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화 교육의 인지도에 관한 실태조사 및 분석

본 연구는 제주도내 2학년 학생들의 한국화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자 미술 교사로 근무하는 선생님과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제작,배포하여 조사하 였다.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유는 1학년은 조금 이른감이 있고 3학년은 고 입 준비로 설문에 대한 부담을 느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는 판단 에서이다.

조사 자료를 통해 한국화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항목을 분석하였다.

첫째,한국화의 교수․학습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각 학교의 시설과 교구 의 준비 상태를 분석한다.

둘째,미술교사의 실기 지도 방법 및 한국화 수업전반에 걸친 실태를 파악한다.

셋째,학생들이 한국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인지도에 대한 실태를 파악한다.

넷째,파악한 자료를 토대로 효과적인 한국화 지도 개선 방안을 모색 해 보고자 한다.

1. 미술교사에 대한 한국화 교육의 실태조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가지고 제주도내에서 중 학교 미술교사로 근무하시는 선생님들 중에서 40명의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서신 및 방문을 통하여 배포하고 그 중에서 2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조사의 분석 은 빈도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여 처리하였다.

<표 1> 제주도내 미술교사 응답자의 실태

질문 내용 응답 자료 빈도 퍼센트

성별

남교사 4 20.0

여교사 16 80.0

근무 학교

남자 중학교 2 10.0

여자 중학교 1 5.0

남녀 공학 17 85.0

근무 지역

제주시내 7 35.0

서귀포시내 5 25.0

그 외 지역 8 40.0

경력

1-5년 7 35.0

16-20년 1 5.0

21년 이상 12 60.0

전공

한국화 11 55.0

서양화 5 25.0

조소 1 5.0

디자인 1 5.0

공예 2 10.0

합계 20 100.0

<표 1>의 응답자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보면 성별에서 여교사 80.0%,남교사 20.0%이고,근무학교에서는 남녀 공학이 85.0%,남자 중학교가 10.0%,여자 중학 교가 5.0% 순이다.

근무지역을 보면 제주시내가 35.0%,서귀포시내 25.0%,그 외 지역이 40.0%에 해당한다.경력에서는 21년 이상이 60.0%로 가장 높고,1-5년이 35.0%,16-20년 이 5.0% 순이며,전공에서는 한국화가 55.0%,서양화가 25.0%,공예가 10.0%,조 소와 디자인이 각각 5.0%이다.

<표 2> 미술실 현황

질문 내용 응답 자료 빈도 퍼센트

실기 수업 장소

미술실 18 90.0

일반교실 2 10.0

미술실 크기

일반교실 크기 10 50.0

일반교실 크기의 1배 반 4 20.0

일반교실 크기의 2배 6 30.0

한국화 수업 시 학생들의 용구 준비 상태

양호하다 5 25.0

보통이다 4

20.0

미비하다 7 35.0

아주 미비하다 4 20.0

합계 20 100.0

<표 2>의 미술실 현황을 보면 실기 수업 장소에서 미술실이 90.0%,일반교실이 10.0%이며,미술실 크기에서는 일반교실 크기가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교실 크기의 2배가 30.0%,일반교실 크기의 1배 반이 20.0% 순이다.

한국화 실기 수업 시 학생들 용구 준비 상태에서는 미비하다가 35.0%,양호하 다가 25.0%,보통이다와 아주 미비하다가 각 20.0%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대체적으로 한국화 수업은 미술실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술실 크기는 일반 교실과 같은 크기이며,학생들의 준비물 준비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한국화 실기 수업은 준비물과 용구나 시설이 충분히 갖춰져야만 원활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우선적으로 수업에 필요한 용구 준비에 힘써야 할 것이다.

<표 3> 교육과정에서의 한국화 수업 실태1

<표 3>의 교육과정에서의 한국화 수업 실태1를 보면 사용하는 교과서는 교학 사가 40.0%,지학사가 35.0%,두산이 20.0% 순으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 을 알 수 있다.

교과서 활용 정도에서는 별로 활용하지 않는다가 45.0%로 가장 높고,자주 활 용한다가 40.0%,항상 활용한다가 15.0%로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교과서 활용을 거의하지 않는 것으로 응답하였다.활용되지 않는 이유를 보면 교과서 내용만으 로는 부족하다가 50.0%로 가장 높게 반응하고 있으며,제작과정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가 30.0%,학생들 수준에 알맞지 않다와 작품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 가 각각 10.0% 순으로 반응했다.

미술 수업 시 비중있게 지도하는 분야를 보면 서양화가 50.0%,디자인이 25.0%, 한국화가 20.0%,공예가 5.0% 순으로 조사 대상 중 한국화 전공교사(55%)가 많 음에도 불구하고 서양화 위주의 수업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간 한국화 총 수업시간을 보면 3-4시간이 50.0%로 가장 높고,5시간 이상이 30.0%,1-2시간이 20.0% 순이며,다른 영역에 비해 한국화 지도시간을 적게 할 애 하는 이유를 보면 한국화 외 다른 영역에서 지도할 분량이 많아서가 65.0%, 한국화 수업에 필요한 교구나 준비가 미비하기 때문이 35.0%이다.

이론과 실기 비중을 보면 실기에 비중을 둔다와 이론 50% 실기 50%로 한다가 각각 35.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이론에 비중을 둔다가 25.0%,여건상 실기 지도를 못하는 경우도 5.0%에 달했다.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한국화 종류를 보면 수묵담채화가 40.0%로 가장 높고 수 묵화가 25.0%,사군자가 20.0%,채색화가 15.0%이다.

실기 지도 방법에서는 직접시범을 보이고 난 후 그리게 한다가 45.0%로 가장 높으며,교과서나 참고 자료를 보고 그리게 한다가 35.0%,인터넷과 방송매체를 활용하여 제작과정을 보고 난 후 그린다가 15.0%,직접풍경이나 정물을 보고 그 리게 한다가 5.0% 순이다.

