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경영효율성 변수

본 연구는

Ang, Cole & Lin (2000) , Singh and Davidson III (2003) , Florackis and Ozkan (2004) ,

조성빈

(2006) ,

박영석・김남곤

(2007) , Lee & Kim (2009)

등 선행연구에서 이용된 경영효율성 지 표를 사용하고자 한다

.

즉 자산효율성의 지표로서 자산회전률로 많이 사용되는 자산 대비 매출액 비율을 이용한다

.

한편

,

비용 을 절감할 수 있는 지출효율성의 지표로서는 기존 연구에 이용 된 변수들을 사용하도록 하겠다

.

즉 박영석・김남곤

(2007)

에서 사 용된 바와 같이

,

영업상의 지출변수에 해당하는 판매관리비 비 중을 이용하며

,

영업 이외의 지출변수로서는 영업외비용 비중을 이용하도록 하겠다

.

판매관리비 비중 및 영업외비용 비중은 각 각 매출액 대비 관련 항목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는지에 대한 대리지표로서 기존 연구들과 동일하게 자산 대비 매출액 비율 을 분석에 이용했다

.

또한 지출효율성과 관련해서 다양한 지표 를 사용할 수 있으나

,

그러한 선택이 자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 어 대표적인 지표로 이용되는 영업비용 비중과 영업외비용 비 중을 이용한 것이다

.

즉 본 연구는 영업비용과 영업외비용을 효 율적으로 통제하는 지출효율성의 지표로서 그 비중을 이용했다

.

영업비용도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이용할 수 있으나

,

제3장 분석범위와 방법

45

연구는 한국신용평가 자료에 나타난 영업비용에 해당하는 판매 관리비를 활용하였다

.

그리고 영업외비용 비중은 한국신용평가 에 정리된 대로 영업외비용 비중으로 활용했다

.

(2) 내부통제장치 변수

본 연구에서는 김선구 외

(2003)

가 제안한 소유권과 지배권의 계산방식을 이용하여 소유지배괴리지표를 계산하였다

.

여기서 는 그 계산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 7)

한 기업집 단이  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

지배주주가 계열사

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지분을

라고 하 자

.

이 경우 실질소유권

(real ownership rights)

혹은 현금흐름권

(cash-flow rights)

으로 불리는 소유권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 개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집단에서 계열사

가 기업

집단 내 계열사

에 대하여 소유하고 있는 지분을

라고 하자

.

계열사 간 지분관계인

로 구성된 출자행렬을  라고 정의하 며

,

이 경우  행렬의 대각선상에 있는

는 계열사

의 자기주 식을 나타낸다

.

지배주주가 계열사

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보유 하는 지분

는 아래의 식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7) 구체적 계산방법 및 수식의 의미에 대해서는 김선구 외(2003) 참조

46

경영효율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위의 소유권 계산식을 출자행렬을 이용하여  개의 계열사에 대하여 모두 적용하면 아래의 행렬식과 같다

. 8)

  

 

⋅

지배권은 의결권

(voting rights)

을 의미하며 계열사의 의사결정 에 관여할 수 있는 정도를 대변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계산상의 편리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방식대로 계열사

에 대한 계열사들 지분의 합을 지배주주의 간접적 지배권으로 보고 계 산하였다

.

따라서 이러한 지배권의 계산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식과 같다

.

 ≠ 



  



  

⋅⋅⋅

 

본 연구는 소유권과 지배권 간 괴리지표로서 세 가지 지표인



,

 및  모두를 분석에 사용하고자 한다

.



 

 



 





   

사외이사제도 및 이사회와 관련된 통계는 상장회사협의회의

8) 여기서

는 모든 계열사(

⋅⋅⋅

  )에 대한 지배주주의 소유권 을 나타내는 

× 

백터



⋅⋅⋅



이며,  는 

×

 항등행 렬이다.

은 모든 계열사(

⋅⋅⋅

  )에 대한 지배주주의 직접지 분을 나타내는 

× 

백터



⋅⋅⋅



이다.

제3장 분석범위와 방법

47

자료를 이용하여 작성했다

.

