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청소년의 사회자본과 주관적 행복감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8-71)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청소년의 사회자본과 주관적 행복감에 대해서 그동 안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되어 온 선행연구들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3개의 중학교와 3개의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 (구조적 특성은 사회적 관계의 유형별 관계망의 크기와 접촉 빈도를, 기능적 특성은 사회적 관계의 유형별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등)과 주관적 행복감(삶 의 만족도와 부정적 정서, 긍정적 정서) 간의 관계에 대한 이은주(2011)의 연 구결과를 보면,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사회적 관계망을 살펴 보면 삶의 만족도에는 사회적 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관계망과 사회적 지지의 규모가 긍정적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 며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등은 부정적 정서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4학년 이상 고등학교 이하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여가활동 유형을 통한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분석한 박민정(2012) 의 연구결과를 보면, 사회적 관계(학생 본인과 친구, 학교 선생님, 사교육 선생 님, 아버지, 어머니 등의 관계)와의 관계가 양호하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수준 은 높게 나타났으며, 청소년들이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주관적 행복수준의 차 이에 대해서는 실내외활동 다양형과 적극적 여가참여형의 주관적 행복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과 긍정적 정서와는 정적 상관관계, 부정적 정서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음

박미라

(2017) 부모 양육태도 주관적 행복감

부모 양육태도와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행복감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

19∼24세 후기청소년들에 대한 개인수준에서 측정되는 사회자본(비공식 적 인 집단 관계망, 공식적인 집단 관계망, 정부 조직신뢰, 사적 대인신뢰, 사회 조직신뢰, 규범, 사회적 대인신뢰)이 주관적 복지감(정서적 측면인 행복감과 인 지적 측면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서정아(2013)의 연구 결과 먼저 개인수준과 국가수준 모두에서 공식적 집단 관계망을 제외하고 규범, 사 회 조직신뢰, 사적 대인신뢰, 정부 조직신뢰, 비공식적 집단 관계망, 사회적 대 인신뢰가 높아질수록 행복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회자본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개인수준에서는 공식적 집단 관계망, 사회 조직신뢰, 사회적 대인신뢰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사적 대인신뢰, 정 부 조직신뢰, 비공식적인 집단 관계망, 규범이 높아질수록 생활만족도가 향상되 었으며, 국가수준에서는 공식적 집단관계망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지만, 정부 조직신뢰, 사회적 대인신뢰, 규범, 사회 조직신뢰, 비공식적 집 단 관계망, 사적 대인신뢰 수준이 높아질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졌다.

지역아동센터와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 복지 참여를 통한 청 소년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정무 성·김은아(2013)의 연구결과를 보면, 소외계층 청소년의 문화자본과 사회자 본이 양호할수록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가족사회자본과 사회관계 및 문 화자본과 농촌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장혜진 (2014)의 연구결과를 보면, 가족사회자본의 하위요인인 부모자녀관계, 부모감 독, 학교관여, 학구적 사회화 중 부모자녀관계와 학교관여만 청소년의 삶의 만 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학교폭력과 아동·청소년의 정 서와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박재근(2015)의 연구결과를 보면, 초등학생 집단에서는 사회자본 중 형제자매관계, 교사관계, 이웃유대, 이 웃규범은 부분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중학생 집단에서는 부모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친 요 인을 분석한 이홍직(2016)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는 남 학생인 경우에, 저학년 학생이, 가계의 경제적 수준이 높은 경우에, 성적이 우 수한 경우에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자본 요인 중에서는 가 족신뢰와 학교신뢰가 높은 경우, 의논상대가 있는 경우에, 동아리 활동 경험이 있을수록, 그리고 청소년의 참여 권리에 대한 보장을 인식하고 있을수록, 인권 감수성과 태도의 수준이 높은 경우에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1, 2학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내적 발달자 산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구조관계를 분석한 박주현(2017)의 연구결과를 보 면,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주관적 행복감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상과 같은 청소년의 사회자본과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 면 <표 2-10>과 같다.

<표 2-10> 청소년의 사회자본과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선행연구

연구자 연구변수

독립변수 종속변수 연구결과

이은주 (2011)

사회적 관계망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등은 삶의 만족도에, 사회적 지지,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는 긍정적 정서에, 사회적 갈등,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 정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

박민정

(2012) 사회적 관계 주관적 행복감

사회적 관계가 양호할수록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수준 은 높게 나타났음

서정아

(2013) 사회자본 주관적 복지감

개인수준과 국가수준 모두에서 공식적 집단 관계망을 제외하고 사적 대인신뢰, 비공식적 집단 관계망, 사회 적 대인신뢰, 사회 조직신뢰, 정부 조직신뢰, 규범이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