교육과정에서 한국화 수업의 실태는 교과서는 교학사를 채택하여 활용하고 있 으나 내용이 부족하여 실제 수업시간에는 거의 활용은 하지 않고 있다.그리고 미술수업은 서양화를 비중있게 지도하고 있고 연간한국화 총 수업시간은 3-4시 간정도이며 실기지도는 시범을 보이고 난 후 그리게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4> 교육과정에서의 한국화 수업 실태2

질문 내용 응답 자료 빈도 퍼센트

한국화 실기 학습에 대한 학생들 반응

매우 흥미 있어 한다 1 5.0 대체로 흥미 있어 한다 13 65.0

그저 그렇다 6 30.0

서양화와 비교 시 한국화 수업비중 정도

50% 이상 4 20.0

30% 이상 11 55.0

20% 이상 5 25.0

교외 미술 전시회 관람 추천 횟수

1-2회 10 50.0

3-4회 5 25.0

5회 이상 1 5.0

추천할 기회가 없다 4 20.0

한국화 관련 전시회 방문 추천 횟수

1-2회 11 55.0

5회 이상 1 5.0

추천할 기회가 없다 8 40.0

한국화 운영 상황

잘 운영되고 있다 14 70.0 잘 운영되지 않는다 6 30.0

<표 4>의 교육과정에서 한국화 수업 실태2한국화 실기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정도를 보면 대체로 흥미 있어 한다가 65.0%,그저 그렇다가 30.0%,매우 흥 미 있어 한다가 5.0% 순으로 나타났다.

서양화와 비교하여 한국화 수업비중 정도를 보면 30% 이상이 55.0%로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교외 미술 전시회 관람 추천 횟수를 보면 1-2회가 50.0%로 가장 높고,3-4회가 25.0%,추천할 기회가 없다가 20.0%,5회 이상이 5.0% 순이다.

한국화 운영 상황을 보면 잘 운영되고 있다가 70.0%로 대체적으로 한국화 운 영 수업은 잘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한국화 실기 학습에 대한 학생 들의 흥미에 관한 반응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5> 한국화 교육의 인지도

<표 6> 한국화 교육에 있어서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상 지도시간의 부족이 25.0%,교사의 관심이나 기능부족과 과밀학급으로 인한 실기수업의 어려움이 각각 10.0%,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부족과 입시 위주의 교 육에 밀려서가 각각 5.0% 순으로 조사되었다.

학생들의 한국화 관심과 흥미가 적은 원인에서는 체계적인 지도를 못하고 있기 때문과 재료준비가 불편해서가 각각 30.0%로 가장 높게 응답하였다. 한국화 표 현이 어렵기 때문에가 15.0%,한국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와 진학에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타 장르보다 시간배정이 적기 때문에가 각각 10.0%,한국화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가 5.0%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화 연수 참여 의사에서는 적극 참여하겠다가 65.0%,유익하다면 참여 하겠 다가 10.0%로 나타났다.교과서의 한국화 영역 개선할 점에서는 기초적인 표현 기법이나 제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가 50.0%로 가장 높으며,한국화 영역과 관련한 별도의 보조자료 제작보급이 25.0%,더 많은 참고작품과 참고작품에 대 한 해석 보충이 15.0%,한국화 이론과 실기에 대한 내용 분량 증가가 10.0% 순 으로 나타났다.

<표 7> 보유하고 있는 용구

내용 구분 빈도 퍼센트

귀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용구

붓 3 6.4

벼루 11 23.4

먹 13 27.7

화선지 5 10.6

모포 6 12.8

접시 5 10.6

충분히 비치된 용구가 없다 4 8.5

합계 47 100.0

<표 7>의 보유하고 있는 용구를 보면 먹이 27.7%로 가장 높고,벼루가 23.4%, 모포가 12.8%,화선지와 접시가 각각 10.6%,충분히 비치된 용구가 없다가 8.5%, 붓이 6.4%로 파악되었다.

여전히 부족한 도구와 용구로 수업에 부담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따라서 학 생들이 고가의 붓이나 다량으로 써야 하는 화선지등은 준비하기가 어려울 수 있 으므로 학교에서 준비하여 학생들이 부담없이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표 8> 바람직한 한국화 교수 학습을 위해 우선 해결되어야 할 문제

질문 내용 응답 자료 빈도 퍼센트

바람직한 한국화 교수 학습을 위해

우선 해결되어야 할

문제

교사 연수를 통한 교사의 지도능력 배양 2 7.7 지도 자료와 시설 확충 및 실습 연건의 개선 12 46.2

한국화의 중요성이 확대되어 교과서 내용 재편성 1 3.8

현재보다 미술 수업시수의 증가 6 23.1

주요 과목 중심의 교수 학습 분위기 탈피 5 19.2

합계 26 100.0

<표 8>의 바람직한 한국화 교수 학습을 위해 우선 해결되어야 할 문제를 보면 지도 자료와 시설 확충 및 실습 여건의 개선이 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보다 미술 수업 시수의 증가가 23.1%,주요 과목 중심의 교수 학습 분위기 탈피가 19.2%,교사 연수를 통한 교사의 지도능력 배양이 7.7%,한국화의 중요성

<표 8>의 바람직한 한국화 교수 학습을 위해 우선 해결되어야 할 문제를 보면 지도 자료와 시설 확충 및 실습 여건의 개선이 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현재보다 미술 수업 시수의 증가가 23.1%,주요 과목 중심의 교수 학습 분위기 탈피가 19.2%,교사 연수를 통한 교사의 지도능력 배양이 7.7%,한국화의 중요성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