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종합정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6-111)

중국 - 금금, 화화 한국 - 충청이, 충나미 일본 - 출세 다이묘 이 에야스 군

그림 3-59. 금금, 화화 그림 3-60. 충청이, 충나미 그림 3-61. 출세 다이묘 이에야스 군

표 3-31. 중한일 캐릭터 표정 디자인 비교

일본은 9개의 캐릭터 디자인 연구 사례 중 88.89%인 8개 캐릭터 표정은 무표정 이었다. 일본의 캐릭터 디자인은 얼굴 표정이 다양하지 않음을 알 수 있는데 중성 적인 표정은 다소 발랄한 느낌을 줄 수 있고 적용할 수 있는 것도 많아 디자인적 으로도 확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중국과 한국 문화 캐릭터의 표정은 기쁜 감정을 가진 표정을 선호한다. 중국과 한국 연구 사례 중 무표정 디자인은 단 한 가지뿐이었다. 이러한 차이는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의 디자인 사상과 관련이 있다. 중국과 한국의 캐릭터 디자인은 어떤 콘셉트를 선택하든지 즐겁고 재치 있게, 또한 용감하고 발랄하게 캐릭터를 표현하고자 한다.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대중은 캐릭터가 너무 완벽하다는 설정에 거리감을 느낌과 동시에 귀여운 이미지를 더욱 선호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표정 디자인에는 차이점이 하나 더 있다. 일본 캐릭터 디자인은 대부분 상 대적으로 작은 이목구비를 가지고 있으며 종종 큰 얼굴과 작은 눈, 코, 입을 가진 캐릭터도 있다. 반면에 중국과 한국 캐릭터 디자인은 큰 이목구비, 특히 큰 눈을 선호한다. 전체적인 디자인에 있어 얼굴, 눈, 입은 크지만 코가 없는 것도 특징이 다.

분류 중국 한국 일본

문화자원 무형 문화 유산을 주 로 모티브로 삼았다.

한국은 중국과 일본 에 비해 더 포괄적인 문화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격차가 없는 특징을 보였다.

무형 문화유산 자원 과 유형 문화유산 자 원을 위주로 모티브 로 삼았다.

조형 구조

조형 구조가 단일하 며. 원을 위주로 구 성한다.

조형 구조를 대담하 게 창작하며, 형상이 풍부하고 변화도 다 양하다.

조형 구조에서 사각 형의 사용이 비교적 더 많고, 전체적인 조형이 깔끔하고 장 식물도 비교적 적다.

디자인 원형 모델은 인간을 기초 로 한다.

인간을 디자인 원형 으로 하는 디자인이 많지만, 디자인 원형 이 무엇이든지 상관 없이 종의 본래 특성 은 분명히 유지되었 다.

모델은 대부분 포유 류 이다.

신체 비율 주로 1:1비율이다. 주로 1:1비율이다. 주로 1:1비율이다.

액세서리의 착용 방식

‘입다/신다’,‘쓰 다’ 방식이 많다.

‘입다/신다’,‘쓰 다’ 방식이 많다.

‘입다/신다’,‘쓰 다’ 방식이 많다.

색상

완전 무채색 계열을 주색으로 하는 캐릭 터 디자인이 없고, 순도나 명도가 높은 색을 선호하며, 고순 도 대비색 사용을 배 제하지 않는다. R색 사용에 대한 경향성 도 뚜렷했다.

선명하고 밝은 색깔 을 선호하며 특히 흰 색을 더 좋아한다.

색채 사용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광범위하 여, 단층식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비슷한 색상과 채도 가 낮은 색상이 대부 분이며 무채색이 더 자주 사용된다. 디자 인의 원형(原型)

색채에 대한 복원도 를 중시한다.

표 3-32. 중한일 문화 캐릭터 종합 비교

스타일 귀여운 스타일을 주 로 한다.

귀여운 스타일을 주 로 한다.

귀여운 스타일을 주 로 한다.

