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코로나 신규 확진자 증가와 식품 구매행태간의 관계분석

자료를 구성하고, 가구별 기간별 식품유형별 지출액을 추가 구성하여 두 자료를 연계 하여 최종 분석 자료를 구성함.

- 가구의 식료품구매 장소별 구입시간 산정을 위하여 가구별 기간별 식료품구매 장소 별 평균 구입시간 자료를 구성하고 가구 특성 자료와 연계하여 사용함.

❍ 가구의 구입주기 특성상 특정 기간에 특정 구매 장소에서 식료품을 구입하지 않거나 특 정 식품유형을 구입하지 않을 경우 식료품비 지출이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됨.

❍ 이러한 자료 특성을 무시하고 종속변수와 설명변수 간의 연속적인 관계를 가정한 OLS 분석을 수행할 경우 추정결과는 비일치성(inconsistency)과 편의(bias)를 갖게 됨 (Long, 1997).

❍ 식품 지출액과 같은 중도절단자료의 문제를 고려하여 일치적(consistent) 추정치를 얻 기 위해 토빗모형(Tobit model)을 분석에 이용함.

❍ 종속변수인 식품 구입장소별 지출액비중, 식품유형별 지출액 비중, 구입장소별 시간자 료 그리고 본 분석에서 관심변수인 코로나 신규확진자 변수는 모두 자연로그를 취하여 분석을 진행함.

<표 4-10> 변수 기초통계량

변수 설명 평균 표준편차

COVID19 평균 코로나 신규확진자 수의

자연로그값 4.787 0.969

gender 가구내 주구입자 성별

(1=여성, 0=남성) 0.948 0.222

age 가구내 주구입자 성별 (세) 48.681 12.173

edu 가구내 주구입자 학력

(1=중졸이하~4=대학원 졸업 이상) 2.431 0.609

hhsize 가구원 수(명) 2.473 1.147

income 가구 월평균소득(1=100만원

미만~11=1,000만원 이상) 4.618 2.036

자료: 2020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가계부 조사 원시자료 분석.

3.2.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 증가가 식품구매 장소별 지출액 비중에 미치는 효과

❍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 증가가 가구의 식품구매 장소별 지출액 비중에 미치는 효과를 분 석한 추정 결과는 <표 4-11>에 제시됨.

❍ 코로나 확진자 수가 증가할수록 가구의 대형마트에서의 식품 지출액 비중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8월 기준으로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18명 증가할 때 가구의 대형마트 식품지출액 비중은 2.7%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됨.

❍ 가구의 체인형 슈퍼마켓, 온라인 식품소비 지출액 비중은 코로나 확진자 수가 증가할수 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대면접촉이 적고 접근성이 뛰어난 구매 장소에 서의 지출액 비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됨.

변수 설명 평균 표준편차

child1 미취학 자녀여부

(1=있다, 0=없다) 0.065 0.246

child2 초등학생 자녀여부

(1=있다, 0=없다) 0.067 0.249

child3 중고등학생 자녀여부

(1=있다, 0=없다) 0.067 0.249

ftype1 1세대가족

(1=그렇다, 0=아니다) 0.245 0.430

ftype2 2세대가족

(1=그렇다, 0=아니다) 0.475 0.499

ftype3 3세대가족

(1=그렇다, 0=아니다) 0.009 0.096

ftype4 1인 가구

(1=그렇다, 0=아니다) 0.265 0.441

frequency 가구의 가공식품 구입주기

(1=매일~6=월 1회 미만) 3.144 0.903

hconcern 건강 관심도

(1=매우 적다~5=매우 많다) 3.798 0.626

- 김상효 외(2020) 연구에서도 코로나 확산으로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중대형 규모 마트의 매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표 4-11> 코로나 확진자 증가가 식품구매 장소별 지출액 비중에 미치는 효과

대형마트 체인형

슈퍼마켓 중소형 슈퍼 편의점 온라인 재래시장

코로나 확진자 증가 -0.266 (0.003)***

0.049 (0.012)***

-0.0001 (0.005)

0.002 (0.002)

0.012 (0.004)***

0.005 (0.006)

상수항 2.210

(0.493)***

0.585 (0.365)

2.013 (0.550)***

0.103 (0.079)

-0.231 (0.142)

0.418 (0.239)*

기간고정

지역고정

가구특징

Log-likelihood -4362.08 -4045.59 -4416.26 -1559.94 -2157.74 -3193.02 주: *, ***은 10%, 1%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냄. 표준오차는 시기별 cluster 방식으로 산정됨.

