+y

V«=+[ ]

¤¥;nH;

V«= {1¤ +2¤ +y+(n-1)¤ }=

V«= ¥

V«= ¥(n-1)(2n-1)

∴ V=lim

n⁄¶V«=lim

n⁄¶a¤ h¥

∴ V=a¤ h¥;3!;=;3!; a¤ h

;3!; a¤ h

194

⑴ a=0, b=1이고 Dx=::n::b-a

=;n!;

x˚=0+kDx=;nK;

f(x)=2x라 하면

(n-1)(2n-1) 1231111126n¤

123a¤ h6n¤

(n-1)n(2n-1) 1231111116 123a¤ hn‹

n-1¡

k=1

123a¤ hn‹

123a¤ hn‹

(n-1)a 121133n

122an 14na

(n-1)a 121133n 122an

14na

x -2 2

f '(x) + 0 - 0 +

f(x) 극대 극소

http://zuaki.tistory.com

f(x˚)=2x˚=2¥;nK;=;;n;;2k

:)1 2x dx=limn⁄¶`;Kn+! f(x˚)¥Dx

:)1 2x dx=lim

nڦ`;Kn+!;;n;;

2k¥;n!;

:)1 2x dx=lim

n⁄¶:;™;: `;Kn+!k n(n+1)

:)1 2x dx=lim

n⁄¶`:;™;: ¥111152

:)1 2x dx=lim

nڦ{1+;n!;}=1

⑵ a=-1, b=0이고 0-(-1) Dx=::n::b-a

=1125125=;n!;n x˚=a+kDx=-1+;nK;

f(x)=-x¤이라 하면 f(x˚)=-x˚¤ =-{-1+;nK;}2

:_0! (-x¤ )dx

=lim

n⁄¶`;Kn+! f(x˚)Dx

=lim

n⁄¶`;Kn+![-{-1+;nK;}2 ]¥;n!;

=lim

nڦ{-;n!;};Kn+! {1-:n:

2k+:::n¤

} n(n+1)

=lim

n⁄¶{-;n!;}[n-;n@;¥11115 2 n(n+1)(2n+1)

∴ =+:;¡;:n¤ ¥112111112]6

n(n+1)(2n+1)

=lim

n⁄¶{-;n!;}[-1+:;¡;:n¤ ¥111111145]6 n(n+1)(2n+1)

=lim

n⁄¶[;n!;-:;¡;:n‹ ¥11111111]6

=-;3!;

⑶ a=1, b=2이고 Dx=::n::b-a

=::n::2-1

=;n!;

x˚=a+kDx=1+k¥;n!;=1+;nK;

f(x)=2x-1이라 하면 f(x˚)=2¥x˚-1

f(x˚)=2{1+;nK;}-1=1+;;n;;2k

:!2 (2x-1)dx

∴=lim

n⁄¶`;Kn+! f(x˚)Dx

∴=lim

n⁄¶`;Kn+!{1+;;n;;2k }¥;n!;

n(n+1)

∴=lim

n⁄¶`[n+;n@;¥11115]¥;n!;2

∴=lim n+1

nڦ`{1+1125}n

∴=lim2n+1

nڦ1115n

∴=lim

nڦ{2+;n!;}=2

⑷ a=1, b=2이고

Dx=::n::b-a=112=;n!;2-1n

x˚=a+kDx=1+k¥;n!;=1+;nK;

f(x)=x¤ +2x-3이라 하면 f(x˚)=x˚¤ +2x˚-3

f(x˚)={1+;nK;}2+2{1+;nK;}-3

:!2 (x¤ +2x-3)dx

=lim

n⁄¶`;Kn+! f(x˚)Dx

=lim

n⁄¶`;Kn+![{1+;nK;}2 +2{1+;nK;}-3]¥;n!;

=lim

nڦ;Kn+!{:n:

4k+:::n¤

} ;n!;

n(n+1)

=lim

n⁄¶[;n$;¥111152 n(n+1)(2n+1)

∴ =+:;¡;:n¤ ¥112111112];n!;6 2(n+1) (n+1)(2n+1)

=lim

n⁄¶[1111+112111125]n 6n¤

{1+;n!;} {2+;n!;}

=lim

n⁄¶‡2{1+;n!;}+112111112°6

=2+;6@;=;3&;

⑴ 1 ⑵ -;3!; ⑶ 2 ⑷;3&;

http://zuaki.tistory.com

195

f(x)=x‹ +3으로 놓으면 f(x)는 구간 [0, 4]에서 연속이므로 정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Dx= =;n$;, x˚=0+kDx=

:)4 (x‹ +3)dx

= ;Kn+!{(x˚)‹ +3}Dx

= ;Kn+![{ }‹ +3];n$;

∴ p=4, q=3 p=4, q=3

196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하면

;dÎ[;:@/ (5t‹ -3t¤ )dt

=5x‹ -3x¤

;dÎ[;:_/! (3t¤ +t)(t-1)dt

=(3x¤ +x)(x-1)

⑴ 5x‹ -3x¤ ⑵ (3x¤ +x)(x-1)

197

:!/ f(t)dt=3x¤ +6x+2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6x+6

:@/ { f(t)+g(t)} dt=3x‹ +2x¤ -x+5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g(x)=9x¤ +4x-1 (6x+6)+g(x)=9x¤ +4x-1

∴ g(x)=9x¤ -2x-7

∴ g(-1)=9+2-7=4 4

198

⑴ (주어진 식)

=[x› -x‹ +x¤ ]1_!

=(1-1+1)-{(-1)› -(-1)‹ +(-1)¤ } 134kn

nlimڦ

nlimڦ

134kn 1124-0n

=1-(1+1+1)

=-2

⑵ (주어진 식)=[;2!;x¤ -x‹ ]0!

(주어진 식)={;2!;¥0¤ -0‹ }-{;2!;¥1¤ -1‹ } (주어진 식)=;2!;

⑶ (주어진 식)

=:_-!3 (2y¤ -3y-2)dy

=[;3@;y‹ -;2#;y¤ -2y]-_3!

=[;3@;(-3)‹ -;2#;(-3)¤ -2¥(-3)]

-[;3@;(-1)‹ -;2#;(-1)¤ -2¥(-1)]

={-18-:™2¶:+6}+;6!;=-:¶3§:

⑷ (주어진 식)

=:_1! dx

=:_1! (x¤ -x+1)dx

=[;3!;x‹ -;2!;x¤ +x]1_!

