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3. 선행연구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Epstein & Mcpartland(1976)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이 세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혔다. 그 들은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이 학교생활의 형식적 및 비형식적 측면을 포함한 다양 한 요인들, 예컨대, 그들의 사회적 경험, 학습과제와 관련된 경험 및 교사 혹은 동 료들과의 상호관계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고, 이 요인들을 독립적으 로 측정할 수 있는 세 개의 하위검사를 제작하였다. 그들은 주 요인분석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방법 및 Sechrest 방법을 적용해서 세 개의 하위검사가 각기 독립적인 요인들을 측정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학교생활만족의

구인은 ① 학교생활에 대한 일반적인 지각(일반요인). ② 학과공부에 대한 지각 (학업요인). ③ 교수-학생의 상호관계에 대한 지각(교사요인)이다.

Braskamp, Wise & Hengstler(1979)는 Illinois대학에서 개발된 학과평가 조사지(Program Evaluation Survey)를 이용한 연구로 대학생들의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이 전공학과의 교육내용에 대한 일반적인 만족과 교수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의 두 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결론으로는 첫째, 학과 에 대한 만족의 요인구조가 학과 및 학년에 관계없이 안정되어 있으며, 둘째, 학생 들의 일반적 특성들 예컨대, 성별․전공별․성적에 따라 요인별 학과만족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며, 셋째, 교수와 관련된 변인들, 예를들어 연령, 연구실적 등에 따라 학생들의 학과만족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Derry & Brandenburg(1977)는 Braskamp 등과 비슷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학과만족을 ① 일반요인, ② 학업요인, ③ 교수요인의 세 개의 구성요인 으로 분석해 내었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의 구성요인을 추출 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외국연구 결과와는 약간 성격이 다른 요인들이 포함되어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나동진 등(1985)은 “전공-적성 불일치 학생 연구”에서 Braskamp 등이 사용한 검사를 번안해서 대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요인분석을 한 결과 고유치 1.0이상을 기준으로 해서 세 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 요인들은 첫째, 전공학과에서 다루어지는 혹은 학습하는 내용의 지적 수준에 관한 요인, 둘째, 교수 -학생간의 정의적 관계와 관련된 요인, 셋째, 전공학문에 대한 일반적 태도와 관련 된 요인이다. 즉,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은 ① 전공의 교과내 용에 대한 만족, ② 교수-학생간의 관계에 대한 만족, ③ 전공학문에 대한 일반적

관심에 따른 만족의 세 개의 요인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장대운 등(1986)은 “전공적성 불일치 대학생의 전공학과 적응지도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기대수준, 역할갈등의 정도, 전공만족 등의 요인이 성적, 적성과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전공-적성 불일치 대학생의 전공학과 적응지도의 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또한 송유진(1995)은 “무용학과 학생들의 전공유형(현대무용, 한국무용, 발레를 중심으로)에 따른 전공만족에 대해 연구”를 하였으며 결론으로는 첫째, 학년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는 진로방향에 대한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둘째, 전 공유형에 따른 전공만족의 차이는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 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혜숙(2000)은 “대학생의 학과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는 단과대학간 학과 만족 요인별 분석에서 전공학과에 따른 전공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결론지 었다. 즉 전공학과에 따라 전공만족의 하위요인인 교과만족, 관계만족, 일반만족, 인식만족, 학교만족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연구들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대부분의 연구들은 전공만족의 하위요인 만을 정의하는데 머무르고 있고, 대학생들의 전공유형별 전공만족도 연구는 아주 소수에 불과하다. 또한 체육계열 학생들에 대한 전공만족도 조사 연구도 아직은 없는 상태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