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주말농장 참여 결정요인 추정 결과11)

<표 4-3>는 프로빗 모형을 사용한 주말농장 참여결정요인 추정 결과 이다. 먼저 모형Ⅰ은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만을 고려한 것으로 이중에서 성별과 가족 수, 초등학생 자녀 수, 400-599만원 소득구간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계수 값이 음수로 남성일 때 주말농장 참여 확률 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말농장 특성상 주말농장 참여자가 친구나 동료, 이웃 등과 함께 오는 경우가 많고 실태조사 시 남성보다 여성이 친구나 동료, 이웃과 동반하는 행태가 많이 관찰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해석 시 주의를 요한다. 가족 수는 주말농장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함께 거주하는 가구원 이 많을수록 가족의 건강과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초등학생 이하 자녀 수도 주말농장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주말농장을 통해 도시에서 자연을 접할 수 있고 아이들이 적접 농작물을 재배하므로서 생명과 먹거리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생태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400-599만원 구간의 소득수준이 600만원 이상의 소득수준에 비해 주말농장 참여에 양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월소득이 600만원 이상의 고 소득에서 중간 소득층으로 바뀔 경우, 주말농장 참여확률이 높아짐을 의 미하며 황정임 외(2010)의 주말/체험농장 취미농업형 참여자의 특성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다음으로 모형Ⅱ는 사회경제적 특성과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를 고려하였다. 추정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경제적 특성은 모형Ⅰ과 직업 변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영업이 주말농장 참여 에 음(-)의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일을 하지 않는 집단에서 자영업으로

11)본 연구에서는 프로빗 모형을 활용하여 주말농장 참여 결정요인을 추정하였지만, 일부 변수 간 에 나타날 수 있는 연립성의 문제를 배제할 수 없다. 이는 연구의 한계점으로 향후 주말농장 참여자의 패널데이터 구축을 통해 보다 엄밀한 분석이 요구되며, 다음 연구 과제로 남겨둔다.

바뀌면 주말농장 참여확률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주말농장은 일반적으로 주말에 일정 시간을 농작물 재배에 투자하는 행위로 자영업일 경우, 일 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가용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과 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변수 는 대체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귀농·귀촌 의향 변수의 계수 값이 크게 나타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농촌지역 거주 기간이 길수 록 주말농장 참여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표 3-3> 주 말농장 참여 동기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나진 않았지만 농촌지역에 거주 경험이 있고 그 기간이 길수록 농촌에 대한 향수가 커 주말농장을 찾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귀농·귀촌 의향도 주말농장 참여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귀농·귀촌 의향에 따라 그에 대한 준비 내지 대리 만족을 위해 주말농장을 찾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 모형Ⅲ에서는 사회경제적 특성과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및 태 도, 도시농업 관련 교육을 고려하여 계수 값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주 말농장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는 모형Ⅱ와 유사하게 나타났고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변수에서는 귀농·귀 촌 의향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농업 관련 교육은 주말농장 참 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앞서 도시농업 교 육의 수요가 높고 필요성이 강조한 바 주말농장 참여 활성화를 위한 방 안으로 도시농업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변수 모형Ⅰ 모형Ⅱ 모형Ⅲ 성별 -0.808   (0.247) -0.654  (0.254) -0.670   (0.257) 나이 0.012 (0.011) 0.012 (0.012) 0.009 (0.012) 대졸 이상 -0.218 (0.221) -0.100 (0.231) -0.114 (0.234) 자영업 -0.531 (0.341) -0.595 (0.343) -0.694  (0.351) 서비스/기능직 0.142 (0.457) 0.038 (0.480) -0.011 (0.475) 사무직/전문직 0.182 (0.226) 0.123 (0.234) 0.107 (0.237) 가족수 0.215  (0.097) 0.251  (0.100) 0.263  (0.102) 초등학생이하 자녀수 0.232 (0.138) 0.211 (0.139) 0.212 (0.139) 400만원 미만 0.243 (0.227) 0.297 (0.233) 0.281 (0.235) 400-599만원 0.362 (0.216) 0.366 (0.222) 0.391 (0.225) 농촌지역 거주 기간 0.024 (0.013) 0.020 (0.013) 귀농·귀촌 의향 0.501  (0.194) 0.480  (0.196) 농업·농촌인식긍정도 0.042 (0.072) 0.046 (0.072)

