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 H A P T E R 4

한국형 고령자주택 유형 개발

이 장에서는 한국형 고령자주택 유형별 활성화 방안과 운영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한‧

다 이를 위하여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고령자주택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사례.

를 참고하여 노인복지주택 노인공동생활가정 복합노인복지단지를 중심으로 개발 방, ,

향을 제시한다 그리고 고령자주택의 물리적 사후관리 방안 운영조직에 대한 개선 방. ,

안을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관리 및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한국형 고령자주택 유형별 활성화 방안 1.

수요자 요구에 부응하는 노인복지주택 개발

1) ‘ ’

중산층 이상의 고령자를 위한 주거 대책의 하나로 등장하게 된 노인복지주택 혹은 유료 양로시설은 실버타운이라고 불리면서 개발 공급되고 있다․ . 2009년 현재 노인복지주택의 수는 20개이며 정원은 5,645명이다 그러나 입주자는. 3,038 명으로 입주율이 53%에 불과하다 이러한 유료시설이 입주율을 높이고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입주 자의 주거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현재의 고령자는 과거의 고령자와는 달리 적극적인 생활을 하고자 하는 의욕 이 넘치고 주거를 선택할 때에도 고객으로서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와 상품을 선 택 소비하고자 한다 특히 삶의 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여 여가 레저 관광 등․ . , , 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고령자의 여가활동 건강유지활동, , ,

휴양이나 휴식에 관련된 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고령자주택에 대한 수요는 더 욱 높아질 것이다.

우리나라 중산층 50대 남녀를 대상으로 노후 주거생활환경에 대한 의견을 조 사한 결과에 의하면 실버타운이 노후에 선택할 주거 유형으로 가장 선호도가 높, 으며 건강이 나쁠 때도 요양시설 다음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홍형옥, ( 외, 2004) 고령자주택이 건강관리와 여가 취미생활을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에․ 중점을 둔다면 노인복지주택이나 유료 양로시설은 활성화될 것이다 하지만 각. 종 시설과 프로그램을 모두 수용하여 운영하는 것은 규모 면에서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규모의 다양성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노인복지주택 별로 독특한 공. 간이나 프로그램을 특화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는 고령자를 위한 특화된 서비스로 입주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는 고령자주택 운영 회사가 있다 미국 전역에서. 548개의 고령자주택과 은퇴단지를 운영하고 있는 브룩데일시니어리빙' (Brookdale Senior Living75),이하 브룩데일 이' ' 라 칭함 은 고령자주거단지)' (Senior Living Community)를 소유 관리하고 서비스․ 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회사이다 브룩데일에서는 혁신 (Senior-relative services) .

적인 방법으로 고령자를 위한 주택 생활서비스 부가가치 서비스 지속적인 보호, , , 를 수행하고 있다 이 회사에서 중점을 두는 것은 건강 식사 여가서비스

(care) . ․ ․

의 차별화이다 건강 프로그램은 브룩데일의 자회사인 이노베이티브 고령자케어. ' 에서 재활 체육 교육강좌 뿐만 아니라 재택건강서비 (Innovative Senior Care:ISC)' , ,

스를 제공하며 요리협회, (Culinary Arts Institute)와 제휴하여 전국의 브룩데일단지 에 식사를 공급한다 또한 성공적인 노화에 목표를 둔 브룩데일의 최적생애.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Optimum Life) .

