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초급 단계의 고전문학 교수요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5-99)

가. 초급 단계의 고전문학 학습 목표

본고는 국립국어원(2010)에서 발간한 한국어교육 표준 교육과정의 등급별 총괄목표를 기준으로 하여 초급 단계의 고전문학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자 한 다. 총괄목표 기술은 각 등급의 학습이 완료되었을 때 학습자가 도달해야 하는 목표이며, 총괄목표를 중심으로 등급의 세부 목표와 세부 내용이 기술되었다.

(26) 한국어교육 표준 교육과정 초급 단계 총괄목표(국립국어원, 2010)

• 1급 : 인사하기, 소개하기 등 일상적인 화제로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요일, 시간, 장소 등의 기본적인 화제로 구성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 관한 간 단한 대화를 듣고 이해할 수 있으며, 구, 절 단위 혹은 짧은 문장 단위의 매우 간 단한 문장들을 이해하고 쓸 수 있다. 자신의 생활이 중심이 되는 주변 사물과 장 소 등과 관련된 어휘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자모의 음가, 한국어의 음절 구조, 한국어 기본 문장의 억양을 원어민 화자가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로 발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가장 기본적인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 2급 : 슈퍼, 식당 등 일상적인 공공장소에서 자주 접하는 화제로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우체국, 은행 등의 공공장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반적인 상황들로 구 성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공공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뿐만 아니라 친교, 문제 해결 등의 특정 상황에 대한 대화를 듣고 이해할 수 있으며, 일상적인 주제 와 관련된 짧고 간단한 글을 읽고 쓸 수 있다. 슈퍼, 식당, 은행, 우체국 등의 공 공장소에서 사용되는 어휘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복잡한 음운 변화를 이 해하여 천천히 발화하면 비교적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한국 사회 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27) 초급 단계 고전문학 학습 목표

• 언어기능 교육의 자료로 고전문학 작품을 활용함으로써 한국고전문학에 대한 호 기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다.

• 문화교육의 자료로 고전문학 작품을 활용함으로써 일상생활문화에 남아 있는 한

국인의 사상과 정서가 역사와 전통을 가진 것임을 깨달을 수 있다.

나. 초급 단계의 고전문학 교수요목 및 활용 방안

앞서 일부 논의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은 중급 이 후부터 가능하다는 의견이 꽤 존재한다. 그리고 이를 반영하듯 현행 한국어 교 재 중에는 중급 이 후부터 문학 작품을 수록한 것들이 훨씬 많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다. 그러나 언어교육이나 문화교육의 자료로 적절히 활용하는 경우에는 초급 단계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 본고의 생각이다. 백인자(2004) 역시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작품을 텍스트로서 교수-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으 로 접근하는 것이라면 초급 단계에서부터 가능할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역사 적으로 오래 전의 문학을 학습함에 있어서는 같은 문화권 내에서 유사한 것을 발견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세계적으로 유사한 것을 발견하여 학습자에 게 부담을 덜어주거나 흥미를 유발시키고 동기 부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백인자, 2004:65~66). 초급 단계에서부터 고전문학 작품을 잘 활용하 여 교육한다면 사고와 문화까지 공유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의 요구를 어느 정도 는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때 학습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수준과 요 구에 맞게 교수요목을 설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초급 단계의 고전문학 작 품은 한국어 학습자가 접근하기 쉬운 형태로 변형문을 제시하거나 작품 수록 시 난이도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본고에서 설계한 초 급 단계의 고전문학 교수요목은 다음 <표 Ⅴ-1>과 같다.