외환위기 이후 상장회사 이사회의

4

분의

1

을 사외이사로 구성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상장사들의 사외이사비율은 그 기준 이상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특히

2

조 원 이상의 상장사 및 등록 금융기관의 경우 이사회 내 사외이사의 비율을 과반수로 규정하고 있어 평 균적으로 해마다 이사회 내 사외이사비율은 증가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등기임원 중 사외이사가 점유하는 비율을 사외이사 비율로 계산하였다

.

한편

,

동일 사외이사는 다시 재선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외이사로 근속하는 기간을 해마다 평균하여 연 도별 사외이사의 근속기간을 계산했다

. 9)

전술한 바와 같이 사 외이사제도는 외환위기인

1998

년부터 도입되었기 때문에 사외 이사의 근속연수는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2001

년부터

2008

년 동안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

이사회규모도 상장회사협

의회의

TS2000

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

한편

,

외국인지분율 변수로서는 한국신용평가

(Kis-Value)

자료 중 보통주에 대한 외국인보유지분을 이용하였다

.

(3) 통제변수

부채비율이 높아지면 경영자가 이자상환을 위해 잉여현금흐 름을 줄이고 파산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효율적으로 경영할 유 9) 즉 3명의 사외이사가 있다고 가정하고 해당 연도에 한 명이 처음 임명되 었고, 다른 한 명은 2년째, 마지막 한명이 3년째라고 한다면 평균한 사외 이사 근속연수는 2년이 된다.

48

경영효율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인이 높아진다는 측면에서 경영효율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고려 되기도 한다

.

그러나 한편으로 차입비중이 높아질 경우 경영자 는 의사결정권의 침해 없이 자금을 마련할 수 있어 사익추구를 위한 목적에 자금을 유용할 가능성도 높아지므로 경영효율성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도 인식되고 있다

. Ang, Cole &

Lin (2000)

은 부채비율과 기업의 자산효율성 간에 정의 상관관계

가 나타났다는 회귀분석 결과를 발표하면서

,

이는 부채비율이 높아질수록 은행이 기업경영에 대한 감시수준을 높여 대리인비 용을 감소시킨 것이라고 설명했다

.

Myers (1977)

는 순현재가치

(NPV)

가 양

(+)

의 값을 갖는 사업을 시작하려 하여도 채무과잉

(debt overhang)

으로 인하여 추가채무를 통한 자금마련이 기존 채무와 더불어 파산가능성을 높이게 된 다고 언급한 반면

,

단기부채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고 지적했다

.

즉 단기부채의 발행이 과소투자와 같 은 대리인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의미이다

.

Diamond (1991)

는 우수한 기업의 경우 재차입 위험이 낮아 단기

차입이 더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 Florackis and Ozkan (2004)

은 재무구조의 영향을 분석하면서 단기부채비율이 증가할수록 자 산효율성이 증대한다고 언급했다

.

특히 낮은 성장률이 낮은 기 업의 경우

,

단기부채비율의 증가는 자산 대비 영업비용 비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

조성빈

(2006)

은 단기부채비율이 높을수록 자산효율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영업비용 비중

,

접대 비 비중

,

잉여현금흐름 비중 등 지출 비중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언급했다

.

제3장 분석범위와 방법

49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분석방법을 따라 재무구조 변수 로서 자산 대비 부채

(

곱하기

100)

의 비율

(

부채비율

)

을 분석에 이 용한다

.

전년도 투자비율은 기업의 설비투자가 경영효율성에 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

투자는

  

  로 고려하였으며

,

투자율은 자산 대비 투자의 비율로 계산했다

. 10)

본 연구는 성장성 지표로서 매출액 증가율을 이용했다

.

매출 액 증가율은 해당 연도 매출액과 전년도 매출액의 차이를 전년 도 매출액으로 나눈 값

(

곱하기

100)

으로서 전년 대비 매출액의 증가비율을 나타낸다

.

매출액 증가율은 해당 기업 및 산업의 수 요충격을 반영하는 변수로서 사용된다

. Claessens, Djankov, Fan & Lang (2002)

등의 연구에서 매출액 증가율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확인되었다

.

매출액증가율 매출액   매출액 매출액 

× 

기업의 전체 매출액 중 수출이 점유하는 비중은 경영효율성 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국내시장뿐 아니라 해외시장에서 경쟁 하는 환경에서는 더욱 효율적으로 기업을 운영할 수 있기 때문 이다

.