도시농업 교육 0.292 (0.150)

constant -0.401 (0.857) -1.500 (1.076) -1.450 (1.075) Log-likelihood -140.27 -134.90 -132.85

LR  36.38 47.11 51.22

N 264

<표 4-3> 주말농장 참여 결정요인 추정결과

주: 1) ( )안은 표준오차임.

2) *** p<0.01, ** p<0.05, * p<0.1

다음으로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주말농장 참여결정요인을 분석한 결 과, 성별에 따라 주말농장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나타났 다. 먼저 남성을 살펴보면, 나이와 소득이 각각 10%,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레 자연에 대한 그리움이 생기고 은퇴 후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중소득층에서 취미/여가활동이 나 건강을 위해 주말농장을 선택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여성 의 경우에는 가족 수와 귀농·귀촌 의향이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하게 나 타났다. 이는 일반적으로 여성이 집안일을 담당하기 때문에 남성보다 안 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귀농·귀촌에 대한 관심을 주말농장 이용이란 행위로 표출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변수 남성 여성

나이 0.064 (0.038) 0.000 (0.014)

대졸 이상 -0.340 (0.866) -0.107 (0.248)

자영업 -7.159 (564.515) -0.222 (0.504)

서비스/기능직 -5.206 (564.515) -0.083 (0.622) 사무직/전문직 -4.967 (564.515) 0.163 (0.264)

가족 수 0.514 (0.360) 0.229  (0.111)

초등학생 이하 자녀수 0.467 (0.411) 0.166 (0.156) 400만원 미만 0.885 (0.716) 0.020 (0.274) 400-599만원 1.680  (0.732) 0.205 (0.261) 농촌지역 거주 기간 -0.015 (0.033) 0.021 (0.017) 귀농·귀촌 의향 0.835 (0.737) 0.506  (0.215) 농업·농촌인식긍정도 -0.118 (0.180) 0.079 (0.086) 도시농업 교육 0.608 (0.464) 0.225 (0.177) constant 1.006 (564.520) -1.702 (1.192)

Log-likelihood -21.24 -103.23

LR  28.49 21.53

N 91 173

<표 4-4> 남성과 여성의 주말농장 참여 결정요인 추정결과

주: 1) ( )안은 표준오차임.

2) *** p<0.01, ** p<0.05, * p<0.1

2. 주말농장 유형 선택 결정요인 추정 결과

주말농장 유형 선택 결정요인의 추정 결과는 <표 4-6>과 같으며 성 별, 교육 수준, 소득, 귀농·귀촌 계획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먼저 성별은 음의 값을 가지며, 주말형 주말농장을 선택하는데 부(-)의 영향을 미친 다. 즉, 성별이 여자일 경우 주말형 주말농장을 선택할 확률이 낮아지고 반대로 일상형 주말농장을 선택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는 <표 3-6>와 같이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 방문횟수가 높기 때문에 거주지와 인접해 있 는 일상형 주말농장을 선호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교 육 수준과 소득이 낮을수록 주말형 주말농장을 선택에 양(+)의 영향을 준다. 일상형 주말농장은 접근성이 좋아 주말형 주말농장에 비해 상대적

변수 주말형 선택

성별 -0.658  (0.275)

나이 -0.011 (0.013)

대졸 이상 -0.769   (0.267)

자영업 -0.541 (0.425)

서비스/기능직 0.255 (0.494)

사무직/전문직 0.027 (0.270)

가족수 0.086 (0.110)

초등학생이하 자녀수 0.204 (0.141)

