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캐릭터 디자인 평가의 결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95-200)

No. 부류 답안 동부 지역

서부 지역

남부 지역

북부

지역 총계 백분율

1 조형 구조

매우 적합 183 197 213 169 762 65.24%

적합 79 87 76 98 340 29.11%

보통 18 6 1 14 39 3.34%

적합하지 않음 12 2 2 11 27 2.31%

소계 292 292 292 292 1168 100%

2 디자인 원형

매우 일치 197 186 248 237 868 74.32%

일치 68 75 41 45 229 19.61%

보통 18 21 2 7 48 4.11%

일치하지 않음 9 10 1 3 23 1.96%

소계 292 292 292 292 1168 100%

3 신체 비율

매우 일치 231 246 229 257 963 82.45%

일치 34 31 37 29 131 11.22%

보통 19 11 18 4 52 4.45%

일치하지 않음 8 4 8 2 22 1.88%

소계 292 292 292 292 1168 100%

4

액 세 서 리 의 착 용 방식

잘 반영하고 있음 214 209 223 239 885 75.77%

반영하고 있음 57 61 58 41 217 18.58%

보통 16 15 7 9 47 4.02%

반영하고 있지 않음 5 7 4 3 19 1.63%

소계 292 292 292 292 1168 100%

5 색상

잘 반영하고 있음 209 224 242 239 914 78.25%

반영하고 있음 59 51 42 43 195 16.70%

보통 16 10 6 4 36 3.08%

반영하고 있지 않음 8 7 2 6 23 1.97%

소계 292 292 292 292 1168 100%

<표 4-42>에 따르면, 대학생 300명(유효 대답은 292개)에게 푸젠성의 4개 지역 캐릭터 디자인 요소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질문에 대한 대답은 4개의 차원으로 나뉘는데, 이 중 앞의 두 차원은 결 과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의미한다. 또 <표 4-42>에는 드러나지 않는 일부 조사 데이터의 결과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첫째, ‘조형 구조’의 경우 ‘매우 적합’이 65.24%, ‘적합’이 29.11%로 94.

35%를 차지했다. ‘보통’이 3.34%, ‘적합하지 않음’이 2.31%였다. 수평적 차원 으로 분석하면 대중이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다. 종단적 차원 으로 분석하면 남부 지역 캐릭터의 조형이 가장 많이 인정받고 있다. 한편, 전문 적인 학습 기간이 5-8년인 조사대상자 중 조형 구조의 선택에서 매우적합은 89.1 4%에 달했다. 이는 조형 구조 디자인이 전문가들로부터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준 다.

둘째, ‘디자인 원형’의 경우 ‘매우 일치’가 74.32%, ‘일치’가 19.61%로 9 3.93%를 차지했다. ‘보통’이 4.11%, ‘일치하지 않음’이 1.96%였다. 수평적 차 원으로 분석하면 캐릭터에 대한 디자인 원형의 인기가 높다. 종단적 차원으로 분 석하면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은 동부 지역과 서부 지역보다 인기가 높았다. 또 디자인 분야 조사대상의 ‘디자인 원형’ 선택에서는 ‘매우 일치’가 87.76%로 높게 나타났다. 디자인 분야 학생들이 ‘디자인 원형’에 더 민감하고 전문성이 강하기 때문에 디자인 원형 쪽으로 더 좋은 평가를 주고 있다.

셋째, ‘신체 비율’의 경우 ‘매우 일치’가 82.45%, ‘일치’가 11.22%로 93.

67%를 차지했다. ‘보통’이 4.45%, ‘일치하지 않음’이 1.88%였다. 수평적 차원 으로 분석하면 90%가 넘는 응답자가 1:1의 신체 비율이 적당하다고 답했으며, 신 체 비율의 ‘매우 일치’는 모든 조사 문제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 의 선호가 1:1의 신체 비율을 인정하고 있다. 귀여운 문화가 유행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종단적 차원으로 분석하면 네 지역 사이 뚜렷한 차별성이 없고, 신체 비율에서도 대중의 선호는 높은 일치성을 보이고 있다. 한편 애니메이션 분야 조 사 대상인 신체 비율의 경우 ‘매우 일치’가 95.63%에 달했다. 이는 애니메이션 디자인과 캐릭터 디자인의 연관성이 높고, 애니메이션 역시 신체 비율을 가장 많 이 연구하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는 애니메이션 분야 응답자들은 1:1의 신체 비율 에 대해 좋은 평가를 주었다.

넷째, ‘액세서리의 착용방식’에서 ‘잘 반영하고 있음’이 75.77%, ‘반영하

No. 부류 답안 총계 백분율

1 캐릭터 디자인 요소

잘 반영하고 있음 238 81.51%

반영하고 있음 39 13.36%

보통 8 2.74%

반영하고 있지 않음 7 2.39%

소계 292 100%

2 캐릭터 디자인 방법 의 유효성

매우 그렇다 241 82.53%

그렇다 34 11.64%

보통 8 2.74%

그렇지 않다 9 3.09%

소계 292 100%

3 캐릭터 디자인 방법 의 응용성

매우 그렇다 247 84.59%

그렇다 32 10.96%

보통 8 2.74%

그렇지 않다 5 1.71%

소계 292 100%

고 있음’이 18.58%로 94.35%를 차지했다. ‘보통’이 4.02%, ‘반영하고 있지 않 음’이 1.63%였다. 수평적 차원으로 분석하면 조사 대상자의 90%가 넘는 사람들이 캐릭터의 액세서리의 착용 방식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종단적 차원으로 보면 남부 지방과 북부 지방은 동부 지역과 서부 지역보다 다소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다섯째, ‘색상’의 경우 ‘잘 반영하고 있음’이 78.25%, ‘반영하고 있음’은 16.70%로 94.95%를 차지했다. ‘보통’이 3.08%, ‘반영하고 있지 않음’이 1.97%

