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4. KISTEP

5. 산업연구원

1.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은 전 학문분야를 아우르는 국가 기초연구지원시스템의 효율화 및 선진화를 목적으로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한국과학재단, 한국학술진흥재단,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이 하나로 통합되어 2009년 6월 새롭게 출범한 연구관리전문기관이다. 한국연구재단의 주요 기능 및 역할은 학술 및 연구개발 활동의 지원, 학술 및 연구개발 인력의 양성과 활용의 지원, 학술 및 연구개발 활동의 국제협력 촉진 지원, 학술 및 연구개발 사업 수행에 필요한 자료 및 정보의 조사․수집․분석․평가․관리․활용과 정책개발 지원, 학술 및 연구개발 관련 기관․단체의 연구․운영 지원, 국내외 학술 및 연구개발 관련 기관․단체 간의 교류협력 지원 등이다.

한국연구재단은 학술 및 연구개발 사업 수행에 필요한 자료 및 정보의 조사․

수집․분석․평가․관리․활용의 일환으로서 연구정보구축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정보구축사업으로는 KRI와 KCI가 대표적이다.

KRI(Korean Researcher Information, 한국연구업적통합정보)는 대학 및 연구 기관 연구자들의 연구업적정보를 국가차원에서 공유, 활용하기 위해 구축된 서비스이다. KRI의 목적은 첫째 연구기초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자가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연구환경을 개선하고, 둘째 연구자들의 연구업적 정보 중복 등록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애고, 셋째 연구업적 검증을 통한 연구지원사업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KRI는 연구기초자료 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연구자들이 연구업적정보를 소속기관과 학술진흥재단에 중복 등록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자 하는 배경에서 출발했다. KRI 협정 체결기관의 연구자들은 한 곳에서만 업적 및 이력관리를 하면 그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분야와 규모의 연구과제 신청을 할 수 있게 된다.

KRI의 주요 경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 2007년: KRI 구축사업 기본계획 수립 및 KRI 연계를 위한 협정체결(157개 기관) - 2008년: KRI시스템 오픈(156개 기관) 및 2008년 협정식 체결(179개 기관 추가) - 2009년: 협정식 체결(총 408개 대학 및 정부출연기관)

<표 4> KRI의 연구자 입력정보

2010년 7월 현재 KRI는 연구자 입력정보에 기초해 지적재산권 20만 건, 논문 332만 건, 저역서 47만 건, 연구비 57만 건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림 9> KRI의 메인 화면

다음으로 KCI를 살펴보자. KCI(Korea Citation Index, 한국학술지인용색인)는 국내학술지 인용색인 DB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용색인 및 학술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국제학술지의 경우 SCI, SCOPUS 등을 통해 학술정보 제공 및 질적 평가 시스템이 확립되어 있다. 그러므로 SCI 등은 학문분야별 연구동향 파악 및 정책 결정의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세계 각국의 학문 및 과학기술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로 인정된다. 이에 비해 국내학술지는 학술정보 제공 및 질적 평가시스템이 부재했다. 즉 국내에서는 학술지 및 게재논문의 양적 성장에 치중한 결과, 한국 연구재단 등재 1,731종 국내학술지 게재논문(8만여 건/년)의 질적 수준 측정이

불가능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판 SCI’인 KCI를 추진하게 되었다. KCI는 국내학술지와 게재논문의 서지정보를 제공하고, 국내학술지와 게재논문에 대한 통계정보 및 인용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업적 평가 등 각종 평가의 질적 평가 도구로 활용되는 서비스이다.

KCI의 주요경과는 다음과 같다.

- 1999년: 국내학술지 인용색인 DB프로그램 개발 정책연구 수행 - 1999~2004년: 학술지 인용색인 관리시스템 시험 운영

- 2005년: KCI 관리시스템 구축 완료

- 2008년: 학술지평가지표(Kor-Factor) 서비스 제공(인용색인 DB 구축 완료)

<그림 10> KCI의 메인 화면

KCI의 구축대상은 다음과 같다.

한편 한국연구재단은 KRI와 KCI와 같은 연구정보구축사업 외에도 다양한 연구정보구축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연구정보구축지원 사업으로는 이공학 분야의 전문연구정보활용지원사업과 인문사회분야의 기초학문자료센터사업이 대표적이다.