={;3!;¥1‹ -;2!;¥1¤ +1}

-[;3!;(-1)‹ -;2!;(-1)¤ +(-1)]

={;3!;-;2!;+1}-{-;3!;-;2!;-1}=;3*;

⑴ -2 ⑵;2!; ⑶ -:¶3§: ⑷;3*;

다른풀이:Ab f(x)dx=-:Ba f(x)dx의 성질을 이 용하여 풀 수도 있다.

⑵ (주어진 식)=-:)1 (x-3x¤ )dx (주어진 식)=[x‹ -;2!;x¤ ]1)=;2!;

⑶ (주어진 식)=:_-!3 (2y¤ -3y-2)dy (주어진 식)=-:_-#1 (2y¤ -3y-2)dy (주어진 식)=:_-#1 (-2y¤ +3y+2)dy

(x+1)(x¤ -x+1) 1122111112x+1

http://zuaki.tistory.com

(주어진 식)=[-;3@;y‹ +;2#;y¤ +2y]-_1#

(주어진 식)={;3@;+;2#;-2}-{18+:™2¶:-6}

(주어진 식)=-:¶3§:

199

:K0 (2x+1)dx=[x¤ +x]0K=-(k¤ +k)=;4!;

k¤ +k+;4!;=0, 4k¤ +4k+1=0

(2k+1)¤ =0한 편∴ k=-;2!; -;2!;

200

⑴ (주어진 식)

=:_1@ (2x¤ +3x-1)dx-:_1@ (2x¤ -x+3)dx

=:_1@{(2x¤ +3x-1)-(2x¤ -x+3)} dx

=:_1@ (4x-4)dx=[2x¤ -4x]1_@

=(2-4)-(8+8)=-18

⑵ (주어진 식)=:)2 (3x¤ +1)dx=[x‹ +x]2)=10

1 y‹

⑶ (주어진 식)=:)1 114 dt-:)1 112 dyt-1 y-1

1 t‹

(주어진 식)=:)1 114 dt-:)1 112 dtt-1 t-1 1 t‹

(주어진 식)=:)1 { 114-112 } dtt-1 t-1 t‹ -1

(주어진 식)=-:)1 1142 dtt-1 (주어진 식)=-:)1 (t¤ +t+1)dt (주어진 식)=-[;3!;t‹ +;2!;t¤ +t]1)=-:¡6¡:

⑷ (주어진 식)=:!2 (x-1)(x-2)dx

(x-1)(x-2)=0에서 두 근이 1, 2이므로 공식 에 의하여

(주어진 식)=-;6!;(2-1)‹ =-;6!;

⑸ (주어진 식)

=:!2 (x¤ -4x)dx+:@4 (x¤ -4x)dx

=-:#4 (x¤ -4x)dx

=:!4 (x¤ -4x)dx-:#4 (x¤ -4x)dx

=:!4 (x¤ -4x)dx+:$3 (x¤ -4x)dx

=:!3 (x¤ -4x)dx=[;3!;x‹ -2x¤ ]3!

=;3!;(3‹ -1)-2(3¤ -1)

=:™3§:-16=-:™3™:

⑴ -18 ⑵ 10 ⑶ -:¡6¡: ⑷ -;6!; ⑸ -:™3™:

201

⑴ |x-x¤ |=|x(x-1)|

x(x-1)æ0,즉 x…0 또는 xæ1일 때,

y=x¤ -x

¤x(x-1)<0,즉 0<x<1일 때,

y=-x¤ +x

∴ (주어진 식)=:_0! (x¤ -x)dx

∴ (주어진 식)=[;3!;x‹ -;2!;x¤ ]0_!=;6%;

⑵ xæ0일 때, (|x|+x+1)¤ =(2x+1)¤

x<0일 때, (|x|+x+1)¤ =(-x+x+1)¤ =1

x y

O

-2 1

y=(2x+1)¤

y=1 1

x y=x2-x y

y=-x2+x

O

-1 1

http://zuaki.tistory.com

∴ (주어진 식)=:_0@ dx+:)1 (2x+1)¤ dx (2x+1)‹

∴ (주어진 식)=[x]0_@+[11114]1)6

∴ (주어진 식)=:¡3ª:

⑶ |x¤ +x-2|=|(x+2)(x-1)|

(x+2)(x-1)æ0일 때, 즉

x…-2또는 xæ1일 때,

y=(x+2)(x-1)

¤(x+2)(x-1)<0일 때, 즉

-2<x<1일 때,

y=-(x+2)(x-1)

∴ (주어진 식)

=:)1 (-x¤ -x+2)dx+:!2 (x¤ +x-2)dx

=[-;3!;x‹ -;2!;x¤ +2x]1)+[;3!;x‹ +;2!;x¤ -2x]2!

=3

∴ (주어진 식)

=:)2 (-x¤ +4)dx+:@3 (x¤ -4)dx

=[-;3!;x‹ +4x]2)+[;3!;x‹ -4x]3@=:™3£:

⑴;6%; ⑵:¡3ª: ⑶ 3 ⑷:™3£:

202

|x¤ -1|=|(x+1)(x-1)|

(x+1)(x-1)æ0일 때, 즉

O x

y y=-x2+4 y=x2-4

-2 2 3

4

O x

y

2

-2 1 2

y=-x2-x+2 y=x2+x-2

xæ1또는 x…-1일 때,

|x¤ -1|=x¤ -1

¤ (x+1)(x-1)<0일 때, 즉

-1<x<1일 때,

|x¤ -1|=-x¤ +1

적분구간이 [0, a]이고 a>1이므로

(주어진 식)=:)1 (-x¤ +1)dx+:!a (x¤ -1)dx (주어진 식)=[-;3!;x‹ +x]1)+[;3!;x‹ -x]a!

(주어진 식)=-;3!;+1+{;3!;a‹ -a}-{;3!;-1}

(주어진 식)=;3!;a‹ -a+;3$;

(주어진 식)=;3!;(a‹ -3a+4)=:∞3§:

이므로 a‹ -3a-52=0

(a-4)(a¤ +4a+13)=0진진∴ a=4 4

203

:)2 x f(x)dx

=:)1 x¥x¤ dx+:!2 x(-2x+3)dx

=:)1 x‹ dx+:!2 (-2x¤ +3x)dx

=[;4!;x› ]1)+[-;3@;x‹ +;2#;x¤ ]2!