따라서 매출액의 수출비중을 하나의 통제변수로서 포함하 도록 하겠다

. Joh (2003)

는 수출비중을 포함하여 추정한 결과

,

수 출비중과 기업 순이익률 간의 정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함을 입증하였다

.

조성빈

(2006)

은 수출비중이 높을수록 자산회전

10) 투자액에서 토지취득 및 건물취득분(건물감가상각 포함)은 제외했다.

50

경영효율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율이 감소하였으며

,

영업비 비중이 낮아졌다고 밝힌 바 있다

.

시장점유율은 각 기업이 속한

5

단위 수준의 산업에서 차지하 는 매출액 기준 시장점유율을 의미한다

.

기업의 시장점유율은 경영효율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시장점유율이 높은 기업의 경 우 대량생산을 통한 비용감소의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

한편으 로 높은 시장점유율을 바탕으로 경영을 방만하게 수행할 가능 성도 있다

.

기업규모는 해당기업 자산총액의 자연로그 값으로 계산했다

.

기업연수는 개별기업의 성숙도를 통제하기 위한 변수로서

Claessens, Djankov, Fan & Lang (2002)

및 강원・신현한・장진호

(2005)

가 분석에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도 기업연수를 통제변

수의 하나로 추정식에 포함시켰다

.

상장회사의 경우 기업가치는 토빈의

Q

를 이용할 수 있다

.

김 지수・정기웅

(2000)

의 방법을 따라 토빈의

Q

를 아래와 같이 계산 하였다

.

토빈의

 

자산

시가총액 부채유동자산 유동부채

제3장 분석범위와 방법

51

3. 추정방법

(1) 패널 VAR 분석

본 연구에서는 변수 간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과거변수를 추정식에 포함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패널

VAR (vector autoregressions with panel data)

분석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Holtz-Eakin, Newey & Rosen (1988)

Love &

Zicchino (2006)

에 의해 제시된 패널

VAR

추정법을 이용한다

.

일 반적으로 시계열 분석에 이용되는 이변수

(bivariate)

자기회귀 모 형은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

 

  

  

  

   

여기서

,

은 추정해야 할 계수들이며

,

는 백색잡 음

(white noise)

이다

.

패널 자료에

VAR

분석법을 적용하기 위 해서는 개별기업 별 특성을 모형에 포함해야 한다

.

Holtz-Eakin, Newey & Rosen (1988)

Chamberlain (1983)

이 제안한 모형을 수정하여 시계열 안정성

가정을 완화하면서 개별효과를 포함시킨 아래와 같은 형태를 제안했다

.

    

    

     ,   ⋯

  ⋯

52

경영효율성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여기서 는 개별기업 의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이다

.

여기서 오차항 는 다음과 같은 직교조건

(orthogonality condition)

을 충족시켜야 한다

.

 

 

  ,

  

이러한 직교조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측되지 않는 기업별 특성 를 조정해야 한다

.

그러나 를 모형에서 제외하기 위해 고정효과 추정법을 사용할 경우 추정치에 편의

(bias)

가 발생한 다

.

고정효과 추정법은 변수들에 대해 평균차분 과정

(mean- differencing procedure)

을 사용하는데

,

변수들의 평균값에는 

가 각각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관관계가 발생한다

.

따라서 평균차분항들은 위의 직교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Love & Zicchino (2006)

Arellano &

Bover (1995)

에서 언급된

Helmert

변환이라는 선행평균차분

과정

(forward mean-differencing procedure)

을 사용할 것을 제안

했다

. Helmert

변환은 모든 기업 에 대해 가용한 미래관측치의

평균을 차감하는 방법이며

,

아래와 같은 식으로 정리된다

. 11)

 

   

  

 

  ⋯  

,   ⋯

 

Love & Zicchino (2006)

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변환된 변수들

(transformed variables)

과 시차 설명변수들

(lagged regressors)

간에 직 교조건이 성립하게 되며

,

이를 통해 연립

GMM

추정법에서와

11) Helmert변환에서

  

   

은 분산을 동일하게 하기 위한 가중치로서 도입되었다. Arellano & Bover(1995) 참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