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

Copied!
6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 학 위 논 문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s and Types in Major of Physical Education Students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 육 교 육 전 공

김 재 승

2 0 0 2

(2)

체 육 계 열 학 생 들 의 전 공 유 형 과 전 공 만 족 의 관 계

지 도 교 수 조 한 범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으 로 제 출 함

2002년 12 월 31 일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체 육 교 육 학 과

김 재 승

2 0 0 2

(3)

김 재 승 의

석 사 학 위 청 구 논 문 을 인 준 함

2002년 12 월 31 일

심사 위원장 (인)

심 사 위 원 (인)

심 사 위 원 (인)

국 민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4)

국문초록

체 육 계 열 학 생 들 의 전 공 유 형 과 전 공 만 족 의 관 계

김 재 승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본 연구는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자료 수집을 위하여 2002년 6월 현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 인 체육계열 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420명을 무선표집 하였으나 불성실한 자료 는 제외시키고, 최종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382명을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로는 송유진(1995)과 하혜숙(2000)이 사용한 전공만족에 대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자료처리 방법은 기술통계(descriptive)와 χ²(chi-square) 검증, 그리고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 )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 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는 집 단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선수경험과 부모의 경제적 수 준에 따라서 전공유형은 차이가 있다. 즉, 선수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경기지도과에 진학하는 비율이 높고 선수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경우는 경기지도과 보다는 체육교 육, 사회체육, 특수체육과로 진학하는 비율이 높으며, 부모의 경제적 수준이 상인 집단에서는 경기지도 전공이 많은 반면, 중이나 하인 집단에서는 전공이 골고루 분

(5)

포되어 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는 집단간에 부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다. 특히,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에는 차 이가 있다. 즉, 부모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셋째,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체육교육 전공자들이 전공만족의 모든 하위변인에서 다른 전공자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인다. 즉, 체육교육 전공자들이 교과과정, 진로방향 그리고 사 회적 인식 만족도 모두에서 높다.

(6)

목 차

국문초록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3

3. 연구 가설 ···3

4. 연구의 제한점 ···4

5.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만족도(滿足度) ···6

2. 전공만족(傳攻滿足)의 개념 ···8

3. 선행연구 ···9

Ⅲ. 연구방법 ···12

1. 연구대상 ···12

2. 조사도구 ···13

3. 조사방법 ···14

4. 자료처리 ···14

(7)

Ⅳ. 결과 및 논의 ··· 16

1.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 ···16

2.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20

3.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31

Ⅴ. 결론 및 제언 ··· 37

1. 결 론 ···37

2. 제 언 ···38

참고문헌 ··· 39

부록 ··· 42

Abstract ··· 46

(8)

표 목 차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2

표 2. 설문지의 구성지표와 내용 ···13

표 3. 성별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16

표 4. 학년별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17

표 5.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18

표 6.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19

표 7.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0

표 8.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1

표 9.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1

표 10.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1

표 11.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2

표 12.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2

표 13.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3

표 14.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3

표 15.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4

표 16.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4

표 17.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5

표 18.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5

표 19. 선수경험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6

표 20. 선수경험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6

표 21. 선수경험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26

표 22. 선수경험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7

표 23. 선수경험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7

(9)

표 24. 선수경험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7

표 25.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8

표 26.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8

표 27.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29

표 28.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29

표 29.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30

표 30.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30

표 31.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31

표 32.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31

표 33.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사후검증 ···32

표 34.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33

표 35.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33

표 36.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사후검증 ···34

표 37. 전공유형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35

표 38. 전공유형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35

표 39. 전공유형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사후검증 ···36

(10)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현대 산업사회는 기계문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하여 일상생활이 보다 편리하고 윤 택해졌으나 자동화 분업화와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신체활동이 감소됨으 로써 운동부족 현상을 초래하여 국민의 건강과 체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 다. 뿐만 아니라 소득의 불균형, 각종 사회악의 대두, 정신적 스트레스, 청소년 범 죄 등 여러 가지 병폐적 양상은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절박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 다. 더욱이 산업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 생태계의 파괴, 각종 공해의 발생, 인 구의 도시집중 현상, 생활공간의 축소 등은 정신적 스트레스와 육체적 피로를 가중 시켜 인간의 생활환경은 악화시킴으로써 현대인의 건강을 더욱 위협하고 있으며, 퇴폐향락산업의 번창과 약물중독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김학윤, 1999).

특히 노동조건(기계화, 자동화, 로봇화)의 변화라든가, 생활조건(대중화, 도시화)의 변화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많은 불건전한 문제를 야기 시켰다. 즉, 질병 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비행, 사회 생활에 있어서의 인간관계나 사회 질서의 붕괴 등 많은 사회적 제 문제가 급속히 증가하게 되었다(위성식, 1992).