=;4!;-;6!;=;1¡2; ;1¡2;

204

f(x)=[ 에서

f(x-1)=[ (x-1)+1 (x-1…0) (x-1)¤ -2(x-1)+1 (x-1æ0) x+1 (x…0)

x¤ -2x+1 (xæ0)

O x

y

2 1

y=-2x+3 y=x¤

http://zuaki.tistory.com

∴ f(x-1)=[

:_2! f(x-1)dx

=:_1! x dx+:!2 (x¤ -4x+4)dx

=[;2!;x¤ ]1_!+[;3!;x‹ -2x¤ +4x]2!

=;3!; ;3!;

205

⑴ (주어진 식)

=:_2@(xfi -2x‹ -3x)dx+:_2@(3x¤ +1)dx

=2:)2 (3x¤ +1)dx

=2[x‹ +x]2)

=20

⑵ (주어진 식)

=:_0! (4x‹ +3x¤ +2x+1)dx

+:)1 (4x‹ +3x¤ +2x+1)dx

=:_1! (4x‹ +3x¤ +2x+1)dx

=2:)1 (3x¤ +1)dx

=2[x‹ +x]1)

=4

⑴ 20 ⑵ 4

206

f(x+3)=f(x)이므로

:!4 f(x)dx=:$7 f(x)dx=:&1 0 f(x)dx=5

:!1 0 f(x)dx

=:!4 f(x)dx+:$7 f(x)dx+:&1 0 f(x)dx

=3_5=15

15

x (x…1)

x¤ -4x+4 (xæ1)

207

f(x+4)=f(x)이므로 :)4 f(x)dx=:$8 f(x)dx

:)1 0 f(x)dx

=:)4 f(x)dx+:$8 f(x)dx+:*1 0 f(x)dx

=:)4 f(x)dx+:)4 f(x)dx+:)2 f(x)dx

=2:)4 f(x)dx+:)2 f(x)dx

=2:)4 (-x¤ +4x)dx+:)2 (-x¤ +4x)dx

=2[-;3!;x‹ +2x¤ ]4)+[-;3!;x‹ +2x¤ ]2)

=:§3¢:+:¡3§:

=:•3º: :•3º:

208

⑴ f(x)=x¤ +:)2 (3x+1)f(t)dt f(x)=x¤ +3x:)2 f(t)dt+:)2 f(t)dt

이때:)2 f(t)dt=k(k는 상수) yy`㉠

로 놓으면 f(x)=x¤ +3kx+k yy`㉡

㉡을 ㉠에 대입하면 k=:)2 (t¤ +3kt+k)dt k=[;3!;t‹ +:£2:t¤ +kt]2) k=;3*;+6k+2k=;3*;+8k 즉 k=;3*;+8k이므로 k=-;2•1;

따라서 f(x)=x¤ -;7*;x-;2•1;이므로 f(1)=1-;7*;-;2•1;=-;2!1!;

:)1 tf(t)dt=k(k는 상수) yy㉠ 로 놓으면 f(x)=-2x¤ +3x+k yy㉡

㉡을 ㉠에 대입하면

http://zuaki.tistory.com

k=:)1 t(-2t¤ +3t+k)dt

k=:)1 (-2t‹ +3t¤ +kt)dt k=[-;2!;t› +t‹ +;2K;t¤ ]1) k=-;2!;+1+;2K;=;2!;+;2K;

즉 k=;2!;+;2K;이므로 k=1

따라서 f(x)=-2x¤ +3x+1이므로 f(1)=-2+3+1=2

:)1 f(x)dx=k(k는 상수) …… ㉠ 로 놓으면 f '(x)=2x+3k

∴ f(x)=: f '(x)dx=: (2x+3k)dx

∴ f(x)=x¤ +3kx+C 또 f(0)=1이므로 C=1

∴ f(x)=x¤ +3kx+1 …… ㉡

㉡을 ㉠에 대입하면 k=:)1 (x¤ +3kx+1)dx k=[;3!;x‹ +;2#;kx¤ +x]1) k=;3!;+;2#;k+1=;2#;k+;3$;

즉 k=;2#;k+;3$;이므로 k=-;3*;

따라서 f(x)=x¤ -8x+1이므로 f(1)=1-8+1=-6

⑷ f(x)=3x¤ +2x:)1 f(t)dt-:)1 tf(t)dt에서 적분변수가 t 이므로 x 는 상수로 생각한다.

:)1 f(t)dt=a, :)1 tf(t)dt=b라 하면 f(x)=3x¤ +2ax-b

a=:)1 f(t)dt

a=:)1 (3t¤ +2at-b)dt a=[t‹ +at¤ -bt]1) a=1+a-b

즉 a=1+a-b이므로 b=1

b=:)1 tf(t)dt

b=:)1 t(3t¤ +2at-1)dt b=:)1 (3t‹ +2at¤ -t)dt b=[;4#;t› +;3@;at‹ -;2!;t¤ ]1) b=;3@;a+;4!;

즉 b=;3@;a+;4!;=1이므로 a=;8(;

따라서 f(x)=3x¤ +;4(;x-1이므로 f(1)=3+;4(;-1=:¡4¶:

⑴ -;2!1!; ⑵ 2 ⑶ -6 ⑷:¡4¶:

209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2x-3

주어진 식의 양변에 x=a를 대입하면 0=a¤ -3a-10, (a+2)(a-5)=0 그런데 a<0이므로 a=-2

∴ f(a)=f(-2)=-4-3=-7

-7

210

:?2 f(t)dt=-:@/ f(t)dt이므로

xf(x)=x‹ -3x¤ +:@/ f(t)dt yy`㉠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f '(x)=3x¤ -6x+f(x) xf '(x)=3x¤ -6x ∴ f '(x)=3x-6

∴ f(x)=: f '(x)dx=: (3x-6)dx

∴ f(x)=;2#;x¤ -6x+C (C는 적분상수) yy`㉡

x=2를 ㉠에 대입하면

2f(2)=8-12 ∴ f(2)=-2 x=2를 ㉡에 대입하면

http://zuaki.tistory.com

f(2)=6-12+C=-2 ∴ C=4 따라서 f(x)=;2#;x¤ -6x+4이므로 f(-1)=;2#;+6+4=:™2£:

⑵ x¤ f(x)=;3@;xfl -;2!;x› -;6!;+2:!/ tf(t)dt yy㉠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xf(x)+x¤ f '(x)=4xfi -2x‹ +2xf(x) x¤ f '(x)=x¤ (4x‹ -2x) ∴ f '(x)=4x‹ -2x

∴ f(x)=: f '(x)dx

∴ f(x)=: (4x‹ -2x)dx

∴ f(x)=x› -x¤ +C (C는 적분상수) yy ㉡ x=1을 ㉠에 대입하면

f(1)=;3@;-;2!;-;6!;=0 x=1을 ㉡에 대입하면 f(1)=1-1+C=0

∴ C=0

따라서 f(x)=x› -x¤ 이므로 f(-1)=1-1=0

⑴:™2£: ⑵ 0

211

주어진 등식의 좌변을 정리하면

:!/ (x-t)f(t)dt=x:!/ f(t)dt-:!/ tf(t)dt이므 로 주어진 등식은

x:!/ f(t)dt-:!/ tf(t)dt=x› +2x¤ -3x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f(x)-xf(x)=4x‹ +4x-3

:!/ f(t)dt=4x‹ +4x-3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12x¤ +4

∴ f(-1)=12+4=16

16

212

⑴ 주어진 등식을 정리하면

x:!/ f(t)dt-:!/ tf(t)dt=x› +3x‹ +ax¤ +2 yy`㉠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f(x)-xf(x)=4x‹ +9x¤ +2ax

:!/ f(t)dt=4x‹ +9x¤ +2ax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12x¤ +18x+2a

x=1을 ㉠에 대입하면 0=1+3+a+2 ∴ a=-6

∴ f(x)=12x¤ +18x-12

⑵ 주어진 등식을 정리하면

x:!/ f(t)dt-:!/ tf(t)dt=x‹ +ax¤ +bx yy㉠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f(x)-xf(x)=3x¤ +2ax+b

:!/ f(t)dt=3x¤ +2ax+b yy㉡ 양변을 다시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6x+2a yy`㉢

x=1을 ㉠에 대입하면

0=1+a+b ∴ a+b=-1 yy㉣

x=1을 ㉡에 대입하면

0=3+2a+b ∴ 2a+b=-3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1

a=-2를 ㉢에 대입하면 f(x)=6x-4 ⑴ f(x)=12x¤ +18x-12 ⑵ f(x)=6x-4

213

f(x)=:_/# (3t¤ -6t-9)dt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3x¤ -6x-9=3(x-3)(x+1) f '(x)=0에서 x=-1 또는 x=3

http://zuaki.tistory.com

x=-1일 때, f(x)는 극대이며 극댓값은 f(-1)=:_-#1 (3t¤ -6t-9)dt

f(-1)=[t‹ -3t¤ -9t]-_1#=32 x=3일 때, f(x)는 극소이며 극솟값은 f(3)=:_3# (3t¤ -6t-9)dt

f(1)=[t‹ -3t¤ -9t]3_#=0

극댓값:32, 극솟값:0

214

f(x)=:)/ (t-1)(t-5)dt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 (x-1)(x-5)

f '(x)=0에서 x=1(∵ 0…x…3)

따라서 0…x…3일 때, 함수 f(x)는 x=1에서 극대 이면서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f(1)=:)1 (t-1)(t-5)dt f(x)=:)1 (t¤ -6t+5)dt f(x)=[;3!;t‹ -3t¤ +5t]1)

f(x)=;3!;-3+5=;3&; ;3&;

215

f(x)=:_/# (t¤ +t+k)dt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x¤ +x+k

함수 f(x)가 x=-3에서 극댓값을 가지므로

f '(-3)=0, 즉 9-3+k=0 ∴ k=-6

∴ f '(x)=x¤ +x-6=(x+3)(x-2) f '(x)=0에서 x=-3 또는 x=2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f(2)=:_2# (t¤ +t-6)dt

f(2)=[;3!;t‹ +;2!;t¤ -6t]2_#

f(2)=-:¡;6@;∞: -:¡;6@;∞:

216

⑴ f(t)=(t-2)‹ 으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 (t-2)‹ dt

=

=

=

=F'(1)

이때 F'(t)=f(t)이므로 F'(t)=(t-2)‹

∴ F'(1)=(1-2)‹ =-1

⑵ f(t)=2t¤ +3t-1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 (2t¤ +3t-1)dt

=

= [F(t)]!

11115x-1 limx⁄1

:!(2t¤ +3t-1)dt 111111112x-1 limx⁄1

112x-11 limx⁄1

F(x)-F(1) 1111113x-1 limx⁄1

[F(t)]/!

11115x-1 limx⁄1

:!/ (t-2)‹ dt 111111x-1 limx⁄1

112x-11 limx⁄1

x -1 3

f '(x) + 0 - 0 +

f(x) 극대 극소

x -3 2

f '(x) + 0 - 0 +

f(x) 극대 극소

x 0 1 3

f '(x) + 0

-f(x) 극대

http://zuaki.tistory.com

=

= ¥(x+1)

=2F'(1)

이때 F'(t)=f(x)이므로

2F'(1)=2f(1)=2(2+3-1)=8

⑶ f(t)=|t-4|로 놓고 f(t)의 한 부정적분을 F(t)라 하면

:!/ |t-4|dt

=

=

=

= ¥

=;2!;F'(1)

이때 F'(t)=f(t)이므로

;2!;F'(1)=;2!; f(1)=;2!;|1-4|=;2#;

⑷ f(x)=3x¤ -x+1로 놓고 f(x)의 한 부정적분 을 F(x)라 하면

;h!;:@2_—Hh (3x¤ -x+1)dx

= ;h!; [F(x)]2@—_hH

=

=

=

=- _(-1)

=F'(2)+F'(2)=2F'(2) 이때 F'(x)=f(x)이므로

2F'(2)=2f(2)=2(12-2+1)=22 F(2-h)-F(2)

112111113-h limh⁄0

F(2+h)-F(2) 112111113h limh⁄0

F(2+h)-F(2)+F(2)-F(2-h) 112111111111111h limh⁄0

F(2+h)-F(2-h) 1121111111h limh⁄0

limh⁄0

limh⁄0

112x+11 F(x)-F(1) 1111113x-1 limx⁄1

F(x)-F(1) 1111113x¤ -1 limx⁄1

[F(t)]/!