400만원 미만 0.804   (0.293) 400-599만원 0.565  (0.272)

농촌지역 거주 기간 0.009 (0.013)

귀농·귀촌 계획 0.550  (0.250) 농업·농촌인식긍정도 -0.012 (0.085)

도시농업 교육 -0.064 (0.141)

constant 0.015 (1.176)

Log-likelihood -100.12

LR  38.15

N 188

으로 임대료가 비싸기 때문에 고학력의 고소득자가 많이 이용하기 때문 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귀농·귀촌 계획이 주말형 주말농장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표 3-31> 유형별 주말농장 참여 동기에 서 나타나듯 구체적인 귀농·귀촌 계획을 갖고 있는 사람일수록 농촌지역 과 인접한 주말농장을 선택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표 4-5> 주말농장 유형선택 결정요인 추정결과

주: 1) ( )안은 표준오차임.

2) *** p<0.01, ** p<0.05, * p<0.1

3. 주말농장 참여의향 결정요인 추정 결과

주말농장 참여의향 결정요인 추정 결과는 <표 4-6>와 같으며, 사회경 제적 특성만을 반영한 모형Ⅰ에서는 성별과 가족 수가 유의하게 나타났

다.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반영한 모형Ⅱ에서는 가족 수와 귀농·귀촌 의향, 농업·농촌 인식 긍정도가 참여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업·농촌 인식 긍정도가 주말농장 참여의 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참여결정요인의 추정결과와 차이 를 보였다. 이는 앞서 주말농장 참여 의향과 농업·농촌 인식에 대한 분 석과 같은 맥락으로 농업·농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사람 일수록 주말농장 참여의향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참여자와 와 비참여자를 구분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며, 비참여자를 대상으로 교 육 프로그램을 진행할 시 농업·농촌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주말농장 참여를 독립변수로 추가한 모형Ⅲ에서는 앞서 기대한 바와 같이 주말농장 참여가 참여 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 다. 특히, 추정된 계수 값이 독립변수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주말농장 참여가 향후 주말농장을 지속하게 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참여자가 주말농장을 이용하면서 얻는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직접적인 체험 행사 등을 통한 적극적인 참여 유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변수 모형Ⅰ 모형Ⅱ 모형Ⅲ 성별 -0.638  (0.286) -0.483 (0.310) -0.185 (0.375) 나이 -0.006 (0.011) -0.001 (0.012) -0.011 (0.015) 대졸 이상 -0.001 (0.246) 0.075 (0.280) 0.175 (0.327) 자영업 -0.060 (0.409) -0.265 (0.443) -0.076 (0.501) 서비스/기능직 -0.121 (0.481) -0.534 (0.549) -0.577 (0.665) 사무직/전문직 0.056 (0.258) -0.220 (0.289) -0.308 (0.343) 가족수 0.196 (0.106) 0.275  (0.115) 0.163 (0.131) 초등학생이하 자녀수 0.091 (0.152) 0.079 (0.160) -0.060 (0.190) 400만원 미만 -0.027 (0.260) 0.021 (0.280) -0.155 (0.328) 400-599만원 0.023 (0.249) 0.109 (0.276) -0.142 (0.334) 농촌지역 거주 기간 0.000 (0.015) -0.017 (0.017) 귀농·귀촌 의향 0.955   (0.226) 0.751   (0.270) 농업·농촌인식긍정도 0.202  (0.088) 0.222  (0.108) 도시농업 교육 0.128 (0.170) 0.028 (0.205)

주말농장 참여 1.750   (0.288)

constant 1.044 (0.906) -1.794 (1.215) -1.815 (1.423) Log-likelihood -101.53 -88.23 -64.81

LR  14.50 41.10 87.93

N 264

<표 4-6> 주말농장 참여의향 결정요인 추정결과

주: 1) ( )안은 표준오차임.

2) *** p<0.01, ** p<0.05, * p<0.1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