체육은 인간의 신체적 활동 그 중에서 대근 활동을 수단으로 하는 신체의 교육인 동시에 신체활동을 통해서 하는 교육으로서 그 목적을 살펴보면 원만한 환경 밑에 서 신체활동을 통하여 신체각부를 균등히 발달시키고 강건한 정신과 건전한 사회적 성격을 기르며 위생생활을 습관화하여 민주사회 활동에 자기의 최선을 다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한다(윤인호, 1980). 이러한 시대적 환경으로 체육의 가 치가 부각되고 중요시됨에 따라 일반 대중은 체육활동에 대한 관심 및 요구가 증대 하게 되었고, 여가시간의 상당부분을 체육활동에 할애함으로써 체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또한 우리 나라에서 개최된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 그 리고 올해 개최된 2002 KOREA-JAPAN월드컵은 온 국민들에게 ‘보는 스포츠에

(11)

서 직접 하는 스포츠’ 로의 인식변화를 가져오게 해 스포츠와 체육에 대한 관심을 가중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현대인들의 건강을 동반한 신체활동의 중요 성 인식과 체육활동에 대한 관심 및 요구 증대는 우리나라 체육계 발전을 도모하였 고, 그 결과 체육학문의 발전과 운동관련 전문 인력이 사회적으로 필요시 됨에 따 라 이를 충당하기 위해 지식의 공동체인 대학에서는 무수히 많은 체육계열 학과들 을 개설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육교육을 전공으로 하는 체육교육학과, 경기수준향상을 위한 경기지도를 전공 으로 하는 경기지도과, 사회체육을 전공으로 하는 사회체육과, 장애인들의 체육활동 지도를 전공으로 하는 특수체육과 등 다른 전공을 가진 체육계열 학과들이 전문성 과 특수성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개설되고 있다. 결국 우리나라 체육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전공을 달리하는 체육계열 학과들의 연구․발전이 우선되어야 함은 당연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각과의 교육과정과 교육환경 등이 설립목적과 취지에 맞게 학생들에게 충실히 반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체육계열 학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김선용, 1980), 체육학과․체육교육과 교육과정의 비교연구(이문령, 1987), 사회 체육학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사정에 관한 연구(김진경, 1994), 경기지도학 과 교과과정의 비교 분석(신철호, 1995), 체육계열 대학 교과과정 비교연구(박준 석, 1995), 체육계 학과 교과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최덕환, 1996), 체육교육과 발전을 위한 제안(나영일, 2000) 등이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체육계열 학과의 교과과정 운영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또한 체육교육 전공학생의 직업기대 에 관한 연구(김정하, 1995), 체육교육과 졸업생의 전공 관련 직업 종사 여부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이혁중, 1997), 사회체육지도자의 직전교육과 직업사회화에 관한 연구(김도연, 1998) 등이 있는데 이 연구들은 체육계열 학과의 진로방향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12)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체육계열 학과의 교육과정과 그 개선방안을 연구하고 있으 며, 체육계열 학과의 진로방향과 개선방안에 대해서만 연구될 뿐 체육계열 학생들 의 입장에서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진로방향, 사회적 인식 등을 고려한 전공에 대한 만족은 평가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 에 따른 전공만족도를 살펴보고, 이 연구 결과는 체육계열 학과의 정체성 확립과 미래의 체육학도들의 구체성 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

둘째,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셋째,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3. 연구 가설

본 연구는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 음과 같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유형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만족도에는 차이 가 있을 것이다.

(13)

가설 3.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4.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다음 과 같은 제한점을 두었다.

첫째,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만족을 규명하기 위해 전공유형으로 체육교육학과, 경기지도과, 사회체육과, 특수체육과로 한정함으로써 모든 체육계열 전공학생들에게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다른 전공 대학생들에게 일반화하는 데는 한 계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 한 대학의 체육계열 학생들을 대상으 로 한정하였으므로 조사결과를 다른 지역에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셋째, 설정한 변인 이외에 잠재적 변인에 의해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5. 용어의 정의

1) 전공만족(major satisfaction)

대학생들의 전공선택은 대부분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이루어진 결과라 고 할 수 있다. 즉 성별, 학업성적, 적성, 지능, 재능과 같은 개인적 요인 외에도, 부모나 교사의 영향, 사회계층배경, 교육제도 산업구조 등 외부적 요인의 상호작용 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의 개념정의를 ‘전공학과만족’

과 같은 의미로 이해하고자 하며, 전공학과만족에 대한 하부요인으로는 교과과정 만족, 진로방향 만족, 사회적 인식 만족을 두도록 하겠다.

(14)

2) 교육과정(curriculum)

교육과정이란 어휘는 ‘달리다’, ‘경주하다’등의 뜻을 가진 라틴말의 currere에 그 어원이 있는데 이 말은 교육에서 전용하여 학습과정(course of study)또는 교육과 정이란 의미로 표현된다. 즉 일정한 순서로 배열된 학습의 코오스(course)를 의미 하는 동시에 학습내용이나 경험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서 이루어 지고 있는 활동에 행정가와 교육전문가들이 질서를 부여한 조직적 구조의 개념만으로 한 정하겠다.

3) 진로방향(career)

진로(career)란 한 개인이 일생동안 일과 관련하여 경험하고 거쳐 가는 모든 체 험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진로는 개인의 직업으로서 자리의 의미뿐만 아니라, 일과 관련된 그의 태도, 동기, 행동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4) 사회적 인식(social recognition)

사회적 인식이란 어떤 대상을 평가할 때 대중적으로 좋은 느낌과 평가를 가지고 있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와 같은 어떤 대상을 평가할 때에 사회적인 평가의 정도 이다.