11115x¤ -1 limx⁄1

:!/ |t-4|dt 111111x¤ -1 limx⁄1

1125x¤ -11 limx⁄1

F(x¤ )-F(1) 1111112x¤ -1 limx⁄1

F(x¤ )-F(1) 1111112x-1 limx⁄1

⑴ -1 ⑵ 8 ⑶;2#; ⑷ 22

217

f(x)=ax-x¤으로 놓고 f(x)의 한 부정적분을 F(x)라 하면

;h!;:_-! 1 — h (ax-x¤ )dx

= ;h!;[F(x)]-_1!— h

=

=F'(-1)=-3 이때 F'(x)=f(x)이므로 F'(-1)=f(-1)=-a-1=-3

∴ a=2 2

218

(주어진 식)=2 lim

nڦ;Kn+!{2+:n:

3k }2 ¥;n!;

(주어진 식)=2 lim

nڦ;Kn+!{2+:n:

3k

}2 ¥;n#;¥;3!;

(주어진 식)=;3@;:@2+3x¤ dx=;3@;[;3!;x‹ ]5@

(주어진 식)=;9@;(5‹ -2‹ )=26 26

219

(주어진 식)=3 ;Kn+!f{2+;nK;}¥;n!;

(주어진 식)=3:)1 f(2+x)dx

(주어진 식)=3:)1 {(x+2)¤ +2(x+2)} dx (주어진 식)=3:)1 (x¤ +6x+8)dx (주어진 식)=3[;3!;x‹ +3x¤ +8x]1)

(주어진 식)=34 34

다른풀이 (주어진 식)=3 ;Kn+!f{2+;nK;}¥;n!;

다른풀이 (주어진 식)=3:@3 f(x)dx

nlimڦ

nlimڦ

F(-1+h)-F(-1) 11211111113h limh⁄0

limh⁄0

limh⁄0

http://zuaki.tistory.com

다른풀이 (주어진 식)=3:@3 (x¤ +2x)dx

다른풀이 (주어진 식)=3[;3!;x‹ +x¤ ]3@

다른풀이 (주어진 식)=34

220

(주어진 식)=lim

n⁄¶;n!;[{;n!;}3 +{;n@;}3 +…+{;nN;}3 ] (주어진 식)=lim

n⁄¶;n!; ;Kn+! {;nK;}3 (주어진 식)=lim

n⁄¶;Kn+!{;nK;}3 ¥;n!;

(주어진 식)=:)1 x‹ dx=[:4:x› ]1)=;4!; ;4!;

221

(주어진 식)= ;Kn+!(2n-k)¤

(주어진 식)=6 ;Kn+! ¥;n!;

(주어진 식)=6 ;Kn+!{2-;nK;}¤ ¥;n!;

(주어진 식)=-6 ;Kn+!{2+ }¤ ¥ (주어진 식)=-6:@1 x¤ dx=-6[;3!;x‹ ]1@

(주어진 식)=14 14

다른풀이 (주어진 식)=6 ;Kn+!{2-;nK;}¤ ¥;n!;

다른풀이 (주어진 식)=6:)1 (2-x)¤ dx 다른풀이 (주어진 식)=6:)1 (x¤ -4x+4)dx 다른풀이 (주어진 식)=6[;3!;x‹ -2x¤ +4x]1) 다른풀이 (주어진 식)=14

222

⑴ 곡선 y=-x¤ +6x-8과 x축과의 교점의 x좌표

-x¤ +6x-8=0에서 (x-2)(x-4)=0

nlimڦ

11-1n 11-kn

nlimڦ

nlimڦ

(2n-k)¤

11211

nlimڦ

15n‹6

nlimڦ

∴ x=2 또는 x=4 따라서 곡선

y=-x¤ +6x-8과 x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 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 한 부분과 같다.

2…x…4에서 yæ0이 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4 (-x¤ +6x-8) S=[-;3!;x‹ +3x¤ -8x]4@

S=;3$;

⑵ 곡선 y=x¤ -2x-8과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x¤ -2x-8=0에서 (x+2)(x-4)=0

∴ x=-2 또는 x=4 따라서 곡선

y=x¤ -2x-8과 x축으 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 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 분과 같다.

-2…x…4에서 y…0이 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4@ (x¤ -2x-8)dx S=-[;3!;x‹ -x¤ -8x]4_@=36

⑶ 곡선 y=x‹ -x¤ -2x와 x 축과의 교점의 x 좌표 는 x‹ -x¤ -2x=0에서

x(x-2)(x+1)=0

∴ x=-1 또는 x=0 또는 x=2 따라서 곡선

y=x‹ -x¤ -2x와 x 축으로 둘러싸인 부분 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 한 부분과 같다.

-1…x…0에서 yæ0, 0…x…2에서 y…0이므 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O x

y y=x‹ -x¤ -2x

-1 2

y=x¤ -2x-8 O

4 -2

-8

x y

O

-8 4 2

x y y=-x¤ +6x-8

http://zuaki.tistory.com

S=:_0!(x‹ -x¤ -2x)dx-:)2 (x‹ -x¤ -2x)dx S=[;4!;x› -;3!;x‹ -x¤ ]0_!-[;4!;x› -;3!;x‹ -x¤ ]2) S=;1#2&;

⑷ 곡선 y=-x‹ -3x¤ +x+3과 x축과의 교점의 x 좌표는

-x‹ -3x¤ +x+3=0에서 x‹ +3x¤ -x-3=0 (x+3)(x+1)(x-1)=0

∴ x=-3 또는 x=-1 또는 x=1 따라서 곡선

y=-x‹ -3x¤ +x+3 과 x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3…x…-1에서 y…0, -1…x…1에서 yæ0 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1 (-x‹ -3x¤ +x+3)dx S=+:_1! (-x‹ -3x¤ +x+3)dx S=-[-;4!;x› -x‹ +;2!;x¤ +3x]-_1#

S=+[-;4!;x› -x‹ +;2!;x¤ +3x]1_!