였다. 수평적 차원으로 분석하면 조사 대상자의 95% 정도가 캐릭터의 컬러 디자인 을 긍정적으로 보았다. 종단적 차원으로 분석하면 서부 지방, 남부 지방, 북부 지 방은 캐릭터 색상 디자인 인기가 더 높았고 동부 지역은 상대적으로 인기가 낮았 다. 순수회화 분야 조사 대상 중 ‘잘 반영하고 있음’의 비중이 89.15%에 달했 다. 순수회화 전공은 다른 전공에 비해 색상에 민감하고 설문조사 결과도 신뢰성 이 높다.

한편, 캐릭터 개발 종합평가에 대한 조사 결과는 <표 4-43>과 같다.

표 4-43. 캐릭터 개발 종합평가

<표 4-43>을 통해 집계한 조사 데이터로 캐릭터 개발 종합평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캐릭터 디지털 요소 활용의 타당성을 살펴보면 응답자의 81.51%가 ‘잘

반영하고 있음’을, 13.36%가 ‘반영하고 있음’을 선택해 총 94.87%가 디자인 요 소의 타당성을 인정했다. 조사 대상의 2.74%는 ‘보통’을, 2.39%는 ‘반영하고 있지 않음’을 선택했다. 종합해 보면, 조사 대상자들은 캐릭터 디자인 요소의 타 당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상당한 공감을 표시했다.

둘째, ‘캐릭터 디자인 방법의 유효성’에서 응답자의 82.53%가 ‘매우 그렇 다’, 11.64%가 ‘그렇다’, 2.74%가 ‘보통’, 3.09%가 ‘그렇지 않다’를 선택 했다. 데이터 결과를 보면 총 94.17%의 조사 대상자가 ‘캐릭터 디자인 방법의 유 효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설계 방법을 통해 고안된 캐릭터는 지방 문 화재 자원을 잘 반영한다고 평가했다.

셋째, ‘캐릭터 디자인 방법의 응용성’의 경우 응답자의 84.59%가 ‘매우 그렇 다’, 10.96%가 ‘그렇다’, 2.74%가 ‘보통’을, 1.71%가 ‘그렇지 않다’를 선 택했다. 결과를 보면 총 조사 대상자의 95% 이상이 이번 연구의 캐릭터 디자인 방 법의 응용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의 캐릭터 디자인 방법을 다른 지역의 캐릭터 디자인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겼다.

따라서 위의 평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300명(유효 응답은 292명)의 대학생들 이 푸젠성 4개 지역의 캐릭터 디자인이 푸젠성의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고 있으며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캐릭터 디자인으로서 긍정적인 판단을 내리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3.3.2 전문가 집단

푸젠성 4개 지역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평가 의견은 1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고, 인터뷰 과정은 질의응답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인터뷰 과정을 상세히 기록하여 그 결과를 요약 정리했다. 전문가 집단의 평가 의견 요약 은 <표 4-44>과 같다.

No. 분류 전문가 평가 의견

1 캐릭터의 문화적 상징주의

♦ 캐릭터의 디자인 요소는 지역 문화를 상징하는 유형 문화재 자원, 무형 문화재 자원, 자연 유산 자원 등을 포함하는 지역 문화 자원을 채택했다.

♦ 캐릭터의 디자인 모델은 지역을 대표하는 동물을 선 정하여 지역 문화의 상징성을 보여준다.

2 캐릭터의 조형성

♦ 캐릭터 디자인은 선택한 디자인 원형 형태를 최대한 활용하여 디자인의 시각화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 원형의 특성을 유지했다.

♦ 캐릭터 디자인과 모델링의 모든 측면에서 네 캐릭터 는 디자인 모델링의 기본 규칙을 따랐으며 시각적 특성 이 분명하다.

3 관련 제품의 디 자인

♦ 4개 지역 제품의 관련 디자인도 지역 특성을 지닌 잘 알려진 제품을 선택했으며, 문화 캐릭터와 지역 특산품 을 잘 결합하여 디자인의 문화적 상징성과 실용성을 극 대화했다.

♦ 이러한 제품의 디자인 및 개발은 매우 실용적이며 향 후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관련 제품의 디자인 및 개발 을 실제 생산 및 판매에 적용할 수 있다.

4 미래 발전 제안

♦ 지역 대표 문화 캐릭터의 디자인 및 개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양시켜야 한다.

♦ 성숙한 문화 캐릭터 마케팅 시스템을 구축한다.

♦ 캐릭터 디자인의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을 수립한다.

표 4-44. 캐릭터 디자인 전문가 평가 의견

10명의 전문가 그룹의 인터뷰 평가 결과에 따르면 푸젠성의 4개 캐릭터 평가 결 과에 대한 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캐릭터의 문화적 상징성 측면에서 전문가 그룹의 구성원들은 이 4개의 캐 릭터의 디자인 요소가 지역 문화 자원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와 연구를 기반으로 했다 믿고 있다. 예를 들어 동부 지역의 삼방칠항, 서부 지역의 토루, 남부 지역 의 후이안 의상, 북부 지역의 대홍포 기법 등 가장 대표적인 지역 자원을 선택했 다. 이러한 문화 자원은 유형 문화재 자원, 무형 문화재 자원, 자연 유산 자원 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95-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