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9-136)

가. 체육수업 개선을 위한 제언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 및 논의와 결론을 기반으로 제언을 하자면 다음 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연구의 효과를 강조 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특성 파악이 우선되어야 한다. 교육은 학습자의 학 습을 돕기 위하여 교사가 계획하고 운영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학습자의 학 습을 돕기 위해서는 반드시 학습자의 특성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의 학습 수준, 흥미와 관심 등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노력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중지능 활동과 접목된 수업 방법과 내용으로 체육 수업을 운영함으로써 올바른 체육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 다.

둘째, 지식은 전수 받는 것이 아니라, 구축하는 것이다. 학생은 스스로에게 형성된 다양한 감각과 체험을 기반으로 지식을 구축하는 살아 있는 주체이 다. 따라서 교사의 일괄적인 학습 성취 기준에 따라 학생에게 습득을 강요 하기 보다는 학생의 수준에서 명확하고 실용성있는 수업을 운영해야 할 것 이다.

셋째, 이 연구에서 프로그램은 다중지능 이론에 근거한 표적도전인 양궁활 동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중지능 이론의 특성을 살 려 다른 활동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다중지능 이론의 교육 현장 실효성이 높아지기를 기대해 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구 결과물이 수집 및 해석되었다. 즉, 아무리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자료 해석의 오류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했지만, 해석하는데 비약이 존재할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해당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좀 더 객관적인 시각과 연구 방법을 활용한 시도를 통해 다중지능 이론의 교육적 가치를 검증하고 적용 가능성을 시사 해 주길 바란다.

참 고 문 헌

강지영, 소경희(2011).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동향 분석. 아시아교육 연구, 12(3), 197-224.

교육과학기술부(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501호.

교육과학기술부(2013).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체육 교사용 지도서. 서울: 미래 엔.

교육부(2015) 기본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1호.

교육부(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초등학교)

교육인적자원부(2008). 특수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8-3호.

김명일(2011). 초등학교 엘리트 양궁지도자들의 지도유형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 회논문지, 5(4), 93-99.

김명희(2004).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체제. 다중지능교육연구. 1(1). 5-53.

김병곤, 박정화(2010). 초등학교 양궁선수의 조준능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 력개발지, 12(4), 83-90.

김병현(2003). 양궁선수들의 시합 전,시합 중 프리슈팅루틴 프로그램개발. 국민체육진흥 공단 체육과학연구원 보고서.

김상목(2017). UbD와 TGfU에 기반을 둔 초등학교 체육과 네트형 경쟁 단원 개발. 미간 행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청주.

김성만(2014). 초등학교 양궁 선수의 자기효능감 강화전략 빈도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춘천

김양현(1999).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적 시사. 한국초등교육. 11(1). 서울교육대학교 초등 교육연구소.

김영식(2003).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사의 리더쉽과 학습자의 자 아개념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

김영준(2016).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중학생의 재미와 자아존중감에 미치 는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교육대학원.

김영천(2004). 교사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연구동향과 예들. 열린교육연구, 12(2), 79-105.

김영천(2004). 다중지능 이론과 수행평가.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학술대회 및 2004년

겨울직무연수 자료. 서울초등다중지능교육연구회.

김영천(2016).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김유나, 정성현(2017). 체육영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다중지능과 뇌파활성도. 한국초 등체육학회지, 23(3), 167-178.

김인상 (2003).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심층적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수원.

김인수(2017). 초등체육에서 교사열정과 학생-교사관계, 자율성지지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2(3), 67-79.

김임순, 김성훈(2015).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이 교육에 주는 함의. 인문학 연구, 49, 359-422

김주영(2018). 초등예비교사의 체육 관련 교육과정 경험과 지도역량 강화 방안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광주.

김준호(2010). 다중지능 민속놀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내적동기와 체육수업 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김진호, 김혜영(2005). 운동역학: 숙련된 양궁 선수의 릴리즈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

석. 한국체육학회지, 44(4), 415-424.

김혜리, 공세진, 김수연, 이기광(2013). 주의 집중 방법이 다트 던지기 역학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역학회지 23(4), 327-333.

김호묵, 우상연(2012). 초등학교 여자 양궁 선수의 슈팅 동작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8(1), 93-104.

문종호, 이호준, 김지석, 안상현, 조기범(2019). 스포츠 스태킹을 통한 학생들의 다중지 능 변화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3(4), 165-174.

문호준(2018). 체육합습환경 지각과 참여 간의 관계 : 다차원적 유능감, 성취목표와 정 서의 다중 매개효과, 교원연구, 34(1), 143-163.

박경준, 엄혁주(2010). 초등 체육에서의 다중지능과 Kagan 구조의 탐색. 스포츠과학논 총, 16, 53-62.

박새결(2017).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축구수업이 여학생의 흥미요인, 수업 만족도, 그 리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 육대학원, 서울.

박성현(2012). 올림픽 양궁지도자와 선수의 관계성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용인대

학교 대학원, 용인.

