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대만시장 개요

대만은 국토 면적이 좁고 아열대 지역이라 다품종의 농업 생산이 현실 적으로 어려워 많은 농수산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과수(사과·배)의 경 우 재배 특징상 영하권이 돼야 꽃눈이 형성되지만 겨울철 평균기온이 12

∼16℃인 대만에서는 재배가 불가능하여 매년 꽃눈이 있는 나뭇가지를 수 입하여 고접을 해서 과실을 생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만시장 농식품 수출총액은 2005년 1억 1,000만 달러에서 2009년 1억 3,700만 달러로 증가하였다. 2006년 1억 달러 미만으로 감소한 바 있으나 배와 사과 등 주요 수출품목의 수출이 회복되면서 증가세를 이 어가고 있다. 대만시장 주력 수출품목은 다른 국가와 달리 배와 사과, 인삼 제품 등 신선농산물이 차지하고 있으며 베이커리 제품과 커피류, 필터담배 와 라면, 유자조제품과 조제식료품 등 가공농식품이 뒤를 잇고 있다.

대만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일찍부터 국민소득이 높게 유지되고 있어 농 식품 시장규모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국산 농식품 수출의 급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 사과의 새로운 브 랜드가 현지 대형유통업체에 입점하면서 성공적으로 정착한 결과 수출이 크게 늘어났다. 또한 유자조제품과 조제식료품, 조제분유, 파프리카와 팽이 버섯 등이 신규 수출유망품목으로 부상하고 있어 대만시장 수출확대를 위 해서는 기존 주력품목의 브랜드화와 함께 신규 유망품목 발굴이 필요할 것 으로 보인다.

한국에서 대만까지 선박 운송기간은 보통 3∼4일 소요된다. 주로 부산항 이나 광양항, 평택항에서 출발하며, 과일류는 냉장컨테이너를 이용한다. 배 는 대부분 40피트, 멜론은 20피트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용한다. 대만의 수 입업체들은 저온저장고 등 물류시설을 대부분 자체 보유하고 있으며 일부 수입업체는 과일 수입 및 배분 기능뿐만 아니라 신선편의식품 상품화 작업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64

을 위한 별도의 작업장 시설도 가지고 있다. 수입업체들은 수입물량을 항 구에 도착한 후 대부분 도매시장과 대형유통업체(까르푸, RT Mart 등)로 직접 배분하고 있다.

표 3-23. 우리나라의 대만시장 농식품 수출 현황

단위: 천 달러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총 액 55,300.0 110,100.0 91,900.0 103,300.0 107,000.0 136,600.0 배 - 29,885.9 13,166.9 22,137.4 22,118.1 24,730.7 사과 - 7,360.0 2,072.9 2,934.4 8,141.4 17,870.8 인삼류 16,463.3 7,095.8 11,644.0 15,093.4 9,290.3 10,435.2 베이커리류 10,099.2 7,535.7 7,043.0 7,188.3 9,428.3 9,257.7 커피류 9,217.9 6,067.4 8,455.4 7,042.5 6,758.3 9,004.3 필터담배 30.0 4,120.5 3,112.2 4,758.3 3,538.8 4,634.8 라면 2,012.5 2,108.3 2,174.2 2,595.6 3,671.4 4,376.9

