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청일전쟁의 동아시아적 의미

문서에서 목 차 (페이지 46-51)

청일전쟁은 동아시아 삼국인 조선, 청, 일본의 관계에 일대 전환을 가져왔다. 청일전쟁의 평가에 대해서는 일본을 제국주의로, 청을 반식민지로, 조선을 식민지로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청 일전쟁 직후 조선과 청이 반식민지로 전락한 것은 확실하지만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반일, 반제국주의 민족운동이 조선과 청에서 일어나고 있었다는 측면도 청일전쟁을 평가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는 평가도 있다.

청일전쟁 과정에서 일본은 조선에 친일정권을 수립하여 조선의 '보호국'화 정책을 계획 대로 진행해가고 있었다. 그리고 조선에서 각종 이권을 탈취하는 동시에 군사동맹으로 조선 군대를 동원하여 조선의 반일운동 을 진압하기도 했다. 평양전투 이후 일본군을 격퇴하기 위해 전봉준 등 동학농민군은 제2차 동학농민전쟁을 일으켰다. 이를 계기로 항일운동은 여러 지역과 계층으로 퍼져나가 일본의 조선정책에 타격을 주었다.

한편 청은 패전 결과 1895년 4월에 일본과 시모노세키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청은 요동반도, 대만, 팽호 열도를 일본에 떼어주고, 일본에 군사비로 은 2억냥을 배상했다. 그리고 일본이 청에서 공장을 세우거나 개항장을 증설하는 것을 허락했다. 이 조약으로 청의 반식민지화는 점차 심해져갔다.

당시 청 지식인은 청의 패배에 대해 "나는 갑오전쟁 패전의 소식을 고향에서 듣고서, 나의 둘째 형과 통곡 하였다. 이는 실로 전대미문의 망국조약이었다... 전에는 우리나라가 서방 대국에게 패배했었는데 현재는 동 방의 소국에게 패배하였다. 이렇게 참담하게 실패하였을 뿐 아니라 조약이 이렇게 가혹하니 정말 큰 치욕"(화 동사범대학출판사가 펴낸 『중국역사』 교과서에 게재된 내용의 일부)이라고 고백하기도 했다.

청국인에게 청일전쟁은 전통적인 중국 중심의 전통질서가 붕괴되는 지점이었다. 그러나 이후 제국주의 침 략에 대항하는 청국인의 반침략운동의 측면에서 본다면 청일전쟁은 망국의 위기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모아 지는 출발점이기도 했다.

일본은 시모노세키조약 체결 결과 얻은 청일전쟁 배상금과 이후 삼국간섭에 의해 요동반도를 청에 반환하 면서 받은 반환비를 합하여 총 2억 3,150만냥을 거머쥐었다. 이 배상금액은 일본 화폐로 환산하면 3억 4,725만 엔이었다. 당시 청정부의 매년 수입은 8,890만냥이었다고 한다. 일본은 청일전쟁으로 받은 배상금의 88%인 약 3억 500만엔을 군비확충으로 사용했고, 58만엔을 철강공업에 사용하였다. 청으로부터 받은 배상금은 일 본이 청일전쟁 이후 제국주의로 부상하는 데 요긴하게 쓰여졌던 것이다.

청일전쟁의 전개와 그 동아시아적 의미 47

참고문헌

王信忠, 1936 「中日甲午戰役之外交背景」北京 : 淸華大學出版部.

信夫淸三郞 編, 1974 「日本外交史 1853-1972」 Ⅰ, 東京 : 每日新聞社.

韓國史硏究會 編, 1985 「淸日戰爭과 韓日關係 ―日本의 對韓政策形成에 관한 硏究 ―」 一潮閣.

朴英宰 譯(朴宗根 著), 1989 「淸日戰爭과 朝鮮 ― 外侵과 抵抗 ― 」 一潮閣.

김승일 옮김(무쓰 무네미쓰 지음), 1993 「건건록」 범우사.

柳永益 외, 1996 『淸日戰爭의 再照明』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大江志乃夫, 1998 『東アジア史としての日清戦争』 立風書房.

權赫秀 譯(陳偉芳 著), 1999 『淸·日 甲午戰爭과 朝鮮』 백산자료원.

具仙姬, 1999 『韓國近代 對淸政策史 硏究 』 혜안.

朴英宰, 2000 「청일전쟁」 『한국사』 40, 국사편찬위원회.

박맹수 옮김(나카츠카 아키라 지음), 2002 「1894년, 경복궁을 점령하라!」 푸른역사.

具仙姬, 2006 「청일전쟁의 의미-조·청 ‘속방’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37, 한국근현대사학회.

강효숙, 2008 「황해·평안도의 제2차 동학농민전쟁」 「한국근현대사연구」 47, 한국근현대사학회.

강효숙, 2009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조선병참부 -황해·평안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연구」 51, 한국근현대사학회.

서민교, 2010 「청일전쟁기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내각의 조선에 대한 군사·외교정책」 「일본역사연구」 32, 일본사학회.

김지훈, 2014 「현대중국 역사교과서의 청일전쟁 인식」「역사와 세계」 46, 효원사학회.

『언덕 위의 구름』과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郎)의 청일전쟁관

이 복 임(한남대학교)

『언덕 위의 구름』과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郎)의 청일전쟁관 51

『언덕 위의 구름』과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郎)의 청일전쟁관 51

이 복 임(한남대학교)

문서에서 목 차 (페이지 4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