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일본시장

1.3. 축산물

일본은 2000년 구제역 발생으로 수출이 중단되기 전까지 우리나라 돼지 고기의 가장 큰 수출시장이었다. 2000년과 2002년 구제역 발생 및 2003년 돼지 열병 발생으로 대일 돼지고기 수출이 중단된 상태이다. 2004년 제주 산 돼지고기에 한해 수출이 재개되었으나 돼지 열병 항체 발견으로 다시 중단되었다. 2009년 말 제주산 돼지고기 수출이 재개되었으나 올해 초 구 제역 재발생으로 수출이 전면 금지되었다. 미국이나 중국 등에 비해서 가 격경쟁력이 낮은데도 2000년 이전 일본 수출이 많았던 것은 국내 비선호 부위인 등심과 안심 등을 지리적 인접성 등을 이용하여 낮은 가격에 판매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50

연도 미국 캐나다 한국 덴마크 기타 계

2005 291,771 188,582 - 226,712 172,103 879,168 2006 261,106 155,208 - 166,515 154,134 736,963 2007 278,050 165,405 - 151,546 159,591 754,592 2008 342,074 177,834 - 152,878 142,277 815,063 2009 275,268 174,221 50 127,930 114,460 691,929 비중(%) (39.8) (25.2) (0.0) (18.5) (16.5) (100.0)

자료: 일본 농축산업진흥기구, 2010. 9. 「畜産の 情報」.

시장 및 고객 특성을 고려한 일본시장 수출유망 품목은 안심, 등심, 후 지, 삼겹살 부위를 이용한 샤브샤브나 돈가스 등이다. 또한 일본 소비자들 은 원료육 비율이 높은 육제품을 선호하고 지방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을 선호한다. 따라서 돼지고기 제품보다는 지방이 포함되지 않은 후지 부위를 이용한 육가공품(고급 소시지)이 수출유망품목으로 예상된다. 향후 돼지고 기의 일본 수출을 위해서는 구제역과 돼지 열병 청정화가 이루어져야 한 다. 따라서 고기 형태의 수출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열처리 육가 공품 수출로 일본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

일본의 돼지고기 생산량은 2008년까지 87만 톤 내외였으나 2009년 92 만 톤을 초과하면서 수입량이 69만 톤으로 감소하고 돼지고기 국내 소비 량도 163만 톤 수준으로 떨어졌다. 돼지고기 수입은 대부분 미국과 캐나 다, 덴마크산에 집중되어있다.

표 3-15. 일본의 국가별 돼지고기 수입량

단위: 톤

일본의 돼지고기 관세는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비관세 조치 의 영향도 미국이나 EU(유럽연합)보다 낮은 수준이다. 일본의 구조적인 무 역 장벽은 시장거래 관행에 있다. 일본의 기업들은 상호 간 인간적인 유대 와 신용을 바탕으로 한 장기적이고 안정적 관계를 중시하며, 계약서보다 교섭과정을 중요시한다. 또한 의사 결정이 자주 지연되고 불투명할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엄격한 거래 조건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일본시장에 처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51

연도 중국 미국 태국 브라질 기타 계

2005 780 28,370 54 394,325 9,923 433,452

2006 426 26,894 11 308,432 4,126 339,889

2007 109 23,242 3 333,433 4,946 361,733

2008 127 21,756 - 392,106 5,975 419,964

2009 117 22,676 - 315,202 4,963 342,958

’09비중 0.0% 6.6% 0.0% 91.9% 1.4% 100.0%

자료: 일본 농축산업진흥기구, 2010. 9. 「畜産の 情報」.

음 진출하고자 하는 수출업체에게는 여건이 매우 불리한 실정이다.

일본에서 돼지고기와 관련된 대표적인 무역 장벽은 차액관세제도이다.

차액관세제도는 수입품의 과세가격과 관련법규에서 정한 일정액과의 차이 를 세금으로 부과하는 제도이다. 1971년 10월 돈육 수입을 완전 자유화하 면서 일본 내 양돈농가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본의 돈육 가격안정제도와 연 계시켜 수입돈육(지육 및 부분육) 등에 도입하였다.

1.3.2. 닭고기․삼계탕

2009년 우리나라의 일본시장 삼계탕 수출액은 419만 달러로 일본의 닭 고기 수입시장점유율은 0.5%에 불과하였다. 신선냉장육 가격은 중국산의 1.5배, 냉동육은 미국산의 2.2배 수준으로 가격경쟁력이 취약하기 때문이 다. 일본은 외식용 수요를 위해 중국과 태국에 자본과 기술을 투자하여 개 발수입을 추구하고 있어 한국산 냉장 및 냉동계육의 수출여건은 매우 불리 하다. 하지만 신선냉장육의 경우 규슈 지역에 유통기한 내 중국제품보다 신선도 높은 제품의 수출이 가능하며 현지에서도 일정 부분의 수요가 존재 하기 때문에 품질차별화를 통한 지속적 수출 추진이 가능할 전망이다.