유자조제품 - - - 3,794.4 3,395.9 2,973.5

조제식료품 77.5 21.1 - - 721.3 2,692.1

김치 131.7 1,470.1 1,625.0 1,872.3 1,962.0 1,951.3

젤라틴 99.1 676.8 553.4 355.2 870.8 1,802.1

맥주 368.8 1,810.3 1,095.3 1,355.1 1,504.9 1,717.6

조제분유 - 413.5 752.5 886.0 1,310.7 1,350.7

사료 32.7 174.1 282.9 309.5 394.7 664.1

설탕과자류 1,450.2 2,815.5 3,576.1 1,854.4 1,378.8 619.7

음료류 640.5 862.4 923.3 696.8 428.3 479.3

소스류 103.1 71.4 194.0 217.6 175.9 412.4

곡류조제품 63.6 442.4 306.1 200.1 245.0 233.0

자당 - 4,063.2 30.5 88.7 - 203.1

국수 24.0 17.0 56.9 32.8 28.8 105.8

파프리카 - 15.3 5.4 - 13.5 84.1

소주 10.1 42.6 77.9 115.7 111.5 75.4

팽이버섯 - - 26.6 - 1,420.7 68.8

파스타 20.5 53.6 56.8 87.3 151.0 49.5

밤 - - - 4.9 5.0 46.9

곡물발효주 - - 6.8 27.0 14.9 5.1

자료: 무역협회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65

2.2. 과일·특작류

2.2.1. 사과

대만 소비자들의 한국산 사과에 대한 선호도는 가정소비용 3.7%, 선물 용 6.7%로 낮게 나타난 반면, 일본산 사과는 각각 54.6%, 69.9%로 가장 높고 미국산도 17.2%, 7.4%로 국내산보다 높다. 수입사과 가격은 후지품 종 기준으로 일본산이 가장 높고(12,186원/2개), 뉴질랜드산(5,897원/2개), 미국산(2,359원/1개) 순으로 높게 판매되고 있다. 일본산 사과는 색택, 모 양이 한국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가격이 높아도 판매가 잘 되고 있으며, 경 도가 좋아 저장기간도 더 긴 것으로 파악된다. 그에 따라 선물용으로 더 선호되고 있다. 한국산도 미국산과 달리 가정소비용보다 선물용으로 더 선 호되고 있다.

소비자 전체적으로는 한국산 사과가 미국산보다 선호도가 낮지만 연 간 100만 달러(NT) 이상 소득층에서 한국산 사과의 선물용 구입용도 비 율은 16.7%로 미국산과 같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한국산 사과를 선물용 으로 고급화하여 고소득층을 공략할 경우 수출 확대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산 사과가 아직까지 대만에서 소비자 선호도가 낮은 것은 한국산 사과의 유통비중이 적고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 다. 하지만 최근 1∼2년간 대만 수입업체들의 한국산 ‘daily' 브랜드 사과 에 대한 선호도가 빠르게 높아지고 있어 향후 소비자 선호도가 높아질 가 능성이 있다31. 한국산 사과 브랜드화 및 적극적인 홍보와 마케팅활동이 필요하다.

한국 사과의 2006년 대만시장 MCA는 0.23에서 2009년 1.1로 증가하여 2009년 이전까지는 사과 수출성과가 평균에 미치지 못하였지만 2009년 이 후 사과 수출이 전체 수출에 비하여 수출성과가 개선되었다(표 4-24). 일본

3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현지조사결과 보고서(2010.5)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66

은 물론 미국과 칠레, 뉴질랜드 등에 비해 시장비교우위 지수가 낮지만 다 른 국가들에 비해 한국의 MCA지수는 상승하고 있는 추세여서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

표 3-24. 대만시장의 국가별 사과 시장비교우위(MCA) 비교

한국 일본 미국 칠레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2006 0.23 1.39 2.94 33.48 38.94 1.69

2007 0.19 1.50 2.61 26.74 43.17 2.36

2008 0.44 1.16 3.39 23.89 44.79 2.62

2009 1.05 1.25 3.33 26.06 40.88 2.22

2.2.2. 배

대만시장에 동양배는 9월부터 수출되며 한국산이 약 80%, 일본산이 10%를 차지하고 있다. 대만은 한국산을 포함한 일본산 등 동양배에 대해 수입할당제도(쿼터제도)를 적용하며 연간 9,800톤의 수입물량을 배정하고 있다. 한국산 배는 일본산에 비해 품질에서 다소 떨어지나 가격이 낮아 동 양배 수입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대만으로 수출되는 배는 ‘한국산 사과, 배, 복숭아 생과실의 대만수출 검 역요건’에 따라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쿼터물 량을 분배받은 수입자만이 수입할 수 있으며 쿼터물량은 지난 2년간 수입 실적의 평균으로 분배된다. 수입을 많이 할수록 추후 더 많은 쿼터물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업체 간 쿼터물량 권리의 거래가 가능하다. 설(춘절)을 전후한 시기에 선물용 수요가 가장 많고, 5kg(7∼9개) 상자 형태로 많이 판매된다.