2.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EIT)은 지식경제부 산하 R&D 지원기관 6곳에 흩어져있던 산업기술 R&D 평가 관련 업무를 일원화해 2010년 5월에 출범한 지식경제부 산하 정부출연기관이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투명하고 전문적인 산업기술 기획/평가/관리를 통한 국가기술경쟁력 강화를 미션으로 하며, 주요 기능은 산업기술개발사업에 대한 과제 기획․평가․관리, 기술개발과제 기획을 위한 산업기술의 수요․수준․전망 조사, 기술개발 과제의 기술적․경제적 타당성 및 재무건전성 조사, 중소기업 기술력 향상을 위한 지원사업의 기획․평가․관리, 기술혁신의 전주기 상시 책임 관리자 제도의 운영 및 지원이다.

현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은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기타사업에 2조원이 넘는 R&D예산을 집행하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e-R&D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e-R&D 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첫째 지식경제부 R&D사업의 업무와 정보 등 관리체계 수립, 둘째 현황과 통계정보 서비스 및 사업현황판(Dash Board) 구축을 통한 지식경제부 정책결정 지원, 셋째 11개 전담기관의 과제․인력․사업체․장비․

성과정보 수집을 위한 정보연계체계 구축, NTIS 등 대외 정보연계 구축을 통한 지식경제부 허브 역할 구축, 과제중복조회와 제재검색 및 사업체․인력 정보조회 등 유관기관 업무지원 기능 구축이다.

e-R&D 시스템의 사용자는 지식경제부 담당자, 유관기관 담당자, 일반 사용자 (과제수행책임자)의 3개 사용자 그룹으로 구분되어 있다. 각 사용자 그룹은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상이하기 때문에 e-R&D 메인 화면에서 로그인 시 사용자 권한을 판단하여 사용자 그룹별 메인 화면을 제공하도록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그림 12> e-R&D 시스템의 메인 화면

e-R&D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세부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 지식경제부 정책결정지원 시스템: 지식경제부 산하 각 유관기관에서 수행 하고 있는 R&D사업에 대한 현황/통계를 제공하여 지식경제부의 정책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사업현황, 통계정보, 장비/인력/기관통계, 정보검색, 비정형정보분석, 대시보드 등으로 구성됨

- 유관기관 업무지원 시스템: 유관기관에서 과제수행 시 업무진행을 지원하는 기능으로서 중복과제검색, 제재정보검색, 통합구성원 및 통합사업체 정보검색 등 으로 구성됨

- R&D 대민 단일 창구시스템(산학연 정보활용 시스템): 과제를 수행하는 과제수행책임자에게 필요한 통합공고정보, 과제 신청, 전자협약, 협약변경, 보고서 접수, 상시기술수요조사, 평가위원통합관리 등에 관한 상세정보를 제공함

- 운영관리시스템: e-R&D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하기 위한 사용자 관리, 메뉴 및 프로그램 관리, 권한관리, 코드관리 등으로 구성됨

- 정보수집시스템: 지식경제부 산하 각 유관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R&D과제의 정보수집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과제정보입력시스템, 표준정보관리시스템, 성과정보입력시스템, 수집정보연계시스템으로 구성됨

현재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e-R&D 시스템은 시스템의 내실화 및 개선을 통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다.

- R&D 연구수요자를 위한 온라인 지원서비스 강화(공고, 접수, 협약, 변경, 보고서제출 등의 온라인 서비스 지원)를 통해 R&D 지원사업 참여의 일원화된 창구 제공

- e-R&D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의 분석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자들이 직접 가공하여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e-R&D 시스템의 범위 확대 및 유관기관 시스템의 데이터 및 기능을 취합 하여 e-R&D 시스템의 전체적인 기능 개선

- R&D 지원기관별로 관리하고 있는 평가위원 정보 통합 및 재활용 체계 구축 - 11개 전담기관의 연계체계를 5개 전담기관 연계체계로의 개편

- R&D 지원사업 수요자들이 직접 R&D 사업기획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수요자 중심의 사업운영체계 강화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