박정희(2003).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실행 및 다중지능발달 측면에서의 효과분석. 미 간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박혜미, 구봉진, 장지훈(2012). 체육영재와 일반초등학생의 다중지능 차이 분석. 한국스 포츠학회지, 10(3), 383-395.

박효정(1999). 다중지능 이론과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 26(1), 69-100.

신지숙(2011). 표적도전활동 참여가 ADHD 성향 아동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원. 용인.

심우엽(1997). 다중지능이론과 학교교육의 개선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35(3). 83-96.

오욱환(2005). 교사 전문성. 교육과학사, 서울.

원명자(2011). 실내양궁 활동이 중학생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 문,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유고은(2018).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신체표현활동이 도서지역 아동의 창의적 표현능 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2015).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중판). 서울: 박영사.

이광수, 김대용(2001). 여가활동유형과 민주시민성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10(1), 85-92.

이성흠, 이준(2010). 좋은 체육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인식: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317-341.

이용숙, 김영천, 이혁규,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2005).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 행연구방법. 학지사, 서울

이재무, 이경현, 이지항(2010). 체육영재, 학업영재, 일반 초등학생의 다중지능, 정서지 능 특성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19(4), 609-622.

이창우(2002). 초등체육에서 다중지능 수업모형 적용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인천

임대림, 김영식(2009). 초등학교 양궁 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 학회지, 18(1), 707-717.

임상훈(2017). Adapted Golf Program 참여가 지적장애 학생의 시지각 및 주의집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장용수, 김기찬, 김진호(2000). Archery. 대경사. 서울.

장진우, 이양구, 오수학(2009).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여학생의 체육수업 재미와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15(1), 19-32.

정종진(2001). 다중지능 사정에 대한 고찰. 초등교육연구논총. 17(1). 대구교육대학교.

대구

정청희, 김병준(2006). 스포츠심리학의 이해. 금광출판사. 서울

정태희(1998).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 활동 개발 및 효과분석: 개인적 지능 을 중심으로. 미간행,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정태희(2003). 다중지능이론과 교수ㆍ학습에의 적용 방안.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적 시사 점. www.madang21.0r.kr/2003_09/html/dir4.htm

정희자(2017).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표현활동이 초등학생의 리듬표현활동 능력에 미 치는 효과.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2(4), 75-89

조연순, 최경희, 조덕주(1997).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초등 과학 교육과정 연 구-현행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현장 분석. 초등교육연구, 11(1), 185-211.

조용환(2003).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조용환(2015).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조항숙(2002). 다중지능통합수업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 신장. 현장연구보고서. 한국교 총. 2.

최의창(2002). 중등학교 체육수업 개선을 위한 통합적 교과조직 및 지도방법 개발. 한 국스포츠교육학회지, 9(1), 1-23.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1).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연구(Ⅰ). 연구보고. RRC 2001-16.

현대레저연구회(2010). 현대 양궁교본. 태을출판사. 서울

홍서연(2019). 다중지능 발달을 위한 프로젝트 스펙트럼 적용 유아 통합 무용프로그램 개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홍성택(2012). 양궁 심리기술훈련 바이블. 전주대학교 출판부. 전주.

홍영기(2003). 다중지능이론과 통합교육과정. 경남다중지능연구회 연수자료.

홍효숙(2005).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재량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미간행 박사확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서울.

황윤한(2005). 다중지능이론의 이해.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교사직무연수자료. 1-2.

Armstrong, T. (1994). Multili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Development.

Aysan, H. A. (2016). The effects of archery as a sports branch on coping with stress.

Studies on Ethno-Medicine, 10(1), 39-43.

Campbell, C., Gallagher, J., & Dickinson, I(2004). Synovial sarcoma− towards a simplified approach to prognosis. ANZ journal of surgery, 74(9), 727-731.

Chapman, C. & King, R. (2016). 맞춤형 수준별․개별화 평가 전략: 한 가지 도구로 모 든 것을 평가할 수 없다, 제2판. (조영남, 나종식 공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원저는 2012년 출판).

Doll Jr, William E. A post-modern perspective on curriculum. Teachers College Press, 1993.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Books. 이경희 역(1993). 마음의 틀. 문음사. 서울

Gardner, H.(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Y: Basic Book.

Kemmis, S. (2000). McTaggart. 2000.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567-605.

Kincheloe, J. (2003). Teachers as Researchers: Qualitative Paths to Empowerment.

New York: Falmer.

Lincoln, Y., & Guba, E(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lifornia: Sage.

Martin, P(1997). Wound healing--aiming for perfect skin regeneration. Science, 276(5309), 75-81.

Merriam, S. B. (2009).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Jossy-Bass.

Reason, P., & Bradbury, H(2001). Inquiry and participation in search of a worldworthy of human aspiration. In P. Reason, & H. Bradbury, eds. Handbook of action research: Participative inquiry and practice. London: SagePublications.

Sarro, K. J., Viana, T. D. C., & De Barros, R. M. L. (2021). Relationship between bow stability and postural control in recurve archery. Europ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1(4), 515-520.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29-13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