(15)

Ⅱ. 이론적 배경

1. 만족도(滿足度)

전공만족의 개념을 정립하기에 앞서 먼저, 만족의 다양한 의미와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중에서도 삶의 만족을 중심으로 개관하고자 하는데, 이는 대 학생들의 전공만족이 대학생활의 만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대학생활의 만 족, 즉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관련변인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1) 삶의 만족도의 개념과 의미

인생만족의 평가에는 두 가지 세부적 측면이 있는데 하나는 감정적 측면(즐거움 의 수준)이고 또 하나는 인지적 측면(달성지각)으로, 전자는 개인이 경험하는 다양 한 감정의 즐거운 정도이고, 후자는 자신의 욕망이 달성되었음을 지각하는 정도이 다. 한편, 주관적 안녕감이란 우리가 가지고 있는 태도와 관련이 있으며, 우리들의 태도란 기본적인 두 가지 측면 즉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지적 측면이란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일컫는다. 삶의 만족 도란 개인이 설정한 기준과 비교해서 자신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판단과정을 의미 한다(Shin & Johnson, 1978).

자신이 선정한 기준과 자신이 지각하는 삶의 여건들을 비교하여 삶의 여건들이 기준과 일치한다면 삶의 만족도는 높을 것이다. 그러므로 삶의 만족도는 삶에 대 한 의식적이고 인지적인 판단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삶의 만 족도는 삶에 대한 의식적이고 인지적인 판단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삶의 만족도는 개인이 설정한 기준과 비교하여 자신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판단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이 설정한 기준과 자신이 지각하는 삶의 여건들

(16)

을 비교하여 삶의 여건들이 기준과 일치한다면 삶의 만족도는 높을 것이다. 그러 므로 삶의 만족도란 자신의 기대, 욕구, 희망, 다른 준거집단과의 비교 등에 의해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2) 만족도에 관한 접근법

삶의 만족도에 대한 개인 내부적 과정에 대해서는 다음의 두 가지 접근법으로 설 명이 되고 있다. 첫째, 차이-비율 접근(gap-ratio approach)이란 사람들의 욕구 수준과 자신의 지각과의 차이, 혹은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다. 차이란 욕구의 수준 과 성취수준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욕구수준은 지각된 성취수준보다 높으며, 그 차이가 적을수록 자신이 느끼는 만족감은 높아진다는 것이다. 반대로, 지각된 성취수준이 자신의 기대수준 보다 높다면 만족도 수준은 최상의 수준이 되 는데 이처럼, 언제나 개인의 욕구수준과 지각된 성취수준 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 라고 가정하는 접근이다.

둘째, 사회심리학적 접근에서는 여러 다양한 사회심리학적 요소들이 개인이 느끼 는 주관적 안녕감이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심을 갖는다. 주로 관심이 되는 영역은 스트레스의 정도, 사회적 지지의 정도, 내적․외적 통제의 소 재, 역할 수행의 정도 등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우울이나 삶의 질을 측정하는 것뿐 만 아니라 주관적 안녕감 혹은 만족도의 측정과 관련이 있음이 여러 종단연구들을 통하여 보고되고 있다(Abbey & Andrew, 1985).

3) 삶의 만족도의 하위영역

삶의 만족도는 상대적 만족도, 타인의 관점에서 본 만족도, 주관적 만족도의 세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상대적 만족도는 지금까지 자신이 해낸 것을 가족, 친 척, 친구 같은 처지의 사람과 비교할 때 만족하며 자신의 삶의 조건들을 좋은 것으

(17)

로 지각하는 정도를 말한다. 타인의 관점에서 본 만족도는 가족이 중요시하는 부 분들을 삶에서 이루며 만족하는 정도와 주변 사람이 자신의 삶의 방식에 긍정적으 로 생각하는 정도를 나타내 준다. 주관적 만족도는 자신의 이상에 비추어 만족하 는지, 전체적인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지 다시 살면 지금껏 살아온 대로 살 것인지 를 묻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왔다.

2. 전공만족(傳攻滿足)의 개념

삶의 만족도에 관한 접근을 바탕으로 전공만족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앞으로 여러 연구들을 통하여 뒷받침되거나 수정되어야 하겠 지만, 전공만족에 대한 개념정의를 시도한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전공만족에 대한 평가는 두 가지 측면에서 가능한데, 하나는 감정적 측면(즐거움 의 수준)이고 또 하나는 인지적 감정적 측면(달성지각)으로, 전자는 개인이 자신이 소속한 학과에 대해서 경험하는 다양한 감정의 즐거운 정도이고, 후자는 자신 또는 주위 사람들의 기대가 달성되었음을 지각하는 정도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전 공만족을 정의함에 있어 인지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자 하며, ‘전공학과만족’의 의미 와 같은 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전공만족이란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전공학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로서, 자신이 현재 소속된 전공학과가 자신의 생애의 이상이나 미래의 진로 또는 직업에 대한 기준과 일치한다면 전공학 과만족은 높을 것이다. 그러므로 전공만족이란 자신의 기대와 직업준거 집단과의 비교 등에 의해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개인의 기대와 진로나 직업준거 집단에 대한 판단은 사회적 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러한 사회적 인식에 대 한 개인의 지각이 전공만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하혜숙, 2000).

