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품사별 신어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9-42)

3. 신어의 유형

3.2. 품사별 신어

품사는 단어의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유형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어에서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의 9품 사 체계를 따른다. 중국어에서는 한국어의 품사 체계 가운데 관형사를 제외 하고 개사(介詞), 접속사(接續詞), 양사(量詞), 의성사(擬聲詞)가 추가된 12품 사 체계를 기반으로 한다. 이들 품사는 그에 속하는 단어가 실질적인 의미를 지니는가, 문법적인 기능을 지니는가에 따라 내용어(content word)와 기능어 (funtion word)로 나뉜다.

두 나라에서 조사한 2018년 신어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와

10)《2018년 중국언어생활상황보고》에 따르면 ‘土味’는 총 948 빈도가 나타나며 320개 신 어 중에 50위를 차지한다.

품사 단어 명사

(218개)

혼코노, 퀀또속, 회알못, 좋못사, 스라밸, 네다청, 뽀시래기, 이맛현, 팡 탈, 떡상 등

형용사

(2개) 시송하다, 인스타워시하다 동사

(1개) 뽀작거리다 부사

(1개) 렬루

품사 단어

중국어 신어는 모두 내용어에 속한다. 한국어 신어는 명사, 형용사, 동사, 부 사형 신어로 나뉜다. 다음은 한국어와 중국어 신어를 품사별로 정리한 것이 다.

<표 9> 한국어 품사별 신어

<표 9>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한국어 품사별 신어에서 명사는 전체 222개 가운데 218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형용사, 동사는 각 1개 부사는 2개의 예만이 발견되었다. 여기에서는 ‘혼코노(혼자서 코인 노래방)’,

‘회알못(회사를 알지 못하는 사람)’ 등과 같이 명사구가 줄어든 신어뿐 아니 라 ‘퀀또속(퀀텀에 또 속다)’, ‘좋못사(좋다 못해 사랑하다)’ 등의 동사구가 줄 어든 것들도 명사형으로 취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중국어 신어는 한국어와 달리 부사를 제외한 명사, 형용사, 동사로 나 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 표에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표 10> 중국어 품사별 신어

명사 (284개)

銀保監會, 進博會, 農業農村部, 騎手, 相互保, 鋼鋁關稅, 信聯, 山竹, 衛健委, 限競房, 芬太尼, 政治站位, 消費降級, GDPR, 陸股 通, 社會人, 快消品, 中興事件, C位, 百行征信, 特斯拉私有化, 中 國農民豐收節, 石油幣, TMLF, 規上, 錦鯉, 獨角獸基金, 拒絕令, 嘀嗒出行, 湖長制, 新個稅法, 親清, 邪典, 通用數據保護條例, 綜 合征稅, 沖頂大會, 店小二, 金特會, 相互寶, 紀法, 青桔單車, 前 置倉, 規上工業, 德商, 鏈克, 區塊鏈媒體, 共享護士, 消防救援銜, 海南自貿試驗區, 反避稅條款, 雄安質量, 六個錢包 頭雁效應, 冰 屏, 互信共治, 公轉鐵壹口辦理, 區塊鏈電子發票, 馬甲車, 霸座男, 土味情話, 體檢, 網約房, 海草舞, 座霸, 貿易霸淩 등

동사 (22개)

官宣, 帶量采購, 霸座, 特金會, 停更, 皮壹下, 刷贊, 炒鏈, 直播 答題, 候補購票, 碼上辦, 養火, 炫富摔, 明碼宰客, 霸鋪, 走花路, 走陵, 雙百行動, 數據投毒, 網絡植樹, IPP行動

형용사 (16개)

心商, 大數據殺熟, 硬核, 杠精, 沙雕, 盲式出軌, 土味, 達量限速, 獨角獸熱, 積極廢人, 雲寵, 鹽系, 泡菜溢價, 低級紅, 三降兩穩, qiou, 雲寵

<표 10> 또한 <표 9>과 마찬가지로 명사형 신어가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동사는 22개, 형용사는 16개로, 전 체 320개 신어 가운데 극히 적은 비중을 차지하기는 하나, 한국어보다는 그 수가 많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두 언어에서는 공통적으로 명사형 신어가 압 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것과 관련하여, 신어가 주로 새롭게 나타난 사물이 나 현상을 대상화하여 명명하는 방향으로 생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신 어가 기존에 없던 새로운 사물이나 현상을 지칭하기 위한 생성 의도와 관련 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9-4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