표정 디자 인

기쁨과 행복을 선호 하는 감정을 담은 표 정 디자인이다.

기쁨과 행복을 선호 하는 감정을 담은 표 정 디자인이다.

대부분의 캐릭터는 무표정 디자인을 사 용한다.

기타 특징

눈과 입이 크고 코가 없는 큰 얼굴을 선호 한다.

얼굴과 이목구비 크 기를 보면 중국과 일 본의 중간이라고 볼 수 있다.

큰 얼굴과 작은 이목 구비, 특히 작은 눈, 코 및 입을 선호한 다.

짧은 팔다리

중국, 일본에 비해 한국 캐릭터는 팔다 리가 더 길다.

짧은 팔다리

디자인은 머리에 초 점을 맞추고, 대부분 캐릭터는 그 디자인 원형과 관계없이 의 상을 디자인한다.

머리, 몸, 의복 등 모두 디자인의 대상 이 될 수 있다.

디자인에 있어 중시 되는 부분은 머리이 고 디자인 원형을 직 접적으로 캐릭터 디 자인에 적용시키며 옷은 추가하지 않는 다.

문화자원의 사용 측면에서 일본의 캐릭터 디자인에는 더 많은 무형 문화유산 자 원과 유형 문화유산 자원이 포함되어 있다. 한국은 다양한 문화자원을 비교적 포 괄적으로 개발 및 활용을 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문화 유형 간에 격차가 없었다.

그러나 중국은 무형 문화유산 자원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다른 문화자원의 활용률 이 낮다. 하지만 중국은 세계 문화유산 목록에 포함된 자원까지 포함하여 많은 문 화재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은 다른 문화유산 자원을 디자인에 적용 할 필요가 있다.

조형 구조의 관점에서 ‘원’은 중국에서 원만하다는 뜻이 있으며 ‘중용지도 (中庸之道)’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조형 구조에서 원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 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조형 구조의 변화가 부족하고 디자인은 비교적 보수적이다. 한국은 조형 구조에서 새로운 조형을 과감하고 풍부하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변화도 다양하다. 또한, 디자인 원형의 조형 구조 복원도가 더욱 높다. 일

본에서는 원을 중국과 한국에 비해 적게 사용한다. 그리고 선종 문화 영향을 받아 조형 구조를 일치시키는 특징이 더 뚜렷하고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장식물도 많지 않다.

일본의 디자인 문화는 대부분 포유류를 기반으로 하는 반면, 중국은 인간을 기 반으로 모델의 원형이나 외관 디자인을 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의 캐릭터 디자인 역시 인간을 기반으로 하지만 어떤 종류의 디자인 원형을 사용하든지 종의 본래 특성은 분명히 유지되고 있었다. 이것은 세 국가의 문화 속에 내재한 사상과 관련 이 있는데, 일본은 신을 숭배하고 동물을 수호신으로 섬긴다. 반면 중국과 한국 문화는 인본주의를 추구하고 있어 캐릭터 디자인은 높은 의인화 정도를 보이고 있 으며 캐릭터에게 인간과 같은 긍정적이고 행복한 성격을 부여하는 것을 강조한다.

색채를 살펴보면, 중국은 무채색을 캐릭터 디자인의 주색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 으며, 중국의 기존 디자인에서는 순도나 밝기가 높은 색상을 선호하고 높은 순도 의 대비색 사용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빨간색 사용을 뚜렷하게 선호한다. 하지 만 일부 캐릭터 색채의 사용은 표적성이 부족하다. 즉, 사람들이 좋아하는 빨간색 과 파란색만을 주로 사용한다. 한국에서 사용되는 색의 범위는 비교적 넓고 R색 계열의 따뜻한 색상과 B색과 관련된 차가운 색상의 사용 빈도가 높았으며 주로 Y 색 및 무채색도 많이 사용된다. 전체적으로 선명하고 밝은색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본은 대부분 비슷한 색상과 채도가 낮은 색상을 사용하며 무채색 을 더 자주 사용한다. 색채에서 자연미와 예술적 경지를 강조한다. 그러나 동시에 디자인 원형의 특징을 유지하는 것을 중시하고 일부 캐릭터의 경우는 고채도 색깔 을 사용한다.