전공학과만족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변인으로 역할갈등과 관련된 개념인 생애의

(18)

이상(central life interests)은 개인의 가치관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서, 개인 이 어떤 특정한 활동분야를 선택해서 그 분야에 집중함으로써 강한 유대감을 느끼 고 거기에 몰두하는 태도와 깊이 관련된다. 현재 주어진 개인의 역할, 특히 어떤 조직내에서의 역할이 생애의 이상과 일치한다면 그는 조직을 위해 헌신적으로 노력 하겠지만, 만일 불일치한다면 그는 역할갈등을 겪을 것이다. 생애의 이상은 전공학 과만족의 하위요인에 대해서도 유의한 예언변인이라는 보고가 있다(장대운, 1986).

또한 대학생들의 전공선택은 대부분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이루어진 결 과라고 할 수 있다. 즉 성별, 학업성적, 적성, 지능, 재능과 같은 개인적 요인외에 도, 부모나 교사의 영향, 사회계층배경, 교육제도, 산업구조 등 외부적 요인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이해된다. 이러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선택한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그들의 진로의식의 형성과정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대학생활 자 체가 전공 영역별로 되어 있고 전공은 대체로 장래의 진로와 직결되기 때문이라는 보고가 있다(임용수, 1993).

3. 선행연구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Epstein & Mcpartland(1976)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이 세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혔다. 그 들은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이 학교생활의 형식적 및 비형식적 측면을 포함한 다양 한 요인들, 예컨대, 그들의 사회적 경험, 학습과제와 관련된 경험 및 교사 혹은 동 료들과의 상호관계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고, 이 요인들을 독립적으 로 측정할 수 있는 세 개의 하위검사를 제작하였다. 그들은 주 요인분석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방법 및 Sechrest 방법을 적용해서 세 개의 하위검사가 각기 독립적인 요인들을 측정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학교생활만족의

(19)

구인은 ① 학교생활에 대한 일반적인 지각(일반요인). ② 학과공부에 대한 지각 (학업요인). ③ 교수-학생의 상호관계에 대한 지각(교사요인)이다.

Braskamp, Wise & Hengstler(1979)는 Illinois대학에서 개발된 학과평가 조사지(Program Evaluation Survey)를 이용한 연구로 대학생들의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이 전공학과의 교육내용에 대한 일반적인 만족과 교수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의 두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결론으로는 첫째, 학과 에 대한 만족의 요인구조가 학과 및 학년에 관계없이 안정되어 있으며, 둘째, 학생 들의 일반적 특성들 예컨대, 성별․전공별․성적에 따라 요인별 학과만족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셋째, 교수와 관련된 변인들, 예를들어 연령, 연구실적 등에 따라 학생들의 학과만족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Derry & Brandenburg(1977)는 Braskamp 등과 비슷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학과만족을 ① 일반요인, ② 학업요인, ③ 교수요인의 세 개의 구성요인 으로 분석해 내었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의 구성요인을 추출 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외국연구 결과와는 약간 성격이 다른 요인들이 포함되어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나동진 등(1985)은 “전공-적성 불일치 학생 연구”에서 Braskamp 등이 사용한 검사를 번안해서 대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고유치 1.0이상을 기준으로 해서 세 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 요인들은 첫째, 전공학과에서 다루어지는 혹은 학습하는 내용의 지적 수준에 관한 요인, 둘째, 교수 -학생간의 정의적 관계와 관련된 요인, 셋째, 전공학문에 대한 일반적 태도와 관련 된 요인이다. 즉,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은 ① 전공의 교과내 용에 대한 만족, ② 교수-학생간의 관계에 대한 만족, ③ 전공학문에 대한 일반적

(20)

관심에 따른 만족의 세 개의 요인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장대운 등(1986)은 “전공적성 불일치 대학생의 전공학과 적응지도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기대수준, 역할갈등의 정도, 전공만족 등의 요인이 성적, 적성과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전공-적성 불일치 대학생의 전공학과 적응지도의 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또한 송유진(1995)은 “무용학과 학생들의 전공유형(현대무용, 한국무용, 발레를 중심으로)에 따른 전공만족에 대해 연구”를 하였으며 결론으로는 첫째,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는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둘째, 전 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는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 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혜숙(2000)은 “대학생의 학과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는 단과대학간 학과 만족 요인별 분석에서 전공학과에 따른 전공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결론지 었다. 즉 전공학과에 따라 전공만족의 하위요인인 교과만족, 관계만족, 일반만족, 인식만족, 학교만족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연구들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대부분의 연구들은 전공만족의 하위요인 만을 정의하는데 머무르고 있고, 대학생들의 전공유형별 전공만족도 연구는 아주 소수에 불과하다. 또한 체육계열 학생들에 대한 전공만족도 조사 연구도 아직은 없는 상태이다.