표 3-16. 일본의 국가별 닭고기 수입 현황

단위: 톤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52

연도 중국 미국 태국 기타 계

2005 185,323 415 148,603 3,112 337,453

2006 195,268 487 148,794 1,118 345,667

2007 192,494 181 144,155 1,308 338,138

2008 122,250 218 185,477 2,868 310,813

2009 140,147 181 170,743 2,148 313,219

비중 44.7 0.1 54.5 0.7 100.0

주: 비중은 2009년 기준임.

자료: 일본 농축산업진흥기구. 2010. 9. 「畜産の 情報」.

일본의 닭고기 소비량은 매년 증가하여 2008년에는 175만 톤을 넘겼으 며 생산량과 소비량, 수입량도 최고치를 기록했다. 닭고기 수입의 경우 대 부분이 브라질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과 태국의 경우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으로 수입량이 급격히 감소했다. 열처리 등을 통한 닭고기 조제품 수입의 경우 중국과 태국이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으로 기존 생육 제 품을 열처리 가공육으로 전환하여 수출하면서 두 국가가 일본 계육 조제품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표 3-17. 일본의 국가별 닭고기 조제품 수입

단위: 톤

2003∼2007년 일본의 계육 조제품 시장비교우위(MCA) 지수는 태국이 11.4로 가장 높았으며, 중국이 4.4였다. 한국은 일본에 삼계탕을 주로 수출 하지만 시장비교우위 지수 산출 시 전체 계육 조제품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0.1에 불과한 낮은 수준이었다. 브라질도 최근 수출이 급증하여 2007년까지는 비교우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53

2003 2004 2005 2006 2007 5년 합계

한국 0.1 0.1 0.2 0.1 0.1 0.1

중국 4.8 4.3 4.2 4.1 4.5 4.4

태국 10.0 13.0 12.0 11.0 11.3 11.4

미국 0.1 0.0 0.0 0.0 0.0 0.0

브라질 0.0 0.2 0.2 0.0 0.0 0.1

주: 닭고기는 160232(Fowl (gallus domesticus) meat, prepared/preserved)이며, 주로 밀 폐용기의 삼계탕과 닭고기, 기타조제저장 닭고기임.

표 3-18. 일본 닭고기 시장 비교우위(MCA) 지수

일본시장 소비자들의 삼계탕에 대한 잠재수요가 매우 높은 편이지만 기 존 삼계탕 제품이 아닌 현지 소비자 특성을 고려한 상품화가 필요하다. 먼 저 판매용량의 소량화를 통해 현지 소비자가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중량 으로 전환하고 인삼제품의 풍미를 싫어하는 경향을 고려하여 닭죽 등 인삼 을 제외한 제품으로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 일반 닭고기 수출 은 한계가 있으나 삼계탕 제품과 같은 열처리 제품은 소비자들에게 안전성 문제에 대한 확신을 심어줄 경우 수출전망은 밝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 자 선호도 조사 결과도 맛과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따라서 조리의 편리성을 제고하고 간편 소비문화에 맞는 포장 디자 인과 설계가 필요하며 고급식품을 개발하고, 화학조미료 사용을 피해 담백 하고 순한 맛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1.4. 전통주

일본의 주류판매는 2001년 1,010만 ㎘ 이후 매년 감소하여 2009년 900 만 ㎘ 수준으로 줄었다. 주류판매가 감소하는 원인은 장기화되고 있는 불 경기와 웰빙지향적 소비패턴, 인구의 노령화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 비중이 2000년 17%에서 2009년 22%로 높아지고 있어 앞으 로도 주류 소비는 감소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54

일본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술은 맥주이다. 맥주는 일반 맥주와 발포 주, 제3맥주인 리큐어까지 포함하여 일본 주류 시장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다23. 일반맥주의 시장점유율은 2000년 54.1%에서 2009년 33.5%로 감 소하였으나 제3맥주의 시장점유율은 같은 기간 4.1%에서 18.7%로 증가하 였다. 소비자들이 저알콜 주류를 선호하는 현상 때문이다.