한국 배의 MCA는 2006년 14.3에서 2009년 15.1로 소폭 상승하였으며 지속적으로 대만시장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일본의 MCA는 1보다 작 아 시장비교우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양배의 경우 뉴질랜드의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67

MCA가 61로 가장 높고 미국이 8, 칠레가 6으로 높아 세 국가 모두 시장 비교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동양배의 품질은 한국산이 일본보다 낮지만 대만보다 높으며 가격은 일 본산 가격이 한국산보다 높고 한국산은 대만산보다 높아 한국산 배의 가격 경쟁력이 있다. 대만 소비자들은 자국산 배보다 한국산 배를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소득 계층은 일본산 배를 선물용으로 구입하고, 중산 층은 한국산을 가정소비용으로 구입하는 경향이 있다.

표 3-25. 대만시장 국별 배 시장비교우위(MCA) 비교

구 분 신고배 서양배

한국 일본 칠레 칠레 일본 뉴질랜드 미국

2006 14.34 0.44 1.69 - 0.01 36.65 8.33

2007 12.58 0.59 0.92 7.89 0.01 43.25 6.81

2008 13.82 0.39 1.14 6.19 0.01 37.12 7.67

2009 15.13 0.42 - - 0.01 61.59 8.07

2.3. 축산물

대만은 WTO 회원국으로 WTO 협정에서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수입을 규제하고 있다. 별도의 특별한 수입규제는 없지만 식품에 대해 비교적 높 은 관세율을 유지하고 있어 우리 식품의 현지 가격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만 행정원 농업위원회의 동물전염병 방지조례 제33조에 근거하여 한국 은 구제역, 뉴캐슬병, 조류인플루엔자, 광견병 발생지역으로 분류되었으며 현재 대만은 국제동물보호기구(OIE)에 가입된 국가이지만 OIE에서 선포한 광우병,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등의 청정구역으로 선포한 국가에 대하여 인정하지 않고 자체 심사를 통하여 수입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한국은 광우병,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청정국으로 지정되어 있

수출시장 분석과 시장별 수출제약 요인

68

으나 대만 당국은 자체심사를 통과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아직도 한국산 소, 돼지, 닭, 오리고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가공식품의 경우 고온살균 처리 된 캔류, 레토로트 제품을 제외하고는 수입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대만은 전체 육류 소비의 40% 이상을 닭고기가 차지하여 매우 높은 닭 고기 소비율을 보인다. 우리나라의 삼계탕 수출도 2004년 38톤에서 2008 년 342톤으로 크게 증가했다. 대만시장에 대한 수출 유망품목은 삼계탕이 다. 4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소비자가격이 수출가격의 3 배에 달하는 어려움이 있으나 현지 소비자들이 삼계탕 제품을 선호하고 있 다. 삼계탕은 특히 가을과 겨울철 보신 요리로 인기가 높으며 닭죽도 수출 되고 있다. 대만시장에서는 일본산 삼계탕 제품과 국내산 제품이 경쟁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대만에서 삼계탕 주요 판촉망은 백화점이지만 고율의 관세가 부과된 상 태에서 다시 20∼30%에 달하는 판매수수료를 요구하고 있어 수입상의 이 윤율이 매우 낮다. 그 결과 수입상의 판매활동이 적극적이지 못한 실정이 다. 관세율이 낮아질 경우 수출은 크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