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쓰기의 개념과 필요성

여러 학자들은 쓰기에 대해 다양하게 정의를 내렸다. Byrine(1988)과 민찬 규(2000)는 문자 기호를 사용해 일관성 있는 하나의 글(text)을 형성하는 것 을 쓰기라고 했다. 배두본(2002)은 쓰기란 텍스트를 통해 필자와 독자가 의사 소통 하는 행위라고 했고, 이완기(2007)는 의미전달을 위한 의미창조의 과정 (process of creating meaning for communication)이라 말했다. 즉 단순 한 텍스트의 교환이 아닌 필자와 독자 간의 상호작용 과정인 것이다. 위의 정 의를 종합해 보면 쓰기란 필자가 문자 기호를 사용해 일관성 있는 하나의 글을 형성하고 이 텍스트를 통해 독자와 상호작용하는 의사소통 행위다.

쓰기는 여러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목표가 일상생활 에 사용하는 기초적인 영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라는 관점 에서 볼 때 쓰기의 가장 기본적 기능은 의사소통이다. 노경희(2002)는 학습자 들이 살고 있는 지금의 21세기는 디지털 시대로, 인터넷과 같은 미디어 매체를 통해 문자 언어를 주고받고 있으므로 영어 쓰기 지도를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타인에게 문자로 의사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즉 정 보과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직접 만났을 때만 이뤄졌던 면대면 의사소통 (face-to-face communication, FTF) 외에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MC)을 하게 되면서 문자 언어의 중요성이 높아지게 된 것이다. 특히 상대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수용적 기술 (reception skill)에 해당하는 읽기 기능뿐만 아니라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생산적 기술(productive skill)인 쓰기 기능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이 러한 의사소통적 기능 외에도 쓰기는 다양한 점에서 중요하다. Scott &

Ytreberg(1990), Harmer(1998), 고경석 외(2009)는 쓰기 활동이 듣기,

말하기, 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다른 언어 기능의 학습을 강화하고 통합

학교에서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보여 주기 위해서 쓰기를 하게 되는 Bittinger(1993), Schottman(1996)은 쓰기 과정을 실제수업에 바로 적용 하는 것은 무리가 있기에 단계별 과정중심쓰기로 쓰기준비(prewriting), 초안 쓰기(drafting), 글을 함께 읽고 반응하기(sharing and responding to writing), 고쳐쓰기(revision), 편집하기(editing), 출판하기(publishing)를

자신의 글에 내용상 또는 철자와 문법상의 오류를 교정하는 단계다. 출판하기

Brown, Douglas H.의 저서 Principal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에는 여러 학자들이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에 대해 내린 정의가 소개돼 있다. Hymes & Paulston(1974)는 의사소통

운 표현들을 주어진 쓰기 활동에서 적절하게 구현해 낼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전반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이 아닌 쓰기 영역에 서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의사소통 능력이라 하면 구어적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타인들과 나누는 것을 연상한다. 따라서 연구문제를 정함에 있어 의사소통 능력이라 하면 구어 적인 의사소통 능력까지 포함하는 만큼, 영어 쓰기 의사소통 능력이라는 용어 로 칭하고 그 범위를 한정시키도록 한다.

마. 초등학교 영어교과 쓰기 영역 학습 내용 성취 기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에 해설에서 학년군 성취 기준 (라)항목을 보면 3~4학년군은 ‘알파벳 인쇄체 대․소문자를 쓰고, 낱말 과 어구를 따라 쓰며, 보고 쓴다.’, 5~6학년군은 ‘알파벳과 구두점을 바르게 쓰고, 쉽고 간단한 낱말과 어구를 쓰며, 자신이나 가족 등에 관해 예시문을 참 고하여 짧고 간단한 글을 쓴다.’라고 제시돼 있다. 3~4학년군과 5~6학년군의 쓰기 성취기준에 있어 가장 큰 차이점은 자신이나 가족 등에 관해 짧고 간단한 글을 쓴다는 점이다. 이는 5~6학년 학생들이 단순히 영어 쓰기 기능을 학습하 는데 그치지 않고 배운 표현을 활용해 자신 혹의 주변의 이야기를 쓸 수 있는 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도 목표를 두는 것이다.

각 학년군 쓰기 영역 학습 내용 성취 기준을 보면 다음 <표 Ⅱ-1>과 같다.

기존의 교과서 활동들은 아래의 성취 기준을 달성하는데 적합하게 구성됐다.

그렇다면 본 연구의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과정중심 쓰기지도를 했을 경우 5~6 학년 쓰기 영역 학습 내용 성취 기준 도달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봐야 한다. 알파벳 및 철자법 쓰기, 낱말이나 어구 쓰기, 문장이나 짧은 글쓰기 이렇 게 세 가지 영역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각각의 성취 기준을 도달하는지 그리고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면서 연구를 진행한다.

<표 Ⅱ-1> 학년군 쓰기 영역 학습 내용 성취 기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