일본의 대표적인 주류인 청주는 일본 정부의 노력에도 불과하고 시장점 유율이 2000년 10%에서 2009년 6.8%로 감소하였다. 소주의 시장점유율은 10% 수준에서 안정적이며 위스키의 시장점유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2008년 이후 소폭 상승하였다. 기타 양조주는 2005년 이후 시장점유율이 급성장하고 있다.

표 3-19. 일본의 주종별 판매량과 점유율

단위 : 천 ㎘, %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청주 999 730 701 676 652 616

(10.0) (7.6) (7.5) (7.2) (7.2) (6.8)

소주 782 1,044 1,043 1,034 1,015 1,012

(7.8) (10.9) (11.2) (11.1) (11.2) (11.2)

맥주 5,416 3,642 3,532 3,466 3,199 3,018

(54.1) (38.1) (37.8) (37.1) (35.2) (33.5)

위스키 125 84 80 74 76 84

(1.2) (0.9) (0.9) (0.8) (0.8) (0.9)

발포주 1,746 1,699 1,586 1,535 1,383 1,148

(17.4) (17.8) (17.0) (16.4) (15.2) (12.8) 기타

양조주

11 1,047 1,066 858 790 755

(0.1) (11.0) (11.4) (9.2) (8.7) (8.4)

리큐어 406 770 810 1,066 1,337 1,684

(4.1) (8.1) (8.7) (11.4) (14.7) (18.7)

합계 9,475 9,016 9,350 9,354 9,091 9,00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일본 국세청

23 리큐어 항목에 유사맥주인 제3맥주가 포함되어 있음.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55

일본이 수입하는 주류 가운데 와인 수입액이 가장 많으며 최근까지 지 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09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막걸리가 포함된 기타 발효주는 2008년부터 급증하고 있다. 소주가 포함된 기타 주류는 2005년 이후 수입액이 안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일본에서 소주의 세번은 HS-2208.90.129(에틸알콜 및 증류수 기타)이며 관세율은 16%이다. 일본의 주류 수입은 칵테일용 술 또는 낮은 알콜도수의 주류를 중심으로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표 3-20. 일본의 주류 수입 현황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맥주 31.4 49.2 52.8 49.8 57.8 53.0

와인 811.2 1,040.5 1,178.3 1,257.1 1,341.7 1,083.9

위스키 356.3 212.5 221.4 215.3 224.6 192.3

보드카 - 11.0 16.7 19.3 19.4 21.0

리큐어 62.8 110.0 103.8 103.5 103.9 105.5

기타발효주 86.5 64.9 67.3 65.0 80.7 106.7

기타 120.0 147.1 140.3 136.1 143.2 145.4

자료: 무역협회, 한국은행24

일본시장 전통주 수출은 막걸리가 주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막걸리 일 본시장 수출액은 2000년 75만 3,000달러에서 2009년 540만 달러로 6.2배 증가하였다. 일본시장 수출액은 2009년 우리나라 막걸리 수출총액(628만 달러)의 86.0%를 차지한다. 일본의 막걸리 수입관세는 종량세로서 리터당 42.4엔을 부과하고 있다25.

24 무역협회의 일본수입금액(엔) 자료와 한국은행의 엔/달러 월평균 환율을 사용하였음.

25 우리나라 막걸리는 기타발효주에 포함됨. 2006년 이전에는 HS9 2206.00.210(기타 발효주/청주 및 탁주)로 분류되어 있었으나 관세가 70.4엔/ℓ로 높아 2006년부터는 HS9 2206.00.229(기타 발효주/기타의 것)로 변경하였으며 관세는 42.4엔/ℓ임.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56

그림 3-5. 우리나라의 막걸리 수출 추이

단위: 백만 달러

자료 : 농수산물유통공사

상품 표준분류체계(HS)상 막걸리가 속한 과실 및 곡물발효주 (HS-220600)는 막걸리와 대체 관계에 있다. 일본의 곡물발효주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시장비교우위(MCA) 지수는 2005년 1.25에서 2007년 2.90, 2008년 4.48로 높아지고 있으며 2009년에도 4.79로 상승하여 일본시장에 서 막걸리가 다른 국가들의 과일 및 곡물발효주에 비해 경쟁력이 강화되고

상품 표준분류체계(HS)상 막걸리가 속한 과실 및 곡물발효주 (HS-220600)는 막걸리와 대체 관계에 있다. 일본의 곡물발효주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시장비교우위(MCA) 지수는 2005년 1.25에서 2007년 2.90, 2008년 4.48로 높아지고 있으며 2009년에도 4.79로 상승하여 일본시장에 서 막걸리가 다른 국가들의 과일 및 곡물발효주에 비해 경쟁력이 강화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