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행 학교도서관진흥법 (법률 제8852호) 제14조에서는 학교도서관 유관기관 간 의 협력을 통한 도서관 정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학교도서관협력망 을 구축하도록 규정하고, 구체적인 사항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14조 (학교도서관협력망 구축 등) ①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학교도서관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시․도교육청,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에 따른 한국교육 학술정보원, 공공도서관 등 각종 도서관, 그 밖의 관련 기관과 서로 연계하는 학교도서 관협력망(이하 “협력망"이라 한다)을 구축하여야 한다.

105) 문화체육관광부, 2010, 2010공공도서관 운영 컨설팅 지원 사업 결과 보고서(서울: 문화체육관광부), p.29의 내용 을 일부 수정함.

부서 담당업무

도서관시설팀

∙구립도서관 건립 및 리모델링

∙작은도서관 건립 및 리모델링

∙전철역 등 무인대출기,반납기 설치

∙구립도서관 시설관리 및 유지보수

② 교육감은 학교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과 상호 협력을 지원하기 위하여 시․도교육 청에 지원센터를 설치할 수 있다.

③ 한국교육학술정보원장은 학교도서관 정보의 유통과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서 비스시스템을 구축․운용하여야 한다.

④ 협력망의 구축․운영, 지원센터의 설치․운영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학교도서관협력망의 내용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등 유관 기관과의 연계와 학 교도서관지원센터 설치 그리고 정보 공유에 필요한 정보시스템구축 등이다. 그러나 협력망 구축에 필요한 대통령령이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4.4.1 도서관협력망 구축

학교도서관과 유관기관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연계 정책은 학교도서관활성화사업 (2003년-2007년) 시작 단계에서부터 제기되었던 문제로 협력망에 포함 가능한 기관 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106)

첫째, 자료를 보유하고 시민과 학생에게 제공하는 기관 둘째, 독서교육을 실시하는 기관

셋째, 지역사회에 교육, 문화진흥활동을 하는 기관

학교도서관협력망은 학교도서관에 대한 지원보다는 활성화 사업으로 구축된 학교 도서관의 운영 자원과 프로그램을 연계를 통해서 교외 서비스로 확대하려는데 목적 이 있었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는 모든 유형의 문화․청소년 관련 기관과의 연계를 시도하기 보다는 유사한 목적을 가진 공공도서관과의 협력망 구축 이 우선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도서관진흥법 (법률 제8852호)에서 설치하도록 되어있는 학 교도서관진흥위원회(교과부 장관 소속), 학교도서관발전위원회(교육감 소속) 그리고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학교장 소속)에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등 지역사회 유관 기관과의 연계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의 역할을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106) 교육인적자원부, 2001, 지식기반사회의 학교도서관 정책 방향(서울: 교육인적자원부), pp.133-134.

단위 학교에 두는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경우 참여 폭을 연계에 참여하는 공공도

●●●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활성화 모델 개발 연구

제 5 장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 매뉴얼

1. 학교 ․ 공공도서관의 연계 원리 2. 연계 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 3. 지역사회 연계 서비스 운영 메뉴얼

제 5 장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의 운영 매뉴얼

1. 학교 ․ 공공도서관의 연계 원리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연계 서비스는 자원의 공동 활용을 기반으로 도서관 이용자의 접근성을 보장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서 평생학습능력 신장에 기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계의 범위는 인적자원과 물적 자원의 상호공유와 교육봉 사에 이르기까지 확장될 수 있다.

그러나 상호연계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각 기관이 얻을 수 있는 장점이나 이익 이 있어야 하며 자발적이어야 한다. 특히 각 도서관의 봉사 특성을 무시하고 동일성 을 강조하거나, 자원의 과부족으로 일방적인 지원을 강요해서는 안 되고 협동이 전제 가 되어야 한다. 또한 연계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사서교사와 사서 간의 파트너십, 협동, 리더십,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이 매우 중요하다.108) 공공․학교도서관 의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연계를 위해서는 [그림 V-1]에서 보는바와 같이 관 종별 특 징과 연계 원리를 고려하여 공통의 비전과 목적을 설정하고, 연계의 범위와 실현 가 능한 프로그램을 결정한 후 이를 자관의 업무 내용에 반영하여야 한다.

