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양상과 의의

해방 후, 한국 현대 성장소설은 급변해온 사회 역사적 환경 속에서 성장기의 주인물들이 ‘자아정체성’ 문제를 심도 있게 탐구해왔다는 점에서 그 소설사적 의 의와 유형적 가치를 평가할 만하다.

지금까지의 모티프 분석을 통해서 드러난 한국 현대 성장소설은 인식적 차원 과 실천적 차원의 두 가지 성숙의 양상을 형상화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분석결과를 토대로 할 때, 성장소설에서는 혼돈의 상황에서 정체성을 찾지 못하 는 주인물이 시련 과정을 거쳐 성장에 이르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때, 주인물 들은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자아와 세계를 인식하거나 능력, 꿈, 사랑과 같은 탐 색 대상을 취하게 된다.

특히, 해방 후 한국 현대 성장소설들이 자아정체성을 찾아나가는 보편적 특성 을 보이는 것은 당대의 시대 역사적 상황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인간으로서의 주체성과 존재감을 강탈당한 일제 강점기와 6·25라는 동족상잔의 이념전쟁이 안겨준 인간성 상실과 파괴, 그리고 4․19민주화 운동과 5․16군사혁 명 등이 가져다 준 역사적 상황 속에서 당대인들이 갈망하던 욕망은 주체로서의 자존감과 정체성을 되찾는 것이었다.

해방 후 한국 현대 성장소설에는 그러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억눌려 있던 인 간적 욕망이 소설에 반영되어 ‘나는 누구인가?’와 ‘나의 정체성은 무엇인가?’라는 공통의 질문을 끊임없이 되묻게 했다고 본다. 해방 후 한국 성장소설들이 인식적 차원과 실천적 차원에서 일관되게 정체성을 탐구한 것도 이런 오랜 억눌림에서 터득한 깨달음이나 욕망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미, 앞에서 분석을 통하여 밝힌 것처럼 한국 현대 성장소설에서 주체에게 정 체성 탐구의 길로 나서게 하는 것은 ‘조력자의 역할’이다. 즉, 성장 주체는 타자 와의 관계 속에서 삶을 이해하고 성장을 지향한다. 성장 주체는 결핍에서 충족으 로, 분리에서 결합으로, 출발에서 귀환에 이를 때까지 갖가지 시련을 겪는다. 대 부분 미숙한 성장소설의 주체들이 열악한 환경 속에서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것

은 자신의 노력 외에도 조력자 역할을 하는 주변 인물들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 타났다.

이때, 조력자는 주인물이 시련을 극복할 수 있도록 주된 요인이나 동기가 되어 주기도 하고, 주인물이 자기의식을 강화하는데 자극을 주기도 한다.109) ‘여행을 통한 발견’ 모티프에서는 동행 인물을 조력자로 삼아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며 삶 을 이해하고 성장을 이룬다. 이러한 현상은 ‘성과 사랑의 체험’ 모티프에서도 확 인 할 수 있다. 성장 주체는 상대 이성으로 인하여 ‘성’에 눈을 뜨며 성숙을 이루 기도 하고, 상대 이성이 성숙한 사랑을 보여줌으로써 사랑의 본질과 의미를 깨닫 고 성숙한 자아를 획득하기도 한다.

‘순수성의 상실’ 모티프에서는 성장을 이루는 과정에서 어른들이 조력자의 기능 을 발휘한다. 어른들의 지혜로운 판단은 청소년의 성장 과정에서 바른 질서를 잡 아주고 혹시, 옳지 않은 길을 가더라도 어른들의 따뜻한 사랑과 관심의 힘이 반 성을 촉구하고 성장을 이루게 이끄는데 큰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주변 인물들 도 조력자의 역할뿐만 아니라 주인물과 함께 성장을 이루게 된다. 즉, 서로가 서 로에게 성장의 계기를 마련해 주는 방식으로 주체로서의 길을 찾아가게 한다.

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또 다른 특성은 ‘가족주의의 이념적 변화 양상’이다. 한 국 현대 성장소설의 논의의 기반과 출발점을 가족주의 문화로 주장하는 것도 이 런 논리에 근거를 둔다.110) 성장소설의 기반으로 자리 잡은 가족 중심주의는 이 제 점진적인 변화의 양상을 보여주는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가족주의의 변화 양상은 아버지의 부재, 강인한 여성상 인식 등의 주제 로 형상화된다. 일제 강점기와 양극적인 이념 대립의 상황, 산업화의 과정 등으 로 인해서 아버지라는 존재는 위상 정립이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고, 여성의 능력은 상대적으로 중시된다. 이와 같은 시대 상황의 변화 속에서 아버지는 자녀 들에게 무능한 존재로 왜곡되어 인식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아버지는 가장으로서 의 권한이 약화됨으로써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해 강력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가족이나 이웃 간의 정에 의존한 해결책을 모색함으로써 온정주의에 기반한 성 장소설의 양상을 보여준다.111)

109) 장서영, 앞의 논문, p. 124.

110) 위의 논문, p. 119.

한국 현대 성장소설에서는 가족으로부터 이탈하여 개인의 삶을 모색하는 양상

위 표에서 인식적 차원의 성장소설은 소설 속 주인물인 ‘나’가 각성의 매체인 조력자의 도움을 받아 자아와 세계와 같은 탐색대상을 인식하게 됨을 보여준다.

그리고 실천적 차원의 성장소설은 소설 속 주인물인 ‘나’가 조력자를 통해서 능 력, 꿈, 사랑과 같은 탐색대상을 성취하게 됨을 시사한다. 즉, 인식적 차원이 강 한 작품은 주체의 세계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깨달음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고, 실천적 차원이 강한 작품은 주체의 행위에 대한 능력이나 의지가 강한 경 우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서, 한국 성장소설에서는 주인물이 자아정체성을 인식하고 깨닫는 과정을 통해서 성숙에 이르는 서사구조가 지배적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