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품목별 동향5.3

문서에서 중 국 농 업 동 향 (페이지 168-172)

우유

¡ 우유를 제조하는 회사는 중국 전체로 2,000개소 이상 존재함. 2009년 UHT우유 초고온 살균처리 우유 비중이 를 차지하 (Ultra High Temperature treatment; ) 73%

고 있음.

¡ 우유의 소비는 예전보다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음 따라서 유업체는 각종 성분을 첨. 가한 기능성 우유나 유기농 우유를 출시하는 등 차별화를 도모하고 있음.

¡ 한편 뉴질랜드 호주 프랑스 등 해외 자본이 투입된 브랜드 우유도 서서히 슈퍼마켓, , 등에 진열되고 있음.

치즈

¡ 2003년 이후 치즈시장은 매년20% 가량 성장하고 있음 중산층을 중심으로 치즈가. 양질의 단백질과 칼슘 섭취원이라는 인식이 확산됨과 동시에 피자전문점 등의 확산 도 치즈시장 성장에 공헌하고 있음 시장에 유통되는 치즈는 대부분 수입치즈이며. 중국내 대규모 유업체도 치즈시장에 진입하여 치즈를 제조하기 시작하였음.

표 26. 치즈 수입량

2007 2008 2009 2010 (1 11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뉴질랜드 5,425 41.1 6,233 44.8 8,735 51.4 10,944 51.7

호주 4,417 33.5 3,432 24.7 4,490 26.4 4,778 22.6 미국 1,193 9.0 1,998 14.4 1,691 10.0 2,597 12.3 기타 2,155 16.3 2,241 16.1 2,062 12.1 2,831 13.4 합계 13,190 100.0 13,904 100.0 16,978 100.0 21,150 100.0

자료 일본 농축산업진흥기구: , 에서 재정리

. 농업 · 농촌경제동향

분유

¡ 분유 생산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생산액을 기준으로 하면 2007년에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08년부터 감소하고 있음 한편 수입량은 계속 증가하고 있음 육아용. . 조제분유 판매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 유럽 미국 호주 등 다국적 기, , 업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음.

표 27. 탈지분유 및 전지분유 수급 데이터

탈지분유 전지분유

2009 2010 (p) 2011 (f) 2009 2010 (p) 2011 (f)

생산량 천 톤( ) 54 55 56 977 1,000 1,050

수입량 천 톤( ) 70 91 100 177 320 400

수출량 천 톤( ) 0 0 0 10 3 3

소비량 천 톤( ) 124 146 156 1,154 1,347 1,492 자료 USDA FAS “Dairy: World Markets and Trade”

¡ 2011년 탈지분유의 수입은 육아용 조제분유 제조업자의 수요 증가로10만 톤에 이 를 것으로 전망됨 중국산 원유를 사용한 분유는 식품 안전성 측면에서 소비자의 신. 뢰가 낮아 분유의 원료를 모두 수입품으로 전환한 유업체도 존재함 탈지분유의 주. 수입원은 뉴질랜드와 호주 미국 등이며, , 2010년에는 오세아니아지역에 발생한 이상 기후로 두 국가의 수입비중이 감소하였음.

표 28. 탈지분유 수입량

2007 2008 2009 2010 (1 11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뉴질랜드 19,302 47.8 18,122 33.0 46,515 66.0 43,861 55.2

호주 8,671 21.5 14,455 26.3 10,179 14.4 7,375 9.3 미국 6,520 16.1 15,601 28.4 6,012 8.5 12,273 15.4

독일 2 0.0 1 0.0 1,944 2.8 2,910 3.7

네덜란드 72 0.2 122 0.2 1,152 1.6 991 1.2

캐나다 1,220 3.0 1,278 2.3 1,050 1.5 650 0.8 프랑스 1,179 2.9 1,249 2.3 766 1.1 3,128 3.9 기타 3,450 8.5 4,137 7.5 2,825 4.0 8,338 10.5 합계 40,416 100.0 54,965 100.0 70,443 100.0 79,526 100.0

자료 일본 농축산업진흥기구: , 에서 재정리

¡ 2010년 전지분유의 수입량은 전년보다90%증가하였고, 2011년 수입량도 전년보다 증가한 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만 톤은 세계의 전지분유의 무역량의

24% 42 . 42

를 차지하는 대단히 많은 양으로 중국의 전지분유 수입 증가가 일시적인 현상이

1/4 ,

아니기 때문에 세계 시장에게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됨 전지분유는 대부분. 오세아니아지역에서 수입되며 뉴질랜드가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음.