<표 Ⅴ-1> 초급 단계 고전문학 교수요목

순서 장르 작 품 작 가 주제 및 내용

1 전래동화 소금이 나오는 맷돌 - 권선징악

2 전래동화 호랑이와 곶감 - 교훈

3 전래동화 토끼와 거북이 - 교훈

4 전래동화 우산 장수와 짚신 장수 - 긍정적인 사고

5 전래동화 달걀 열두 개로 한 축하 - 정성

6 설화(신화) 설문대할망 - 제주도 소개

7 설화(전설) 해와 달이 된 오누이 - 교훈, 인형극

8 설화(전설) 백두산 장생초 - 신화적 성격

9 설화(민담) 방귀쟁이 - 용서

10 전래동요 까치야 까치야 - 까치와 관련된 여러

나라 전래동요 비교

11 민요 아리랑 - 여러 나라의 민요

비교

초급 단계의 학습자에 대해서는 인식과 문화 차이로 인해 오는 심리 갈등과 문화 거부감을 해소하고, 현재 겪는 문화 충격을 한국문화에 대한 호기심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흥미를 유발해야 한다. 그러려면 제시된 고전문학 작품을 통 해 학습자들이 즐겁게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문학 작 품에 친숙한 정서를 갖도록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쉽고 보 편적인 작품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용면에서는 거부감을 줄이고 친밀감을 가질 수 있는 가족, 친구 등에 대한 소재나 사랑, 우정 등 친숙한 감정이 포함된 작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 다. 장르면에서는 초급 단계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학습 목표를 고려하여 누 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인 장르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것이 전래동화, 설화, 민요 같은 것이다. 이런 장르들은 대 부분의 나라에 존재하는데다 민중들의 세계에서 구비전승되어 온 비교적 소박

한 장르들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쉽게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또 초급 단계 에서는 구체적인 제시 방법에 있어서도 세심한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많은 문 자 내용을 제시하는 것보다 이해하기 쉬운 다채로운 그림을 활용하여 내용을 제시하면 학습자가 어휘와 내용에 지루해하지 않고 보다 재미있고 쉽게 작품 내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청각 매체나 애니메이션을 이용하면 더 효과적일 것이다.

전래동화는 남녀노소를 불문하는 작품이고 교훈과 흥미가 있는 하나의 완성 된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이다. 전래동화는 이야기를 만들어낸 사회 구성원들의 사고와 정서를 잘 포함하고 있으며, 전래동화에 나타난 주제, 인물, 배경 등은 다른 장르와 달리 명료하고 간결한 편이다. 따라서 한국 전래동화는 초급 단계 에서 학습자들의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부담을 줄이면서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 를 이끌어낼 수 있는 훌륭한 텍스트이다. 또한 전래동화를 시청각자료로 만든 것들은 언어 구사에 적절한 운율을 갖고 있으므로 강세, 억양 등의 발음 연습에 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초급에서 민요의 학습도 효과적일 것이다. 이화여대의 한국어 교재 이화한국어1-2 에 민요 <아리랑>이 실려 있는데 이 민요는 이미 전 세계에 알 려진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민요로서 외국인들이 가사는 잘 몰라도 흥얼거릴 수는 있다. 아리랑의 노래를 배우면서 한국의 각각 다른 팔도 아리랑에 대해 소 개할 수 있으며 음률의 차이를 느끼게 할 수도 있다.

초급 단계의 학습자는 한국어의 수준이 한글 익히는 수준이며 어휘도 약 800개 정도를 알아야 하는 정도이며 기본적인 의사표현을 배우는 시기이기 때 문에 이 단계에서는 고전문학의 작품 자체보다는 이를 가공한 시청각 자료를 통해 문맥을 이해하고 고전과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고 전을 가공한 시청각 자료는 많이 있지만 이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몇 가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8)

• TV동화 행복한 세상, KBS1 2001.4.30 ~ 2012.5.10

• 동화 읽어주는 TV, MBC 2006.1.19 ~2006.3.30

• TV로 보는 원작동화, EBS 2011.4.5 ~ 2011.8.23

• 애니메이션 전래동화, 여러 출판사

• 국악포털 아리랑(http://arirangs.com)

• 한국전통소리문화(http://www.koreamusic.org)

• 국악방송(http://www.gugakfm.co.kr)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5-9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