S=8

⑴;3$; ⑵ 36 ⑶;1#2&; ⑷ 8

223

곡선 y=x¤ -3x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x¤ -3x=0에서 x(x-3)=0

∴ x=0 또는 x=3 따라서 곡선 y=x¤ -3x와 x축 및 두 직선 x=-1, x=2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1…x…0에서 yæ0, 0…x…2에서 y…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y=x¤ -3x

O x

y

2

-1 3

y=-x‹ -3x¤ +x+3

O x

y

-3 -1

1 3

S=:_0! (x¤ -3x)dx-:)2 (x¤ -3x)dx S=[;3!;x‹ -;2#;x¤ ]0_!-[;3!;x‹ -;2#;x¤ ]2)

S=:£6¡: :£6¡:

224

곡선 y=-x¤ +kx와 x축과의 교점의 x좌표는 -x¤ +kx=0에서 x(x-k)=0

∴ x=0 또는 x=k 이때 k<0이므로 곡선 y=-x¤ +kx와 x축으로 둘러 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 칠한 부분과 같다.

k…x…0에서 yæ0이고 넓이 가 36이므로

36=:K0 (-x¤ +kx)dx=[-;3!;x‹ +;2K;x¤ ]0K

36=-{- + }

36=-k‹ =-216 ∴ k=-6 -6

225

⑴ 곡선 x=y¤ -6y와 y축과의 교점의 y좌표는 y¤ -6y=0에서 y(y-6)=0

∴ y=0 또는 y=6 따라서 곡선

x=y¤ -6y와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른 쪽 그림의 색칠한 부 분과 같다.

0…y…6에서 x…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

S=-:)6 (y¤ -6y)dy S=-[;3!;y‹ -3y¤ ]6)=36

O x

y

6 x=y¤ -6y

15k‹6

15k‹2 15k‹3

O x

y

k

y=-x¤ +kx

http://zuaki.tistory.com

⑵ 곡선 x=y¤ -4와 y축과의 교점의 y좌표는 y¤ -4=0에서 (y-2)(y+2)=0

∴ y=-2 또는 y=2 따라서 곡선 x=y¤ -4와 y축 및 직선 y=3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2…y…2에서 x…0, 2…y…3에서 xæ0이므 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2@ (y¤ -4)dy+:@3 (y¤ -4)dy S=-[;3!;y‹ -4y]2_@+[;3!;y‹ -4y]3@=13

⑶ 곡선 y='ƒx+1+1과 y축과의 교점의 y좌표는 y='ƒ0+1+1=2

따라서 곡선

y='ƒx+1+1과 y축 및 두 직선 y=1, y=3 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오른쪽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y='ƒx+1+1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ƒx+1=y-1, x+1=(y-1)¤

∴ x=y¤ -2y

1…y…2에서 x…0, 2…y…3에서 xæ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2 (y¤ -2y)dy+:@3 (y¤ -2y)dy S=-[;3!;y‹ -y¤ ]2!+[;3!;y‹ -y¤ ]3@=2

⑷ 곡선 y=-'ƒx+4와 y축과의 교점의 y좌표는 y=-'ƒ0+4=-2

따라서 곡선

y=-'ƒx+4와 y축 및 두 직선 y=0, y=-3으로 둘러싸 인 부분은 오른쪽 그 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O x

y

-3 -2 -4

y=-3 y=-'x+4

O x

y

-1 1 2 3

3 y=3 y=1 y='x+1+1

O x

y 3 2

-2 -4

x=y¤ -4

y=-'ƒx+4를 x에 대하여 정리하면 -y='ƒx+4, y¤ =x+4

∴ x=y¤ -4

-3…y…-2에서 xæ0, -2…y…0에서 x…0 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2 (y¤ -4)dy-:_0@ (y¤ -4)dy S=[;3!;y‹ -4y]-_2# -[;3!;y‹ -4y]0_@

S=:™3£:

⑴ 36 ⑵ 13 ⑶ 2 ⑷:™3£:

226

곡선 x=y(y-k)¤ 과 y축과의 교점의 y좌표는 y(y-k)¤ =0에서 y=0 또는 y=k

0…y…k일 때, xæ0이므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k (y‹ -2ky¤ +k¤ y)dy

S=[;4!;y› -:™3:y‹ + ]k) S=;1¡2;k›

;1¡2;k› =12이므로 k› =144 (k¤ +12)(k+2'3)(k-2'3)=0

∴ k=2'3 (∵ k>0) 2'3

227

⑴ 두 곡선의 교점의 x 좌표는 x‹ =3x¤ -4에서 x‹ -3x¤ +4=0, (x+1)(x-2)¤ =0

∴ x=-1 또는 x=2 -1…x…2에서 x‹ æ3x¤ -4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2!{x‹ -(3x¤ -4)}dx S=[;4!;x› -x‹ +4x]2_!

S=:™4¶:

O x

y

-1 2

y=x‹

y=3x2-4

15k¤2

http://zuaki.tistory.com

⑵ 곡선과 직선의 교점의 x 좌표는 x‹ -6x¤ +9x=x에서

x‹ -6x¤ +8x=0 x(x-2)(x-4)=0

∴ x=0 또는 x=2 또는 x= 4 0…x…2에서 x‹ -6x¤ +9xæx 2…x…4에서 x‹ -6x¤ +9x…x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2 {(x‹ -6x¤ +9x)-x} dx S=+:@4 {x-(x‹ -6x¤ +9x)} dx S=:)2 (x‹ -6x¤ +8x)dx

S=-:@4 (x‹ -6x¤ +8x)dx

S=[;4!;x› -2x‹ +4x¤ ]2)-[;4!;x› -2x‹ +4x¤ ]4@

S=8

⑶ y='ƒx+6에서 x=y¤ -6(yæ0)

곡선 y='ƒx+6과 직선 y=x의 교점의 y좌표는 y=y¤ -6에서 y¤ -y-6=0

(y+2)(y-3)=0교점∴ y=3 (∵ yæ0)

0…y…3에서 yæy¤ -6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3 {y-(y¤ -6)}dy S=:)3 (-y¤ +y+6)dy S=[-;3!; y‹ +;2!; y¤ +6y]3) S=;;™2¶;;

O

-6 3

3

x x+6

y y=x

y='å

O x

y

y=x y=x3-6x2+9x

2 4

⑷ 두 곡선의 교점의 x좌 표는

x‹ +2x¤ -2=-x¤ +2 에서

(x+2)¤ (x-1)=0 따라서 x=-2에서 접하고 x=1에서 만 난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_1@ {(-x¤ +2)-(x‹ +2x¤ -2)}dx S=:_1@ (-x‹ -3x¤ +4)dx

S=[-;4{;

;-x‹ +4x]1_@

S=:™4¶:

⑴:™4¶: ⑵ 8

⑶;;™2¶;; ⑷:™4¶:

참고집⑶에서 구하는 넓이 S는

S=:_0^'ƒx+6 dx+:)3 ('ƒx+6-x)dx 로 나타낼 수 있으나 피적분함수'ƒx+6, 'ƒx+6-x 는 무리함수이므로 교과 과정에 벗어난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넓이를 구한 다.