[그림 V-1] 공공 ․ 학교도서관의 연계 원리

108)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서울: 문화체육관광부), pp.188-192의 내용 일부를 수정 보완함.

이러한 관 종별 특징을 바탕으로 물적․인적 자원의 공유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공 동의 목적과 비전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림 V-2] 공공 ․ 학교도서관 연계의 공동 비전과 목적

2. 연계 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

2.1 상호 이해와 파트너십 형성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연계 서비스의 성공은 서비스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기 관 및 인적 자원 간의 신뢰와 상호작용에 달려있다. 특히 상호 간의 커뮤니케이션 기 회를 마련하는 것이 연계 서비스 개발의 시작이다.109) 따라서 연계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논의에 앞서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자체적으로 상호 이해 정도를 파악할 필 요가 있다. Bundy가 개발한 체크리스트110)는 공공도서관이나 학교도서관에서 자체 적으로 협력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109) Kargbo, John Abdul, 2008. “A Rationale for Public and School Library Cooperation in Sierra Leone”. Public Library Quarterly. 27(2): 163.

110) Bundy, Alan, 2002, “Public and School Library Cooperation: Evaluation checklists”. Aplis. 15(3): 100-103.

평가문항 평가

평가문항 평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상호 이해와 신뢰 형성은 의사소통과 협력 그리고 상 호존중을 기반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호 간의 의사소통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연계 서비스 개발의 시작이다. 커뮤니케이션은 자료의 분류, 과제 및 학생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각 기관이 처한 상황과 직원, 운영 계획 그리고 예산 등과 관련된 현실적인 어려움을 공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공공도서관 사서의 입장에서 학교장이나 사서 교사와 의사소통 통로를 마련할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11)

학년 초에 사서교사와 사서가 만나서 상호 협력 가능한 부분을 논의한다. 이때 상호 협력의 목적을 분명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년 초에 공공도서관 사서가 학교를 방문하여 학교장과 사서교사에게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현황과 연계 서비스 관련 홍보물을 전달하고, 본인의 명함이나 연락처를 남긴다.

공공도서관 사서의 장․단기 교실(학교) 방문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학교(도서관)에서 공공도서관에 학생들이 수행하는 과제를 엽서나, 편지, 이메일 등 을 통해서 사전에 통보하여 필요한 자료를 미리 준비하도록 한다.

과제 알림 활동을 통해서 일반교사들에게 도서관 봉사와 자료 그리고 자원의 효용성 을 보여주고 학생의 도서관 만족도를 높인다. 직원회의를 도서관에서 갖고 교사들에 게 도서관 견학 기회를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연을 보여줌으로써 도서관의 효용성을 홍보한다.

공공도서관에서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사서교사가 참석 가능한 학생 수나 학급을 통 보한다. 사회봉사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을 파악하여 공공도서관 자원봉사 프로그램 에 참여시킨다.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에 공공도서관을 참여시킨다.

공공도서관에서 관내 학생들의 방학 중 추천도서 목록을 종합하여 공공도서관 홈페 이지에 탑재하고 관련 도서를 제공한다. 나아가서 공동으로 추천도서목록을 개발하 고 공공도서관에 자료를 전시한다.

공공도서관에 과제 도움 방을 설치하여 교과서, 관련 자료, 잡지, 파일자료, 컴퓨터, 지정 좌석은 물론 자원봉사자를 배치하여 학생의 과제 해결을 지원한다.

111) Katz, Jeff, 2008, “A common Purpose: Public/School Library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Public Libraries, 48(3), pp.29-30.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이용자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는데 공통의 관 심을 갖고 있는 파트너라는 인식을 갖는 것이 협력의 시작이다. 특히 협력은 예산을 절감하고 사서직의 전문성을 신장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협력은 지역사회의 다른 기관이나 인적자원이 동참하여 멋진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의미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때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협력은 연계 서비스에 참여하는 각 기관 이 분명한 장점을 인식할 때 자발적으로 이루어진다. 반면에 연계 서비스가 참여 기 관의 정체성에 영향을 끼쳐서는 곤란하다. 그리고 상호협력의 성과를 미리 예측하기 란 어렵지만 운영 계획에 성과 평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12)

상호존중은 각 기관이 파트너로 참여하는 기관의 책임을 이해할 때 가능하다. 상호 간의 우월감이나 두려움 그리고 오해를 불식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상호 이익이 되는 가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등한 동료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