(21)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표본 추출과정에서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본 연 구의 대상을 2002년 6월 현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종합대학을 단순무 선표집(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4개 대학교를 선정한 후 체육계열 학생들 을 대상으로 전공유형 학과별로 각 대학 인원을 분배하여 총 420명의 인원을 본 연구의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배부된 총 420부의 설문지 중 19부를 제외한 401부가 회수되어 전체 회수율 95.4%이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되 거나 조사내용 중 일부가 누락된 무성의한 반응을 보인 설문지 19부를 제외하고 총 382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삼았다.

이 연구에 최종적으로 사용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1>과 같다.

표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변인 세부내용 빈도 백분율 계

성 별 남 자

여 자 259

123 67.8

32.2 382 학 교 S 대 학 교

H 대 학 교 K 대 학 교 Y 대 학 교

103 89 89 101

27.0 23.3 23.3

26.4 382 학 년 1 학 년

2 학 년 3 학 년 4 학 년

99 102 115 66

25.9 26.7 30.1

17.3 382 전 공 유 형 체육교육과

사회체육과 경기지도과 특수체육과

103 89 89 101

27.0 23.3 23.3

26.4 382 운 동 선 수

경 험 유 무 있 다

없 다 158

224 41.4

58.6 382 부 모 의

경 제 적 수 준

상 중 하

31 301

50

8.1 78.8

13.1 382

(22)

2. 조사도구

본 연구에서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도구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송유진(1995), 하혜숙(2000)의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 용하였다.

1) 설문지 구성

본 설문지의 주요 구성 내용은 <표2>와 같다.

표2. 설문지의 구성지표와 내용

변인 구성지표 구성내용(문항) Cronbach' α 문항

배경변인 인구통계학적특성

성별 (1) 학년 (1) 선수경험 (1) 부모의 경제적 수준 (1)

4

독립변인 전공유형 전공유형 (1) 1

종속변인 전공만족

교과과정 (8) 진로방향 (8) 사회적 인식 (6)

.8043 .7600 .8376

22

전 체 27

(23)

2) 예비검사

예비검사(pilot test)는 두 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첫 번째 예비검사는 전문가 집단 12명(사회학자 2인, K대학교 체육학과 석사 과정생 10인)을 대상으로 하였 는데, 검사목적은 설문내용의 적합성 및 설문 문항이 적용 가능한 내용인지를 파악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두 번째 예비검사는 본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40명을 대상 으로 실시하였다. 두 번째 예비검사 목적은 첫 번째 예비검사를 통하여 수정된 설 문지 내용의 적합성을 평가함과 아울러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설문지 초안은 예비검사를 통하여 질문내용의 적합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다 음, 신뢰도 계수인 Cronbach' α 값을 산출하였다. 앞의 표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신뢰도 계수는 .76에서 .83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신뢰도에는 문제 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3. 조사방법

본 연구에서는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 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먼저 연구자와 보조연구자 3명이 연구대상이 있는 해 당 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학교 담당자에게 협조를 구한 후 연구대상자들에게 설문 의 내용과 목적에 대한 간략히 설명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작성하 게 하였으며, 설문조사가 끝난 후 완성된 설문지를 직접 수거하였다.

4. 자료처리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과 전공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자료처리 방법 은 WINDOW용 SPSS PC+ 10.0 Versio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 적에 따라 분석하였다.

(24)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체적인 자료처리방법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²(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descriptive)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셋째,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descriptive)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한 후 사후검증 을 하였다.

(25)

Ⅳ. 결과 및 논의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첫째, 인구통 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의 차이,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의 차이, 셋째,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

1) 성별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

성별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 <표3>에서 보는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남학생의 비율이 여학생의 비율보다 높으며, 전공유형에 따라서는 어떤 특정 전공에 몰리는 것보다는 다양하게 퍼져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들어 체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긍정적인 체육문화에 대

표3. 성별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성별 합계

남자 여자

전공유형

체육교육 빈도 74 29 103

% 28.6 23.6 27.0

사회체육 빈도 60 29 89

% 23.2 23.6 23.3

경기지도 빈도 54 35 89

% 20.8 28.5 23.3

특수체육 빈도 71 30 101

% 27.4 24.4 26.4

합계 빈도 259 123 382

% 100.0 100.0 100.0

χ² 3.136

(26)

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사회에서는 체육관련 전공 분야에 대한 세분화되고 다양화된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대학에서의 체육관련 전공 분야의 다 양화 현상을 초래한 것으로 해석된다.

2) 학년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

학년별 전공유형의 차이는 <표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학년의 경우 경기지도와 특수체육 전공의 빈도가 높으며, 2학년의 경우는 체육교육이 높고, 3학년의 경우는 체육교육과 사회 체육이 높으며, 4학년의 경우는 사회체육과 특수체육이 높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에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차원에서 접근에 따른 특수체육에 대한 관심 그리고 여가 시간의 확대에 따른 여가활동으로서의 사회체육에 대한 의미 부여와 관심의 증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 된다.