228

두 곡선의 교점의 x 좌표는 x(x-1)(x-2)=x(x-1) 에서

x=0또는 x=1 또는 x=3 0…x…1에서

x(x-1)(x-2)æx(x-1) 1…x…3에서

x(x-1)(x-2)…x(x-1)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O x

y 2

-2

1 y=x3+2x2-2

y=-x2+2

O x

y

1 2 3 6

y=x(x-1) y=x(x-1)(x-2)

http://zuaki.tistory.com

S=:)1 {x(x-1)(x-2)-x(x-1)} dx

S=-:!3 {x(x-1)(x-2)-x(x-1)} dx S=:)1 (x‹ -4x¤ +3x)dx-:!3 (x‹ -4x¤ +3x)dx S=[;4!;x› -;3$;x‹ +;2#;x¤ ]1)-[;4!;x› -;3$;x‹ +;2#;x¤ ]3!

S=;1#2&; ;1#2&;

229

두 곡선의 교점의 x 좌표는 x¤ -3x=-x¤ +7x-8에서 x=1또는 x=4

공식을 이용하면

|a-a'|=2 a=1, b=4

2(4-1)‹

∴ S=11113=96

9 다른풀이여S=:!4 {(-x¤ +7x-8)-(x¤ -3x)}dx 다른풀이여S=-2:!4 (x¤ -5x+4)dx

다른풀이여S=-2[;;3;;x‹

-;2%; x¤ +4x]4!

다른풀이여S=9

230

곡선과 직선의 교점의 x 좌 표는 x¤ =x에서

x=0 또는 x=1 공식을 이용하면 a=1, a=0, b=1

1¥(1-0)‹

∴ S=11111=;6!;6 ;6!;

다른풀이여S=:)1 (x-x¤ )dx 다른풀이여S=[;2!;x¤ -;3!;x‹ ]1) 다른풀이여S=;6!;

O x

y

1 1

y=x¤y=x

O x

y

4 1

y=x2-3x

y=-x2+7x-8

231

y=x¤ -3x와 y=-x+k 의 교점의 x좌표를 a, b(a<b)라 하면 오른 쪽 그림에서 곡선과 직선 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이가 36이므로

:Ú’ {(-x+k)-(x¤ -3x)}dx=36 :Ú’ (-x¤ +2x+k)dx=;6!;(b-a)‹ =36 (b-a)‹ =6‹이므∴ b-a=6 …… ㉠ 또 a, b는 x¤ -2x-k=0의 두 근이므로

a+b=2, ab=-k …… ㉡

㉠, ㉡에서 a=-2, b=4이므로

ab=-k=-8이므∴ k=8 8

232

그래프를 그리면 오른쪽 그림과 같고, 교점의 x좌표는

x(x-1)=x+3에서 x=-1 또는 x=3

∴ S=:_3! {x+3-(x¤ -x)}dx

∴ S=-2:)1 (-x¤ +x)dx

∴ S=[-;3!;x‹ +x¤ +3x]3_!-2[-;3!;x‹ +;2!;x¤ ]1)

∴ S=:£3¡: :£3¡:

233

곡선

y=x(x-4)(x-2a) 와 x축과의 교점의 x좌 표는

x(x-4)(x-2a)=0

∴ x=0 또는 x=4 또는 x=2a

O 4 2a x

y y=x(x-4)(x-2a)

O x

y=x2-xy

3 1 -1

y=x+3

y=x-x¤

3

O 3 b

a x

y y=x2-3x

y=-x+k

http://zuaki.tistory.com

위의 그림의 색칠한 두 도형의 넓이가 같아야 하므로 :)2 a x(x-4)(x-2a)dx=0

:)2 a {x‹ -(2a+4)x¤ +8ax} dx=0 [;4!;x› -;3!;(2a+4)x‹ +4ax¤ ]2)a=0 4a› -;3*;a‹ (2a+4)+16a‹ =0 4a› -16a‹ =0, 4a‹ (a-4)=0

이때 a>2이므로 a=4 4

234

두 곡선의 교점의 x 좌표는 x(k-x)=x¤ (k-x)에서 x=0 또는 x=1 또는 x=k

:)k {x(k-x)-x¤ (k-x)}dx

=:)k {x‹ -(k+1)x¤ +kx}dx

=[;4!;x› -::3::k+1

x‹ +;2K;x¤ ]k)

=-;1¡2;k› +;6!;k‹ =0 k‹ (k-2)=0

∴ k=2 (∵ k>1) 2

235

f(x)=x‹ -3x¤ +x+4 라 하면

f'(x)=3x¤ -6x+1

∴ f '(0)=1

따라서 점 (0, 4)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y=x+4

곡선과 접선의 교점의 x좌표는 x‹ -3x¤ +x+4=x+4 x¤ (x-3)=0

∴ x=0 또는 x=3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3 {(x+4)-(x‹ -3x¤ +x+4)}dx

O x

y

3

y=x3-3x2+x+4

4

y=x+4

S=:)3 (-x‹ +3x¤ )dx S=[-;4!;x› +x‹ ]3)

S=:™4¶: :™4¶:

다른풀이여a=1, b=3, a=0이므로 S=;12;|a|

(b-a)› =;1¡2;¥81=:™4¶:

236

y=x¤ -4x+a의 그래프 의 대칭축은 x=2이므로 영역 B는 x=2에 의하 여 이등분된다.