3.2.1. 가구유형에 따른 식품 구매장소별 지출비중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확진자 수가 증가할수록 건강을 중시하는 가구는 그렇지 않은 가구와 이질적인 식품소비행태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코로나 확진자 수 증가가 건강을 중시하는 가구의 식품구매 장소별 지출액 비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

❍ 건강을 중시하는 가구일수록 대형마트 소비 지출액 비중을 더 큰 폭으로 감소시키는 반 면 온라인 소비 지출액 비중은 상대적으로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됨.

❍ 건강을 중요하게 여기는 가구의 체인형 슈퍼마켓에서의 소비 지출액 비중은 전체가구 분석결과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의점 소비 지출비중은 감소시키는 것 으로 분석됨.

<표 4-12> 코로나 확진자 증가가 식품 구매장소별 지출액 비중에 미치는 효과 (건강에 관심도가 높은 가구)

대형마트 체인형

슈퍼마켓 중소형 슈퍼 편의점 온라인 재래시장

코로나 확진자 증가 -0.281 (0.003)***

0.045 (0.013)***

-0.008 (0.009)

-0.005 (0.002)*

0.027 (0.004)***

0.006 (0.006)

상수항 3.613

(0.204)***

1.574 (0.614)*

-0.063 (0.930)

0.013 (0.060)

-0.271 (0.100)***

0.432 (0.894)

기간고정

지역고정

가구특징

Log-likelihood -2997.21 -2817.26 -3021.48 -961.47 -1567.01 -2203.86 주: *, **, ***은 10%, 5%, 1%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냄. 표준오차는 시기별 cluster 방식으로 산정됨.

❍ 가구 내 미취학아동 및 초등학생 자녀가 있는 경우 코로나 확진자 수 증가로 대형마트 소비지출 비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전체 가구 분석결과에 비해 상대적 으로 적은 비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 아이가 있는 가구의 경우 가족 구성 형태가 2세대 이상 가족으로 대단위 소비가 이루 어지는 대형마트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에 따라 대형마트 소비지출 비중을 상대적으로 적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됨.

❍ 가구 내 아이가 있는 가구일수록 코로나 영향으로 체인형 슈퍼마켓과 중소형 슈퍼의 소 비 지출비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됨.

❍ 아이가 있는 가구일수록 온라인을 통한 식품 소비 지출액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재래시장에서의 소비 지출액 비중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됨.

<표 4-13> 코로나 확진자 증가가 식품 구매장소별 지출액 비중에 미치는 효과 (가구내 아이가 있는 가구)

대형마트 체인형

슈퍼마켓 중소형 슈퍼 편의점 온라인 재래시장

코로나 확진자 증가 -0.075 (0.039)*

-0.156 (0.012)***

-0.068 (0.019)***

0.005 (0.011)

0.040 (0.007)***

0.045 (0.013)***

상수항 2.345

(3.041)

3.873 (0.657)***

0.008 (3.320)

-0.034 (0.230)

0.629 (0.222)***

-0.142 (0.672)

기간고정

주: *, **, ***은 10%, 5%, 1%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냄. 표준오차는 시기별 cluster 방식으로 산정됨.

❍ 가구 월 평균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가구의 경우 대형마트, 중소형 슈퍼마켓, 온라인 을 통한 식품소비 지출액 비중을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시킴.

- 가구 월 평균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가구의 1인 가구 비율은 약 65%로 나타나 상 대적으로 대량소비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대형마트와 온라인 소비 지출액 비중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 판단됨.

❍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체인형 슈퍼마켓과 편의점 소비 지출액 비중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표 4-14> 코로나 확진자 증가가 식품 구매장소별 지출액 비중에 미치는 효과 (월소득 200만원 미만 가구)

대형마트 체인형

슈퍼마켓 중소형 슈퍼 편의점 온라인 재래시장

코로나 확진자 증가 -0.329 (0.017)***

0.181 (0.029)***

-0.032 (0.007)***

0.022 (0.002)***

-0.027 (0.001)***

0.025 (0.016)

상수항 3.072

(0.790)***

1.621 (0.853)*

-2.442 (1.238)**

0.214 (0.396)

-0.478 (0.451)

2.505 (0.432)***

기간고정

지역고정

가구특징

Log-likelihood -691.01 -694.54 -757.44 -287.01 -279.61 -549.71 주: *, **, ***은 10%, 5%, 1%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냄. 표준오차는 시기별 cluster 방식으로 산정됨.