표 29. 전지분유 수입량

2007 2008 2009 2010 (1 11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뉴질랜드 47,465 92.6 31,194 71.2 156,266 88.8 255,967 88.1

호주 2,982 5.8 9,664 22.0 7,656 4.4 16,134 5.6

프랑스 586 1.1 1,740 4.0 6,135 3.5 1,529 0.5

덴마크 2 0.0 4 0.0 2,425 1.4 6,311 2.2

네덜란드 63 0.1 75 0.2 2,251 1.3 635 0.2

기타 145 0.3 1,162 2.7 1,160 0.7 9,869 3.4

합계 51,243 100.0 43,839 100.0 175,893 100.0 290,445 100.0

자료 일본 농축산업진흥기구: , 에서 재정리

¡ 중국의 분유 수입은 중국의 원유 생산량이 수요를 충분히 감당하지 못하고 있고 소 비자의 중국산 유제품에 대한 식품 안전성 우려로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 망됨.

¡ 2010년 중국의 버터 수입량은 주 수입원인 뉴질랜드와 호주의 가뭄 홍수 등 기상이, 변의 영향으로 2009년보다 크게 감소한 것으로 추정됨.

표 30. 버터 수입량

2007 2008 2009 2010 (1 11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뉴질랜드 10,542 75.3 10,918 80.6 24,398 85.8 17,683 83.1

호주 1,789 12.8 1,024 7.6 2,135 7.5 1,630 7.7

프랑스 695 5.0 530 3.9 563 2.0 748 3.5

기타 976 7.0 1,081 8.0 1,347 4.7 1,230 5.8

합계 14,002 100.0 13,553 100.0 28,443 100.0 21,291 100.0

자료 일본 농축산업진흥기구: , 에서 재정리

. 농업 · 농촌경제동향

¡ 2010년 유장 수입량은 전년보다 약간 감소한 것으로 추정됨 이는 유장 가격이 상승. 하여 유당을 혼합한 조제품으로 수요가 이동하였기 때문임.

표 31. 유장 수입량

2007 2008 2009 2010 (1 11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수입량 ( )

비중 (%) 미국 49,723 29.7 90,478 42.4 140,019 48.5 127,066 53.4 프랑스 47,168 28.1 50,672 23.7 49,758 17.2 32,158 13.5 독일 7,992 4.8 9,747 4.6 15,107 5.2 14,806 6.2 네덜란드 11,236 6.7 13,660 6.4 14,903 5.2 10,695 4.5 핀란드 12,260 7.3 9,936 4.7 14,148 4.9 12,754 5.4 아일랜드 6,201 3.7 8,630 4.0 13,070 4.5 8,023 3.4 호주 6,368 3.8 8,610 4.0 8,932 3.1 5,602 2.4 캐나다 1,410 0.8 4,088 1.9 7,610 2.6 2,009 0.8 폴란드 2,954 1.8 1,807 0.8 5,778 2.0 7,383 3.1 아르헨티나 5,046 3.0 2,817 1.3 5,767 2.0 3,950 1.7 뉴질랜드 4,787 2.9 6,753 3.2 3,728 1.3 4,457 1.9 기타 12,439 7.4 6,308 3.0 9,932 3.4 8,876 3.7 합계 167,584 100.0 213,506 100.0 288,752 100.0 237,779 100.0

자료 일본 농축산업진흥기구: , 에서 재정리

참고자료

일본농축산업진흥기구, “

-”

중국 국가 통계국 중국 통계연감, 「 USDA FAS

서론

문서에서 중 국 농 업 동 향 (페이지 168-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