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사과

사과 수출은 주력 수출시장인 대만과의 외교관계와 식품안전성, 국내 수 급 관계에 따라 변동이 있으나 2006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1년 대만교역이 재개되었으며 2008∼2009년 특별 수출대책으로 수출이 증가 하였다. 하지만 2004년 일본 사과복숭아심식나방 검출에 따라 2006년 사 과 수출이 금지되어 수출이 대폭 감소하였다.

2009년 사과 수출물량은 국내 생산량의 2% 수준이며, 수출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대만시장 사과수출은 1992년 외교단절, 1997∼2001년 구 상무역 불이행문제에 따른 교역마찰 등으로 2000년 수출이 중단되었다가 2001년 경제교역 재개, 2002년 대만의 WTO가입 시 사과 수입쿼터와 관세 인하로 수출이 증가하였다.

기타 수출시장으로는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 일본 등이 있다. 인도네시 아는 사과 수입액 1억 2000만 달러로 세계 11위 시장이지만 중국산 사과 가 시장을 장악하여 한국산 사과의 점유율은 0.3%에 불과하다. 싱가포르

표 2-7. 사과 수출 동향

단위 : 천 달러, 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 현황 17

도 사과 수입액 4,900만 달러의 시장이지만 가격경쟁력을 갖춘 중국과 남 아프리카공화국, 미국 등에 밀려 점유율은 1%에 머물고 있다. 일본은 수입 이 증가하는 추세지만, 국내 생산량이 증가하고 미국산 사과 수입으로 시 장전망은 불투명하다.

3.2. 배

배 수출은 생산 및 수급에 따라 연도별 소폭의 변동은 있으나 꾸준히 증 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08년산은 조생종 품질저하에 따른 현지 수요 감 소로 2007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배 수출물량은 총생산량의 약 5% 수 준이며, 수출비중은 증가 추세에 있다. 주력 수출시장은 대만(46.0%)과 미 국(45.9%)이며 전체 수출의 92%(’09 금액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기타 수 출시장으로는 캐나다(96만 3,000달러)와 인도네시아(76만 9,000달러), 싱가 포르(56만 1,000달러) 등이 있다.

대만시장 수출물량은 전체 쿼터가 9,800톤(수입기준)으로 한정되어 있으 나 연말 조기 선적으로 수출물량 변동이 가능하다. 2002년 WTO 가입에 따라 동양배 수입이 개방된 후 매년 쿼터물량을 증대해왔으나 2004년 DDA 협상 결렬로 현재 쿼터물량 수준(9,800톤)이 동결되고 있다.

미국시장 수출은 생산량과 품질에 따라 증감하였으나 점차 증대되고 있 는 추세이다. 2003년은 태풍 매미 피해에 따른 생산량 감소로 국내가격이 상승하여 수출이 감소하였다. 주 고객층은 교민들이지만 최근 한정된 교민 시장에서 벗어나 현지 주류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 현지 대형유통업체에 입점하는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 2008년 현지 시장 진입물량은 798톤이었 으나 2009년은 1,502톤으로 88.2% 증가하였다.

캐나다와 인도네시아는 대만, 미국에 이은 3, 4위 수출시장이나 중국산 과의 경쟁시장으로 수출수요가 불안정하다. 최근 캐나다의 중국산 식품의 안전성 문제 대두로 대체품을 찾고자 하는 수요로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싱가포르는 중국산의 영향으로 2005년 수출이 감소하였으나 이후 중소과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 현황

18

배 생산 지원 등의 효과로 가격 경쟁력 확보, 수출증가세로 전환되었다.

표 2-8. 배 수출 동향

단위 : 천 달러, 톤 구 분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전 체 금 액 17,104 19,568 34,060 30,087 35,243 56,087 36,651 49,180 47,384 53,770

물 량 8,746 11,488 17,427 16,207 16,915 25,171 16,316 19,982 23,668 27,236 대 만 금 액 0 105 11,923 13,987 15,924 29,886 13,167 22,138 22,118 24,731 물 량 0 51 6,133 7,682 7,648 14,003 6,049 9,606 12,323 13,371 미 국 금 액 11,278 13,202 15,541 11,822 15,441 22,589 20,083 24,029 21,838 24,663 물 량 5,096 6,312 6,551 5,598 7,158 9,375 8,340 8,884 9,248 10,998 기 타 금 액 5,826 6,261 6,596 4,278 3,878 3,612 3,401 3,013 3,428 4,376 물 량 3,650 5,125 4,743 2,927 2,109 1,793 1,927 1,492 2,097 2,867

3.3. 단감

단감의 수출은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2007~2009년 연평 균 32.5%의 증가율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이는 단감의 품질향상 및 주 수출시장인 동남아시아로의 소비수요 확대, 환율호조의 영향이 크다.