표4. 학년별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학년별 합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전공유형

체육교육 빈도 20 36 34 13 103

% 20.2 35.3 29.6 19.7 27.0

사회체육 빈도 5 22 35 27 89

% 5.1 21.6 30.4 40.9 23.3

경기지도 빈도 37 26 25 1 89

% 37.4 25.5 21.7 1.5 23.3

특수체육 빈도 37 18 21 25 101

% 37.4 17.6 18.3 37.9 26.4

합계 빈도 99 102 115 66 382

% 100.0 100.0 100.0 100.0 100.0

χ² 67.290***

***p < .001

(27)

특히, 사회의 지속적인 고도화 성장과 함께 기계화와 과학화는 사람들에게 신체 활동의 측면에 있어서 급격한 감소 현상을 유발함으로써 건강․복지의 차원에서 신 체활동을 비롯한 체육의 중요성이 한층 강조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와 더불어 체육 관련 전공의 전문적인 세분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3)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는 <표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수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경 우 경기지도과에 진학하는 비율이 높으며, 반면에 선수경험이 없는 학생들의 경우 는 경기지도과보다는 체육교육이나 사회체육, 특수체육과로 진학하는 비율이 높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경기지도과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체육 교육과, 사회체육과 그리고 특수체육과에 진학하는 학생들에 비해 특정 종목의 운 동을 비롯한 운동에 대한 전문능력을 더 갖춘 것으로 해석된다.

표5.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선수경험 유무 합계

있다 없다

전공유형

체육교육 빈도 37 66 103

% 23.4 29.5 27.0

사회체육 빈도 34 55 89

% 21.5 24.6 23.3

경기지도 빈도 57 32 89

% 36.1 14.3 23.3

특수체육 빈도 30 71 101

% 19.0 31.7 26.4

합계 빈도 158 224 382

% 100.0 100.0 100.0

χ² 26.164***

***p < .001

(28)

이는 경기지도과를 졸업한 학생들의 향후 진로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즉 경기 지도과에 진학하는 학생들은 졸업 후 주로 엘리트 체육현장에서 전문적인 지도자로 활동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체육교육과나 사회체육과 그리고 특수체육과를 진 학하는 학생들은 졸업 후 주로 학교체육이나 사회체육, 재활치료 현장과 같은 비 엘리트 체육현장에 진출하여 활동하게 되기 때문에 대학 진학 전 선수경험의 유무 에 따라 전공을 선택하게 되는 유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 로 이해되어 진다.

4)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는 <표6>에서와 같이 부모의 경제적 수준이 중간인 집단에서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표6.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공유형의 차이에 대한 χ²검증결과

부모의 경제적 수준 합계

상 중 하

전공유형

체육교육 빈도 7 83 13 103

% 22.6 27.6 26.0 27.0

사회체육 빈도 9 63 17 89

% 29.0 20.9 34.0 23.3

경기지도 빈도 13 66 10 89

% 41.9 21.9 20.0 23.3

특수체육 빈도 2 89 10 101

% 6.5 29.6 20.0 26.4

합계 빈도 31 301 50 382

% 100.0 100.0 100.0 100.0

χ² 15.580**

**p < .01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분류에서 부모의 경 제적 수준이 중정도의 집단이 체육관련 전공에 진학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게

(29)

나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부모의 경제적 수준이 상정도의 집단에 서는 경기지도과의 진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경제적인 뒷받침의 중요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중 정도의 집단에서는 특수체육과 체육교육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하정도의 집단에서는 사회체육과와 체육교육과에 대한 진학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현실 적으로 부모의 경제적인 부분이 자녀들의 진학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2.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1) 성별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1)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평균 및 표 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7, 표8>에서 보는 바와 같 이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표7.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성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남 259 2.88 .52

여 123 2.88 .54

합계 382 2.88 .52

(30)

표8. 성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2.717 1 2.717 .001 .975

집단간 104.018 380 .274

합계 104.018 381

(2)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평균 및 표 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9, 표10>에서 보는 바와 같 이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 진로방향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표9.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남 259 2.94 .51

여 123 3.01 .54

합계 382 2.96 .52

표10. 성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385 1 .385 1.410 .236

집단간 103.708 380 .273

합계 104.093 381

(3)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평균 및

(31)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11, 표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표11.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남 259 3.34 .69

여 123 3.32 .57

합계 382 3.33 .65

표12. 성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4.824 1 4.824 .112 .738

집단간 163.368 380 .430

합계 163.416 381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성별에 따라 전공만족도, 즉 교과과정, 진로방향 그리고 사회적 인식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학교 교과과정 은 물론 진로방향과 사회적 인식의 측면에서 양성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과과정(2.88)과 진로방향(2.96), 그리고 사회적 인식(3.33)에 대한 평균의 비교에서 볼 수 있듯이,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 을 알 수 있다.

이는 최근 들어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국민들의 여가시간 확대에 따 른 여가활동으로서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활성화되면서 체육에 대한 인식과 함께 전 문체육 지도자는 물론 사회체육지도자에 대한 위상이 높아지고 좋아졌기 때문이라 고 분석된다.