❍ 가구 월 평균 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가구의 경우, 대면접촉 확률이 높은 대형마트 소 비를 큰 폭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체인형 슈퍼마켓, 온라인, 재래시장 소비 지출액 비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됨.

대형마트 체인형

슈퍼마켓 중소형 슈퍼 편의점 온라인 재래시장

지역고정

가구특징

Log-likelihood -484.65 -452.85 -465.35 -114.56 -223.84 -319.30

- 지역별로 할인하여 판매되고 있는 지역상품권의 주요 사용처는 대형마트를 제외한 재래시장, 소규모 점포 등이며, 1세대가족 이상 가구에서 많은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 으로 조사됨.

- 가구 월 평균 소득이 600만원 이상인 가구의 약 87%는 가구 내 자녀가 있는 가구로 조사되며, 코로나 발생으로 사용빈도가 높아진 지역상품권 사용이 재래시장을 이용 한 지출비중 증가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사료됨.

<표 4-15> 코로나 확진자 증가가 식품 구매장소별 지출액 비중에 미치는 효과 (월소득 600만원 이상 가구)

대형마트 체인형

슈퍼마켓 중소형 슈퍼 편의점 온라인 재래시장

코로나 확진자 증가 -0.313 (0.010)***

0.046 (0.015)***

-0.009 (0.021)

0.009 (0.002)***

0.037 (0.006)***

0.039 (0.011)***

상수항 2.784

(1.814)

2.749 (1.272)**

0.161 (0.533)

-0.122 (0.298)

-0.506 (0.269)*

1.354 (0.582)**

기간고정

지역고정

가구특징

Log-likelihood -994.67 -884.70 -940.10 -111.95 -337.75 -630.59 주: *, **, ***은 10%, 5%, 1%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냄. 표준오차는 시기별 cluster 방식으로 산정됨.

3.3. 식품 유형별 지출액 비중에 미치는 효과

❍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 증가가 가구의 식품유형별 지출액 비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추정 결과는 <표 4-16>에 제시됨.

<표 4-16> 코로나 확진자 증가가 식품 유형별 지출액 비중에 미치는 효과

신선식품 냉장식품 냉동식품 그 외 식품

코로나 확진자 증가 -0.019 (0.001)*** -0.012 (0.001)*** 0.011 (0.001)*** -0.002 (0.001)**

상수항 0.563 (0.246)** 0.702 (0.193)*** -0.242 (0.101)** 0.802 (0.247)***

기간고정

지역고정

가구특징

Log-likelihood -9864.81 -11032.90 -6853.16 -10958.07

주: *, ***은 10%, 1%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냄. 표준오차는 시기별 cluster 방식으로 산정됨.

❍ 코로나 확진자 수가 증가할수록 가구의 신선식품, 냉장식품 소비 지출액 비중은 감소하 는 것으로 분석됨.

- 가구들이 코로나의 영향으로 불특정 다수를 접하게 되는 오프라인 식료품 매장 방문 구입 횟수를 최대한 줄이려는 경향을 보이며 (김상효 외, 2020), 이에 따라 상대적으 로 저장성이 떨어지는 신선식품과 냉장식품 소비 지출액 비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음.

❍ 코로나 확진자 수가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저장성이 뛰어난 냉동식품 소비 지출액 비 중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됨.

3.3.1. 가구유형에 따른 식품 유형별 지출비중에 미치는 영향

❍ 건강을 중시하는 가구일수록 코로나 확진자 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신선식품 지출액 비 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며, 상대적으로 저장성이 뛰어난 냉동식품 지출액 비중 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됨.

❍ 건강을 중시하는 가구일수록 냉장식품과 식품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그 외 식품 소비액 비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됨.

- 냉장식품 중 구매빈도가 높은 세부 품목으로는 유제품 및 두부제품 이외에 소시지류, 어묵류, 주스류, 주류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건강을 중시하는 가구일수록 소시지류, 어묵류, 주스류, 주류 등의 구입 빈도를 낮추는 것으로 조사됨.

- 식품유형에 포함되지 않는 그 외 식품 중 구매빈도가 높은 세부품목으로는 비스킷류, 빵류, 탄산음료, 라면류 등이며, 건강을 중시하는 가구일수록 이들 품목에 대한 구입 빈도를 낮추는 것으로 조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