주요 수출시장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홍콩, 태국 등 동남아에 약 76.1%

(약 8,278톤), 미국, 캐나나 등 북미에 약 11.3%(약 1,232톤)를 수출하고 있 다. 태국, 홍콩 등으로는 중과(M),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등에는 가격이 저렴한 소과(S), 미국과 캐나다 시장으로는 대과(L)가 수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 현황 19

구 분 ’00 ’07 ’08 ’09 ’10.6

재배면적(ha) 23,816 16,309 16,259 14,785

-생 산 량(톤) 227,394 207,472 216,030 195,138

-수출 물량(톤) 3,060 4,683 7,389 10,225 393

금액(천 달러) 3,922 6,196 7,404 10,884 529

단가 수출단가($/kg) 1.28 1.32 1.00 1.06 1.35

국내가격(원/kg) 1,269 2,560 2,246 2,568 2,734

구 분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재배면적(ha) 67 67 96 114 85 84 49 49 54

생 산 량(천 톤) 24 24 38 41 33 40 34 37 55

생산농가(호) - - - - 51 51 58 54 49

수 출

물 량(톤) 15 53 239 161 129 138 1,045 1,915 6,221 12,662 금액(천 달러) 62 117 505 360 304 255 1,746 3,449 11,259 21,277 수출단가($/kg) 4.1 2.2 2.1 2.2 2.4 1.8 1.7 1.8 1.8 1.7 국내가격(원/100g) - 263 251 245 222 156 174 170 167

표 2-9. 단감 생산 및 수출 동향

단위 : ha, 톤, 천 달러

3.4. 팽이버섯

팽이버섯 수출은 2002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2005년 이후 활발 한 해외시장 개척으로 수출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2008년 이후 중국시 장을 기반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2008년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을 중 심으로 미국, 홍콩, 호주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지로 수출국가 다양화 를 통한 수출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표 2-10. 팽이버섯 생산 및 수출 동향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 현황

20

구 분 ’95 ’00 ’08 ’09

재배면적(ha)9 9,375 12,445 19,408

-생산량(톤)10 11,971 13,664 24,613

-생산액(억) 2,839 3,727 7,533

-수 출 물 량(톤) 2,521 2,078 2,128 3,104

금액(천달러) 139,936 78,986 97,229 108,928

단 가 수출단가(달러)11 275 250 364 331 국내가격(천원/kg)12 456 456 456 456

3.5. 인삼

인삼수출액은 1990년 1억 5,000만 달러로 최고조에 달한 후 2002년 5,500만 달러까지 감소하였으나 2003년부터 증가세로 전환되었다. 홍콩시 장 수출 감소는 미국·캐나다 화기삼의 저가 전략 및 고려인삼 승열작용에 대한 과장광고 전략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캐나다는 화기삼의 높은 가격경쟁력을 수단으로 인삼 집산지인 홍콩 시장 바이어를 공략 독점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1992년 대비 2009년 수출은 홍콩시장으로의 수출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 으며, 중국과 베트남에 대한 수출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홍콩시장 수출 은 1992년 8,200만 달러(56.9%)에서 2002년 1,000만 달러까지 감소한 뒤 2009년 2,800만 달러로 회복되는 추세이다. 인삼공사가 홍콩 현지법인에서 지정한 정관장 브랜드 전문직판점 70여 개소를 통하여 시장확대를 도모하 였지만 고가품으로서 유통마진이 적고 시장 포화상태로 현지법인 철수를 검토 중에 있다. 중국은 1992년 14만 8,000달러에서 2009년 680만 달러로 큰 폭 상승하였다. 중국은 1995년 수입품에 대해서 뿌리삼을 의약품으로, 가공제품을 보건식품으로 분류하고 품질 표준등록 등 수입, 통관 및 검역, 유통 등 기술장벽을 설치하여 자국삼을 보호하고 있으나 2004년 한·중 간 의 통상협력을 통하여 6년근 홍삼 뿌리삼에 대해 의약품 수입등록을 허용 하였고, 일부업체에서 제품류를 보건식품으로 등록하여 수출이 증가 추세 에 있지만 까다로운 진입장벽으로 급속한 수출 확대가 어려운 상황이다.

표 2-11. 인삼 생산 및 수출 동향

우리나라의 농식품 수출 현황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