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 맛을 중시하고 대체로 온라인을 통한 가공식품 구입만족도가 높아 향후 해당 시장 의 성장성이 높다고 판단됨.

 온라인 이용도에 따른 가공식품 구입경험 및 구입증가

❍ 식육가공품(소시지류, 햄류, 베이컨류, 육포, 양념육류, 기타 육가공품)은 온라인 구입 경험률이 100.0%에 근사하는 높은 수치를 보임.

❍ 김치류는 온라인 구입경험률이 90.0% 이상으로 전반적으로 온라인 수요가 높게 형성 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드레싱/소스류는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구입한다고 응답한 모든 경우에서 전년대비 구입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한 가구 비중이 모두 25%에 근사하며, 장류는 온라인으로 가 공식품을 구입한다는 모든 응답자들의 구입경험률 및 전년 대비 구입이 증가했다고 응 답한 비율이 일반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남.

❍ 우유와 발효유는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구입한다고 응답한 모든 응답자에 대해 높은 구 입경험률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됨.

❍ 빵류(식빵, 케이크, 일반 빵류)는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구입한다고 응답한 모든 경우 (구분)에서 구입경험률이 100.0%에 근사하게 나타남.

❍ 라면류(봉지라면, 용기라면)와 국수류(국수, 칼국수, 냉면, 당면, 파스타류, 우동, 기타 면류)는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구입한다는 구입경험률이 매우 높게 나타남.

❍ 간편식은 크게 즉석조리식품, 즉석섭취식품, 신선편의식품으로 구분되며, 품목별 온라 인 구입경험률은 타 품목에 비해 대부분의 품목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음. 주 1회 이상 온라인으로 가공식품을 구입하는 가구는 간편식 세부품목에서 전년 대비 구입이 증가

했다는 응답 비율이 30.0% 이상으로 집계됨.

- (시사점) 대체로 모든 가공식품 품목에서 전년대비 온라인 구입이 증가하거나, 이미 온라인 구입경험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상대적으로 가 정식이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향후 온라인을 통한 가공식품 소비가 보편화 될지는 추가 확인이 필요해 보임.

 가공식품 구입 시 온라인 이용도 요인 분석

❍ 순서형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온라인을 통한 가공식품 구입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주구입자 성별, 주구입자 연령, 주구입자 교육수준, 가구의 월평균 가구소득, 가구원수, 6세 이하 자녀유무인 것이 확인됨.

❍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온라인 가공식품 구입 주기가 주 1회 이상인 가구의 소비결정요인 을 분석한 결과, 주구입자의 성별과 연령, 교육수준, 그리고 질병 유무와 건강 관심 정도 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시사점) 온라인을 통한 가공식품 구입에 있어서 소비자(구매자)의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음.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공식품 구매 행태 분석 13)

4

1. 연구 배경 및 분석자료 개요

1.1. 연구 배경과 목적

❍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가구의 식품소비행태는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들의 식품 구매 장소 선택뿐만 아니라 주로 구입하는 식품유형에도 영향을 주고 있음.

❍ 코로나19와 같은 불확실한 소비환경 변화에 식품 주구입자인 가구가 어떻게 반응하는 지에 관한 연구는 외생적 소비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행동변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 록 도와줌으로써 관련 정책의 기초자료로서 활용가치가 높음.

- 식품정책의 주요 목적 중에 하나는 외생적 환경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소비자 식품소비패턴 변화 분석 연구 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음.

13) 강원대학교 이지용 교수가 작성함.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소비자 식품소비변화 관련 연구는 해외의 경우 최근 활발히 진행 되고 있는 반면에 국내 연구는 아주 드물게 수행됨.

-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김상효 외(2020)는 POS(Point of Sale)자료를 이용하여 코 로나19확산에 따른 식료품 소매점의 영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코로나19로 인해 오프라인 식료품 매장 방문구입 횟수는 감소한 반면에 온라인 구매를 통한 소매 점 매출액은 증가한 것으로 분석함.

- 국외 연구를 살펴보면, Chang and Meyerhoefer (2020)는 코로나19 확산이 온라 인 식품구입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코로나 확진자 수가 추가적으로 증 가할수록 온라인을 통한 식품구매액이 5.7% 증가한 것으로 분석됨. Cranfield(202 0)는 코로나19확산으로 소비자들의 식품구입 장소 및 식품품목 변화가 소비자들의 사회경제학적 요소들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함.

❍ 선행연구 검토 결과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코로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지를 이 용하여 식품구매자에게 직접 묻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식품구매와 관련한 데이터를 이 용하더라도 가구의 특성을 고려할 수 없는 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파악되어 코로나 효 과를 명확히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확보에 어려움이 있음.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소비자 태도 조사의 모듈 형태로 가계부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가구의 다양한 소비패턴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확보하고 있음.

- 가계부 조사는 가구의 식품 구매에 대한 구매품목, 구매장소, 수량, 구매시간을 조사 하여 가구의 식품소비행태 변화에 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음.

❍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에 조사된 가계부 원자료(4주간)를 이용하여 코로나19 확진자 수 증가가 가구의 식품구매장소 선택, 식품유형선택 및 식품구입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임.

1.2. 가계부조사 자료

❍ 2020년 가계부조사는 2020년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 응답자 2,000명 중 500가 구의 식품 주 구입자를 대상으로 4주간의 구매품목, 구입장소, 구입일자, 구입시간, 제 품명 및 브랜드 등 식품 소비지출과 관련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특히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 조사의 모듈 형태로 조사되어 식품 주 구입자 및 가구 특성 과 연계하여 다양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님.

❍ 가계부조사 자료는 12군데 주요 식료품구입 장소, 4개의 주요 식품유형, 구입날짜와 시 간정보를 제공하여 가구의 소비행태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공함.

❍ 2020년도 가계부조사에 응답한 500가구의 사회경제학적 통계는 <표 4-1>과 같음.

<표 4-1> 가계부조사 표본의 사회경제학적 특성

구분 빈도 비중(%) 구분 빈도 비중(%)

주구입자성별 남성 27 5.40

가족 구성 형태

1세대가족 126 25.20

여성 473 94.60 2세대가족 228 45.60

주구입자연령

20대 38 7.60 3세대가족 5 1.00

30대 91 18.20 1인가구 139 27.80

40대 122 24.40 그 외 2 0.40

50대 132 26.40

월 가구소득

200만원미만 88 17.60

60대 90 18.00 200~300미만 111 22.20

70대 27 5.40 300~400미만 44 8.80

교육수준

중졸이하 30 6.00 400~500미만 104 20.80

고졸 239 47.80 500만원 이상 153 30.60

대학교 졸업 228 45.60 6세 미만

자녀여부

있다 33 93.40

대학원 졸업 이상 3 0.60 없다 467 6.60

가구원수

1인 139 27.80 초등학생 자녀

유무

있다 30 6.00

2인 131 26.20 없다 470 94.00

3인 115 23.00

중/고등학생 자녀 유무

있다 70 14.00

4인 110 22.00

없다 430 86.00

5인 이상 5 1.00

자료: 2020년 가공식품 소비자 태도조사 가계부 조사 원시자료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