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서는 경기지도과의 진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경제적인 뒷받침의 중요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중 정도의 집단에서는 특수체육과 체육교육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하정도의 집단에서는 사회체육과와 체육교육과에 대한 진학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현실 적으로 부모의 경제적인 부분이 자녀들의 진학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2.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1) 성별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1)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평균 및 표 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7, 표8>에서 보는 바와 같 이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표7.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성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남 259 2.88 .52

여 123 2.88 .54

합계 382 2.88 .52

표8.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2.717 1 2.717 .001 .975

집단간 104.018 380 .274

합계 104.018 381

(2)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평균 및 표 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9, 표10>에서 보는 바와 같 이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 진로방향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표9.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남 259 2.94 .51

여 123 3.01 .54

합계 382 2.96 .52

표10.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385 1 .385 1.410 .236

집단간 103.708 380 .273

합계 104.093 381

(3)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11, 표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표11.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남 259 3.34 .69

여 123 3.32 .57

합계 382 3.33 .65

표12.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4.824 1 4.824 .112 .738

집단간 163.368 380 .430

합계 163.416 381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성별에 따라 전공만족도, 즉 교과과정, 진로방향 그리고 사회적 인식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학교 교과과정 은 물론 진로방향과 사회적 인식의 측면에서 양성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과과정(2.88)과 진로방향(2.96), 그리고 사회적 인식(3.33)에 대한 평균의 비교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 을 알 수 있다.

이는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국민들의 여가시간 확대에 따 른 여가활동으로서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활성화되면서 체육에 대한 인식과 함께 전 문체육 지도자는 물론 사회체육지도자에 대한 위상이 높아지고 좋아졌기 때문이라 고 분석된다.

2)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1)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실시한 평균 및 표준 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13, 표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해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측면 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의 정형화된 교육의 틀 속에서 대학의 자유로운 교육환경을 접하게 됨으로써 얻게 되는 상대적인 만족치로 이해되는 부분이다.

표13.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1학년 99 2.92 .50

2학년 102 2.83 .51

3학년 115 2.91 .50

4학년 66 2.86 .62

합계 382 2.88 .52

표14.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551 3 .184 .672 .570

집단간 103.467 378 .274

합계 104.018 381

(2)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실시한 평균 및 표준

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15, 표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에 따라 진로방향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표15.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1학년 99 3.00 .43

2학년 102 2.95 .51

3학년 115 2.99 .58

4학년 66 2.88 .57

합계 382 2.96 .52

표16.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703 3 .234 .857 .463

집단간 103.389 378 .274

합계 104.093 381

(3)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실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17, 표18>에서 보는 바 와 같이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에 따라 사회적 인식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 을 알 수 있다.

표17.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1학년 99 3.34 .67

2학년 102 3.33 .75

3학년 115 3.29 .56

4학년 66 3.41 .62

합계 382 3.33 .65

표18.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606 3 .202 .469 .704

집단간 162.810 378 .431

합계 163.416 381

위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 즉 교과과정, 진로방향 그 리고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 았다. 이는 체육관련 전공학과의 사회적인 역할의 한계점으로 이해되는 부분이다.

즉, 다른 전공이나 학과에 비해 체육관련 전공이나 학과는 사회적인 역할이나 진출 이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학과 진학생들이나 졸업생들의 의 식 또한 기존의 틀을 깨뜨리지 못하고 선배들의 자취를 답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 는 것으로 생각된다.

3)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1) 선수경험 유무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19, 표20>에서 보

는 바와 같이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경험의 유무가 교과과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19. 선수경험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유 158 2.89 .50

무 224 2.87 .54

합계 382 2.88 .52

표20. 선수경험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3.099 1 3.099 .113 .737

집단간 103.987 380 .274

합계 104.018 381

(2)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21, 표22>에서 보 는 바와 같이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경험의 유무가 진로방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21. 선수경험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유 158 2.91 .50

무 224 3.00 .54

합계 382 2.96 .52

표22. 선수경험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623 1 .623 2.288 .131

집단간 103.470 380 .272

합계 104.093 381

(3)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 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23, 표24>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경험의 유무가 사회적 인식 에 대한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23. 선수경험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유 158 3.35 .64

무 224 3.32 .67

합계 382 3.33 .65

표24. 선수경험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7.908 1 7.908 .184 .668

집단간 163.337 380 .430

합계 163.416 381

선수경험의 유무 또한 전공만족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성별, 학년별에 따 른 전공만족도의 측면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으로, 체육과 관련한 사회적인 진출은 이 미 정형화된 선택의 틀 속에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계열에 비해 상대적인

기대감이나 열의에 대한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기대감이나 열의에 대한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