브룩데일이 운영관리하는 실버타운은 규모와 시설에 차이가 있다 독립생활주. 택(independent living)에서부터 개인 생활보조주택(PERSONALized assisted living), 알츠하이머 치매․ 돌봄(Alzheimer's and Dementia Care), 재활 간호서비스․

연속보호은퇴촌

(Rehabilitation & Skilled Nursing), (Continuing Care Retirement

75) http://www.brookdaleliving.com

제 4 장 한국형 고령자주택 유형 개발 155

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여 입주자는 자신의 건강상태에 따라 Communities : CCRC)

주택을 선택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노인복지주택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수요자의 요 구에 부응하도록 특화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고령자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할. 때 제공되는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고 여가중심형 의료서비스중심, 형으로 특화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여가중심형 고령자주택은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경제적으로는 중 상류, ․ 층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여가생활중심의 라이프스타일을 갖고 있는 부 부가 함께 입주하도록 한다 이들의 입주 동기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각종 편의시. 설과 수영장 골프장 클럽하우스 등 스포츠 시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입주자, , 가 좀 더 안전한 환경에서 활발한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여. 가중심형 고령자주택은 장기적으로 거주자의 건강 변화에 대응하는 데 부족한 면이 있지만 건강관리와 여가생활 중 건강관리는 협력병원과의 연계강화와 기본 적인 서비스만 제공하고 여가생활에 더 큰 비중을 두고 계획한다면 활동적인 고 령자에게는 매력적인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가서비스의 질은 이를. 개발하고 지원하는 전문인력에 의해 성패가 좌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방안 은 전문인력 확보와 역량 강화 부분에서 논의하기로 하겠다‘ ’ .

둘째 의료서비스중심형 고령자주택에서는 신체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접, 근성(accessibility)을 고려한 안전한 개별주택이 주로 공동주택의 형태로 있고 각 종 의료적 서비스와 직접적인 간호가 제공되는 형태이다 건강상의 이유로 반의. 존 의존생활을 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일반주거기능 보다는 의료․ 간호서비스 간병서비스 비중이 높게 제공된다, .

의료서비스중심형 고령자주택은 의료서비스를 특화시키면서 규모를 다양화하 게 개발할 수 있다 소규모 의료서비스중심형 고령자주택의 경우는 입주자의 건. 강상태에 대응하는 의료서비스만을 제공하도록 한다 반면 대규모 의료서비스중. 심형 고령자주택은 입주 후 사망에 이를 때까지 주거 서비스 개인적 서비스 요, , 양서비스 등의 제공을 보장하는 평생보호(lifetime care)를 지원하는 주택이다 미.

국의 연속보호은퇴촌(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ies : CCRC)의 형태로 이미 캐나다 호주 등지에서는 일반화되어 있는 고령자주택 유형이지만 우리나, 라에서는 다른 유형의 고령자주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새로운 형태로 삼성 노블 카운티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형태는 고령자 개개인의 신체적 변화에 대처.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수준의 보호와 서비스 그리고 주거공간을 단계별로 제공되, 므로 대규모 형태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노인복지주택이 수요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식사와 기본적인 건강 서비스는 제공되면서 고령자 자신의 건강상태와 필요한 서비스 주거요구, 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housing need) .

서는 각각의 고령자주택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달라지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공간의 종류도 차이가 있는 노인복지주택이 개발되어야 한다 아울러 입주자가.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며 생활하도록 건강 감성 지성 생활 노화에 대한 총체적, , , , 접근도 필요하다.

지역 복지서비스 연계와 재정지원을 통한 노인공동생활가정 활성화

2) ‘ ’

대부분의 국가에서 노인복지정책이 시설복지에서 재택복지로 전환되고 있기 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택개조 및 재가복지서비스 만으로는 담당할 수, 없게 된 고령자를 수용 보호하는 시설은 여전히 필요하다 김혜승 외․ ( , 2008). 이 에 따라 고령자용 시설과 주택의 공급은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공급 정책으로 인해 여러 유형의 고령자용 주택이 시도되고 있고 노인공동생활가정 역시 그 유, 형 중의 하나이다 노인공동생활가정은 시설보다는 가정에 가깝도록 그 성격을. 부여하고 있는데 입소인원의 수도 적거니와 필요 공간 및 시설에 대한 기준도, 다른 유형의 노인주거복지시설과는 조금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재정적. 인 지원에 있어서는 유료로 운영되는 노인공동생활가정의 경우 수익구조 측면, 에서 근본적으로 재정적 어려움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급의 확대를 기대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