(32)

2)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1)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실시한 평균 및 표준 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13, 표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해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측면 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의 정형화된 교육의 틀 속에서 대학의 자유로운 교육환경을 접하게 됨으로써 얻게 되는 상대적인 만족치로 이해되는 부분이다.

표13.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1학년 99 2.92 .50

2학년 102 2.83 .51

3학년 115 2.91 .50

4학년 66 2.86 .62

합계 382 2.88 .52

표14. 학년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551 3 .184 .672 .570

집단간 103.467 378 .274

합계 104.018 381

(2)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실시한 평균 및 표준

(33)

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15, 표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에 따라 진로방향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표15.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1학년 99 3.00 .43

2학년 102 2.95 .51

3학년 115 2.99 .58

4학년 66 2.88 .57

합계 382 2.96 .52

표16. 학년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703 3 .234 .857 .463

집단간 103.389 378 .274

합계 104.093 381

(3)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실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17, 표18>에서 보는 바 와 같이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에 따라 사회적 인식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 을 알 수 있다.

(34)

표17.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1학년 99 3.34 .67

2학년 102 3.33 .75

3학년 115 3.29 .56

4학년 66 3.41 .62

합계 382 3.33 .65

표18. 학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606 3 .202 .469 .704

집단간 162.810 378 .431

합계 163.416 381

위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도, 즉 교과과정, 진로방향 그 리고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 았다. 이는 체육관련 전공학과의 사회적인 역할의 한계점으로 이해되는 부분이다.

즉, 다른 전공이나 학과에 비해 체육관련 전공이나 학과는 사회적인 역할이나 진출 이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학과 진학생들이나 졸업생들의 의 식 또한 기존의 틀을 깨뜨리지 못하고 선배들의 자취를 답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 는 것으로 생각된다.

3)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1) 선수경험 유무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19, 표20>에서 보

(35)

는 바와 같이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경험의 유무가 교과과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19. 선수경험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유 158 2.89 .50

무 224 2.87 .54

합계 382 2.88 .52

표20. 선수경험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3.099 1 3.099 .113 .737

집단간 103.987 380 .274

합계 104.018 381

(2)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21, 표22>에서 보 는 바와 같이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경험의 유무가 진로방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21. 선수경험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유 158 2.91 .50

무 224 3.00 .54

합계 382 2.96 .52

(36)

표22. 선수경험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623 1 .623 2.288 .131

집단간 103.470 380 .272

합계 104.093 381

(3)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 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23, 표24>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선수경험 유무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에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수경험의 유무가 사회적 인식 에 대한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23. 선수경험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유 158 3.35 .64

무 224 3.32 .67

합계 382 3.33 .65

표24. 선수경험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7.908 1 7.908 .184 .668

집단간 163.337 380 .430

합계 163.416 381

선수경험의 유무 또한 전공만족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성별, 학년별에 따 른 전공만족도의 측면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으로, 체육과 관련한 사회적인 진출은 이 미 정형화된 선택의 틀 속에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계열에 비해 상대적인

(37)

기대감이나 열의에 대한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4)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1)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25, 표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 의 차이에서는 상, 중 정도의 집단이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안정적일수록 자식의 교육에 투자하는 비용이 높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표25.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상 31 2.90 .59

중 301 2.91 .51

하 50 2.72 .52

합계 382 2.88 .52

표26.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1.585 2 .792 2.932 .055

집단간 102.433 379 .270

합계 104.018 381

(2)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27,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38)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경 제적 수준이 진로방향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27.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상 31 2.94 .52

중 301 2.98 .51

하 50 2.84 .58

합계 382 2.96 .52

표28.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945 2 .473 1.736 .178

집단간 103.148 379 .272

합계 104.093 381

(3)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 여 실시한 평균 및 표준편차 그리고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29, 표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 도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 의 경제적 수준이 사회적 인식의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9)

표29.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상 31 3.15 .70

중 301 3.35 .63

하 50 3.33 .77

합계 382 3.33 .65

표30.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사회적 인식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1.130 2 .565 1.320 .268

집단간 162.286 379 .428

합계 163.416 381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전공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성별, 학년별, 선수 경험 유무에 따른 전공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부모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전공만족도, 즉 교과과정 만족도 측면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고 전반적으로 체육계열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 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에서 평균을 비교해 볼 때 교과과정과 진로방향 만족도 보다는 사회적 인식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었다.

이는 최근 들어 주 5일제 근무 등과 같은 국민들의 여가시간 확대에 따른 여가활 동으로서 스포츠활동 참여기회가 많아지면서 신체활동, 즉 체육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좋아지고 또 상대적으로 체육 지도자에 대한 위상이 상승작용하면서 부가적 인 결과로 나타나는 좋은 실례라 하겠다.

(40)

3. 체육계열 학생들의 전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1)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평균 과 표준편차 및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31, 표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체육교육 전공학생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기지도, 특수체육 전공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체육 전공이 가 장 낮은 수준을 보여줌으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송유진(1995), 하혜숙(2000)등이 분석한 연구와 일치하는 내용 으로서, 체육교육과가 사회체육이나, 경기지도, 그리고 특수체육보다는 전통적으로 오래된 학과이기 때문에 교과과정이 더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다.

