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사 대상자의 특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2-46)

가. 조사 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을 위한 표본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 시한 결과 다음의 <표 Ⅲ-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구 통계적 특성을 살펴보면, 조사 대상자인 유학생과 어학연수생들의 성별 분포는 남성이 50.8%(61명)이고, 여성은 49.2%(59명)로 응답하였다. 응답자 들 성별 분포가 절반씩 유지하고 있어 표본 추출에 크게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대상자들의 연령은 ‘21~25세’가 63.3%(76명)으로 가장 많았고, ‘26~30

세’는 22.5%(27명)이며, ‘20세 이하’는 10.8%(13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주 유 형으로는 대부분이 ‘유학’(81.7%, 98명)을 목적으로 이주하였으며, 어학연수를 목적으로 이주한 응답자는 22명(18.3%)으로 조사되었다. 거주하고 있는 지역 으로는 대구 55.0%(66명), 충남 36.7%(44명), 경북과 전남이 각각 4.2%(5명) 순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Ⅲ-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변 수 집 단 빈 도(명) 백분율(%)

성 별 남 여

61 59

50.8 49.2

연 령

20세 이하 21-25세 26-30세 30세 이상

13 76 27 4

10.8 63.3 22.5 3.3 이주 유형 유학

어학연수

98 22

81.7 18.3

거주 지역

대구 경북 충남 전남

66 5 44 5

55.0 4.2 36.7 4.2

N=120(100%)

나. 한국어 학습 경험과 만족 정도

조사 대상자들인 유학생과 어학연수생들의 한국어 학습 경험은 주로 2년을 기준으로 전후로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한국으로 이주하기 위해 한국어교육을 받은 기간은 1년 미만이 69.2%(83명)로 대부분이며, 1년 이상은 30.8%(37명)로 응답하였다.

그리고 한국어에 대한 개인적 능력에 대한 평가는 절반 이상인 57.5%(69명)

가 중급 수준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 밖에 고급 수준 이 12.5%(15명), 초급 수준과 자신의 한국어 능력 수준을 모른다는 학습자가 각각 20.0%(24명)와 10.0%(12명)23)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육과 교재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 정도에 대한 질문에서는 대체적으 로 ‘보통 이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Ⅲ-2> 조사 대상자의 한국어 경험

변 수 집 단 빈 도 백분율(%)

한국어 학습 기간

6개월 미만

6개월 이상~1년 미만 1년 이상~2년 미만 2년 이상

44 39 19 18

36.7 32.5 15.8 15.0

한국어 능력

고급 중급 초급 모름

15 69 24 12

12.5 57.5 20.0 10.0 한국어교육과

교재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매우 불만 약간 불만 보통 약간 만족 매우 만족

1 9 36 50 24

0.8 7.5 30.0 41.7 20.0

N=120(100%)

다. 고전문학교육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

조사 대상자들인 유학생과 어학연수생들이 고전문학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빈도 분석을 해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 났다.

‘한국어 습득에 도움이 되느냐?’에 관해서는 전체적으로 대부분이 도움이 많 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에 대한 전통성을 확인할 수 있다’에 관해서도 역시 높은 비율로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한국인의

23) 조사 대상자들의 한국어 능력은 한국어 능력시험에 합격된 해당 능력을 말한다.

삶의 모습과 세계관을 확인’하는 데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도움이 된다고 하였 다. 그리고 한국어를 말하는 데 있어 한국어교육에서 고전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이 ‘표현력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

<표 Ⅲ-3> 고전문학교육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

변 수 항 목 빈 도 백분율 평 균 순 위

전통성 확인

2 13 35 41 29

1.7 10.8 29.2 34.2 24.2

3.68 1

삶의 모습과 세계관 확인

3 8 42 44 23

2.5 6.7 35.0 36.7 19.2

3.63 2

표현력 다양성 추구

4 7 41 49 19

3.3 5.8 34.2 40.8 15.8

3.60 3

한국어 습득에 도움

3 13 44 30 30

2.5 10.8 36.7 25.0 25.0

3.59 4

일상 언어 이해에 도움

6 10 54 28 22

5.0 8.3 45.0 23.3 18.3

3.42 5

한국문학 이해에 도움

4 18 49 34 15

3.3 15.0 40.8 28.3 12.5

3.32 6

주) ① 매우 그렇지 않다. ② 약간 그렇지 않다. ③ 보통 ④ 대체로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느냐?’의 질문에 서도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한국문학을 이해하는 데 보다 더 편리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한국어교육에서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육이 가장 높게 도움을 많이 주고 있다 고 인식하는 것은 ‘한국의 전통성 확인’이었고, ‘한국인의 삶의 모습과 세계관 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그 다음이었으며, 이어서 ‘표현력에서 언 어적 다양성 추구’, ‘한국어 습득에 도움’, ‘일상 언어 이해에 도움’, ‘한국문학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 순으로 도움이 잘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에서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육이 지금보다 더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한국어 교재 개발에 있어 이러한 점들이 충분히 반 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한국에 유학과 어학연수를 온 이들이 자국에 돌아가 선진 교육과 한국문화 전도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전통성 확인에 고전작품이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2-4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