중국과 한국은 기쁜 감정을 가진 표정 디자인을 선호하고, 재치 있고 발랄하며 용감한 캐릭터성을 부각시킨 것이 특징이다. 일본은 표정에서 무표정을 사용하여 대중들에게 귀여운 느낌을 주며 캐릭터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다.

또한, 한국 캐릭터 디자인은 머리, 몸, 의상 등이 디자인의 중심 요소가 될 수 있다. 중국과 일본의 캐릭터 디자인은 대부분 머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중국 은 눈과 입이 크고 코가 없는 것을 선호하며, 얼굴 표정은 열정적인 감정을 전달 하고자 한다. 일본의 캐릭터는 눈, 코, 입과 같은 이목구비가 특히 작은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의 캐릭터 디자인이 보여주는 얼굴과 이목구비의 크기는 중국 과 일본 사이에 있다. 일본의 몇몇 캐릭터의 몸 스타일은, 디자인 원형으로 사용 한 문화자원을 그대로 디자인하여 의류를 추가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중국은

어떤 디자인 원형을 사용해도 옷을 직접 디자인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캐릭터 디자인의 전신 비율, 액세서리 착용 방식, 디자인 스타일은 중국, 한국 과 일본 모두 비슷하며 1:1 비율을 선호한다. 주로 ‘입다/신다’와 ‘쓰다’ 방 식 위주로 디자인되었으며 귀여운 스타일을 위주로 한다. 이제 위에서 언급한 중·한·일, 세 나라의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분석을 종합하여, 지역 문화 유산 자원을 이용한 성공적인 캐릭터 디자인의 공통점을 총정리해보겠다. 이와 함 께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위한 메뉴얼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의 대표성을 지니고 있는 문화자원을 깊게 발굴해야 한다. 중요한 것 은 문화자원 종류나 수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특색을 표현할 수 있는 문화 자원을 선택하는 것이다.

둘째, 조형 구조가 풍부하고 변화도 많으면서 전체적으로 보면 더욱 깔끔해야 한다. 풍부하고 변화가 많은 조형 구조를 가지고 있는 캐릭터 디자인은 더욱 생동 감 있으며, 다른 지역의 캐릭터와의 차별화될 수 있다. 그러나 캐릭터 전체 조형 구조의 간결성을 주의해야 하며, 캐릭터의 시각적 특징을 더욱 돋보이게 해야 한 다.

셋째, 지역의 실제 문화자원이 가진 특색을 종합하여 디자인 원형을 선택해야 한다. 각 나라, 각 지역이 갖고 있는 문화자원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디자인 원형 을 선택할 때 현지 상황에 더욱 부합된 것을 선정해야 한다. 또한, 어떤 원형으로 디자인을 하더라도 디자인 원형의 특징을 더욱 잘 재현해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 으로 디자인하면 현지 문화가 가진 특색을 더욱 반영할 수 있다.

넷째, 1:1의 신체 비율은 귀여운 스타일이며, 사람들에게 호감을 더욱 쉽게 얻 을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대다수 캐릭터 디자인이 모두 1:1 신체 비율로 택하 였다. 이러한 신체 비율은 캐릭터를 더욱 어려 보이게 만들며, 대중들에게 쉽게 친근감과 호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다섯째, 색채 선택에 있어서 더욱 다원화되어야 하고 디자인 원형의 색채 특징 을 유지하는 것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 캐릭터 디자인 색채의 선택은 대중의 선호 나 전통 색채에 너무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디자인 원형에 따라 색채 사용을 고 려해야 한다. 그리하면 색채 특징을 지니면서도 디자인 원형이 가지고 있는 문화 적 특징을 더욱 재현할 수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6-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