:)2 (x¤ -4x+a)dx

=[;3!;x‹ -2x¤ +ax]2)

=;3*;-8+2a=0

∴ a=;3*; ;3*;

237

직선 y=ax 와 포물선 y=x¤ -3x의 교점의 x좌표는 ax=x¤ -3x에서 x¤ -(a+3)x=0 x(x-a-3)=0

∴ x=0 또는 x=a+3

포물선 y=x¤ -3x와 x축과의 교점의 x 좌표는 x¤ -3x=0에서 x(x-3)=0

∴ x=0 또는 x=3

따라서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색 칠한 부분의 넓이의 2배이므로

:)a+3{ax-(x¤ -3x)}dx=-2:)3 (x¤ -3x)dx [-;3!;x‹ +;2!;(a+3)x¤ ]0a+3=-2[;3!;x‹ -;2#;x¤ ]3)

;6!;(a+3)‹ =9

∴ a=3(‹'2-1) 3(‹'2-1)

O x

y

3 a+3

y=ax y=x2-3x

O x

y

A B

2

y=x¤ -4x+a

http://zuaki.tistory.com

238

기울기가 m이고 점 (1,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2=m(x-1)교점∴ y=m(x-1)+2

포물선과 직선의 교점의 x 좌표를 a, b(a<b)라 하 면 a, b는 방정식

x¤ =m(x-1)+2,즉 x¤ -mx+m-2=0 의 두 근이다.

∴ a+b=m, ab=m-2

(b-a)¤ =(b+a)¤ -4ab=m¤ -4m+8에서 b-a="√m¤ -4m+8="√(m-2)¤ +4

∴ S=:ab(mx+2-m-x¤ )dx (b-a)‹

∴ S=1111=;6!; {"√(m-2)¤ +4 }‹6

∴ S=;6!; {(m-2)¤ +4};2#;

따라서 도형의 넓이는 기울기가 2 일 때, 최소가 된다.

2

239

y=f(x)와 y=g(x) 는 서로 역함수의 관계 이므로 두 함수의 그래 프는 직선 y=x에 대 하여 대칭이다.

함수 y=f(x)의 그래

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는 2x‹ +x¤ +x=x에서 x¤ (2x+1)=0

∴ x=0 또는 x=-;2!;

두 곡선 y=f(x)와 y=g(x)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이는 -;2!;…x…0에서 직선 y=x와 곡선 y=f(x)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2배와 같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라 하면 S=2:0

-;2!;

{(2x‹ +x¤ +x)-x} dx S=2:0

-;2!;

(2x‹ +x¤ )dx S=2[;2!;x› +;3!;x‹ ]0

-;2!;

=;4¡8; ;4¡8;

O -;2;1

x y y=f(x)y=x

y=g(x)

240

f (x)=x‹ +3에서 f '(x)=3x¤ æ0, f(0)=3, f(2)=11 이므로 y=f(x)의 그래 프는 두 점 (0, 3), (2, 11)을 지나는 증가 하는 곡선이다.

위의 그림에서 B=C이므로 :)2 f(x)dx+:F¿)Æf(2)g(x)dx

=A+B=A+C=2_11=22 22

241

점 P가 멈추려면 속도가 0이어야 하므로 v(t)=6t-t¤ =t(6-t)=0

∴ t=0 또는 t=6

따라서 점 P는 출발한 지 6초 후에 멈추므로 6초 때 까지 이동한 거리는

:)6 |v(t)|dt=:)6 |6t-t¤ |dt :)6 |v(t)|dt=:)6 (6t-t¤ )dt

:)6 |v(t)|dt=[3t¤ -;3!;t‹ ]6)=36 36

242

4초 후의 점 P 의 위치는

:)4 v dt=:)4 (t¤ -4t+3)dt

:)4 vdt=[;3!;t‹ -2t¤ +3t]4)=;3$;

¤t=0에서 t=4 까지의

⁄경과 거리는

:)4 |v|dt

=:)4 |t¤ -4t+3|dt

=:)1 (t¤ -4t+3)dt

O t

v v=t2-4t+3

v=-t2+4t-3

1 3 4

O A C

3 B

2 11

2 3 11

x y

y=f(x) y=x

y=g(x)

http://zuaki.tistory.com

-5t¤ +60t=0

∴ t=12(초)

따라서 t=12일 때 v=-10t+60으로부터 v=-60(m/초)

⑴ 180 m ⑵ 200 m ⑶ -60 m/초

245

먼저 그래프를 보고 속도 v 와 시각 t 사이의 관계식 을 세우면

0…t…1일 때, v=2t 1…t…2일 때, v=2 2…t…5일 때, v=-t+4

⑴ t=4일 때, 운동 방향이 바뀌므로 움직인 거리는 :)4 |v|dt

=:)1 2t dt+:!2 2 dt+:@4 (-t+4)dt

=[t¤ ]1)+[2t]2!+[-;2!;t¤ +4t]4@

=5

:)5 |v|dt=:)4 |v|dt-:$5 (-t+4)dt :)5 |v|dt=5+;2!;

:)5 |v|dt=:¡2¡: ⑴ 5 ⑵:¡2¡:

다른풀이여넓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⑴ (움직인 거리)=;2!;_(1+4)_2 (움직인 거리)=5

⑵ (움직인 거리)=5+;2!;_1_1 (움직인 거리)=:¡2¡:

=+:!3 (-t¤ +4t-3)dt+:#4 (t¤ -4t+3)dt

=[;3!;t‹ -2t¤ +3t]1)+[-;3!;t‹ +2t¤ -3t]3!

=+[;3!;t‹ -2t¤ +3t]4#

=;3$;+;3$;+;3$;=4

점 P의 위치:;3$;, 경과 거리:4

243

정지할 때의 속도는 v(t)=0이므로 v(t)=24-2t=0도는∴ t=12(초)

따라서 열차는 제동을 건 뒤 12초 후에 정지한다.

그러므로 열차가 정지할 때까지 달린 거리 s 는 s=:)1 2 |24-2t|dt

s=:)1 2 (24-2t)dt s=[24t-t¤ ]1)2

s=144(m) 144 m

244

⑴ 최고점에 도달했을 때는 v=0이므로 -10t+60=0도는∴ t=6(초)

∴ s=:)6 (-10t+60)dt

∴ s=[-5t¤ +60t]6)=180(m)

⑵ s=:)8 |-10t+60|dt

s=:)6 (-10t+60)dt+:^8 (10t-60)dt s=[-5t¤ +60t]6)+[5t¤ -60t]8^=200(m)

⑶ t초 후의 높이는 :)t (-10t+60)dt

=[-5t¤ +60t]t)

=-5t¤ +60t

땅에 떨어질 때의 높이는 0 이므로

http://zuaki.tistory.com

문서에서 Ⅰ 미적분 (페이지 48-6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