표31.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체육교육 103 3.02 .56

사회체육 89 2.71 .58

경기지도 89 2.89 .43

특수체육 101 2.88 .48

합계 382 2.88 .52

표32.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4.574 3 1.525 5.796 .001

집단간 99.444 378 .263

합계 104.018 381

(41)

표33.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사후검증

(I) 전공유형 (J) 전공유형

Mean

Difference (I-J) 유의도

체육교육과 사회체육과 .3089* .001

경기지도과 .1263 .409

특수체육과 .1358 .313

사회체육과 체육교육과 -.3089* .001

경기지도과 -.1826 .133

특수체육과 -.1732 .147

경기지도과 체육교육과 -.1263 .409

사회체육과 .1826 .133

특수체육과 9.428 .999

특수체육과 체육교육과 -.1358 .313

사회체육과 .1732 .147

경기지도과 -9.4282 .999

구체적으로 전공유형에 따른 교과과정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사후결과를 살펴보 면 <표 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육교육과 사회체육 전공자 간의 교과과정 만족도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체육교육과와 사회체육과가 교과과정은 물론 모든 기본 체제의 측면에서 상이한 학문 분야에 밑바탕을 두고 있 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교육과정은 사회체육과의 교과과정을 체육의 한 울타리에 서 기존의 체육교육과와 똑같은 과목, 틀 그리고 방식으로 운영함으로써 전공분야 의 차별성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교육의 질을 저해하고 전공만족도, 즉 교과과정 의 만족도에 부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생각된다.

2)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평균 과 표준편차 및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34, 표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차이에서는 체육교육 전공학생들이 가장 높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특수체육전공학생이 높게 나

(42)

타났다. 이러한 분석내용은 송유진(1995)의 연구와는 상반되는 분석 내용으로서 연구대상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즉 송유진의 연구는 무용과 학 생들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이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난 것 같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체육교육 전공자들의 경우는 임용시험을 통해 체육교사로 나 아갈 수 있는 진로가 확실하게 제시되어 있고, 특수체육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경우 에도 특수교사로서의 위치가 주어지는 반면, 다른 전공자들, 특히 사회체육을 전공 하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미래의 진로가 불투명하거나 제한적이기 때문에 진로에 대 한 만족도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표34.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체육교육 103 3.11 .46

사회체육 89 2.82 .61

경기지도 89 2.85 .51

특수체육 101 3.03 .47

합계 382 2.96 .52

표35.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일원변량분석

자승화 자유도 평균자승화 F값 유의도

집단내 5.337 3 1.779 6.809 .001

집단간 98.756 378 .261

합계 104.093 381

구체적으로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사후결과를 살펴보 면 <표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육교육 전공자와 사회체육 및 경기지도 전공자간 에 진로방향 만족도 측면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반면 특수체육 전공자와는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43)

표36. 전공유형에 따른 진로방향 만족도의 사후검증

(I) 전공유형 (J) 전공유형

Mean

Difference (I-J) 유의도

체육교육과 사회체육과 .2811* .003

경기지도과 .2531* .009

특수체육과 7.588 .771

사회체육과 체육교육과 -.2811* .003

경기지도과 -2.8090 .987

특수체육과 -.2053 .056

경기지도과 체육교육과 -.2531* .009

사회체육과 2.8090 .987

특수체육과 -.1772 .130

특수체육과 체육교육과 -7.5880 .771

사회체육과 .2053 .056

경기지도과 .1772 .130

3) 전공유형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

전공유형에 따른 사회적 인식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평 균과 표준편차 및 일원변량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37, 표38>에서 보는 바 와 같이 전공유형에 따른 사회적 인식의 차이에서는 체육교육, 사회체육, 특수체육 전공학생의 순으로 높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내용은 하혜숙(2000)의 연구와는 일치하는 결과로서, 국민들의 운동 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체육에 대한 인식이 좋아졌을 뿐만 아니라 체육학과 전 공자의 경우에는 교사로서의 위치가 사회적인 인식에 긍정적인 작용을 한 것으로 해석되고, 사회체육 전공자나 특수체육 전공자의 사회적인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이 와 더불어 사회적인 인식이 긍정적으로 높아졌기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반면 경 기지도 전공자의 경우에는 엘리트 체육의 현장에서 지도자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서 승패의 문제가 결부되어 때로는 부정적인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고, 때로는 긍정 적인 인식을 유발함으로써 경기지도 전공자들이 사회적 인식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 하는 요인으로 커다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조

관련 문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 - management of dance major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 -

Situate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socio‐scientific issues as contexts for practice?. What Major “Socio-Scientific Topics” Should the Science Curriculum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ports leaders, the leader's ethical consciousness and the game situation

Sudden physical change causes students to have psychological nervous status and has a negative impact on singing which has the greatest weight in music education,

First, the degree of exercise participation of weight lifting hobbyists did not differ according to gender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ut the

First, for the degree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highest level was withdrawal/depression, followed

First, the level of career barriers of visually impaired university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ir majors, but the level

First, Among the variations in the variable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leader mentor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