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교육과정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교육부(2009),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09-41호

교육부(2012),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2-14호 교육부(2015),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교육부(2017), 2015 개정교육과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교육부(2018),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기준, 중학교 국어과

교육부(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중학교 국어)」, 대전광역시교육 청.

2. 교과서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교과서 9종 남미영 외, 『중학교 국어 2-1』, 교학사, 2018

남미영 외, 『중학교 국어 2-2』, 교학사, 2018 류수열 외, 『중학교 국어 2-1』, 금성출판사, 2018 류수열 외, 『중학교 국어 2-1』, 금성출판사, 2018 이은영 외, 『중학교 국어 2-1』, 동아출판, 2018 이은영 외, 『중학교 국어 2-2』, 동아출판, 2018 신유식 외, 『중학교 국어 2-1』, 미래엔, 2018 신유식 외, 『중학교 국어 2-2』, 미래엔, 2018 김진수 외, 『중학교 국어 2-1』, 비상교육, 2018 김진수 외, 『중학교 국어 2-2』, 비상교육, 2018 이삼형 외, 『중학교 국어 2-1』, 지학사, 2018 이삼형 외, 『중학교 국어 2-2』, 지학사, 2018 이도영 외, 『중학교 국어 2-1』, 창작과비평, 2018 이도영 외, 『중학교 국어 2-2』, 창작과비평, 2018

노미숙 외, 『중학교 국어 2-1』, 천재교육, 2018 노미숙 외, 『중학교 국어 2-2』, 천재교육, 2018 박영목 외, 『중학교 국어 2-1』, 천재교육, 2018 박영목 외, 『중학교 국어 2-2』, 천재교육, 2018

3. 단행본

박영목(2011),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 박이정.

최숙기(2011), 『중학생 읽기 발달을 위한 읽기 교육 방법론』, 역락.

이경화, 박영민 외(2007) 『교과 독서와 세상 읽기』, 박이정.

천경록 외(2012), 『독서 교육론 : 독해과정의 이해와 지도』, 박이정, 한국어문교육연구소, 『독서교육사전』, 교학사.

이순영(2015), 『독서교육론』, 사회평론.

노명완(2012),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송승훈(2014), 『함께 읽기는 힘이 세다』. 서해문집.

4. 논문

읽기지도 및 독서일반

김주환, 이순영(2014). 학교 독서정책의 핵심 쟁점과 과제, 『독서연구』 제31호, 41-69쪽.

안지현(2015), 학교 독서교육 활성화 정책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영목(1995), 독서 능력 신장 방안 연구, 국어교육, 89호, 한국어교육학회.

박영민(2006), 중학생 읽기 동기의 요인, 『독서연구』 제16권 제16호, 한국독서학회.

박영민, 최숙기(2008), “읽기 동기 신장을 위한 자기 선택적 독서 프로그램 구성 방 안”, 『독서연구』 제19권 제1호, 한국독서학회.

한철우(2005), “학교 독서 지도의 방향과 과제”, 『독서연구』 제14호, 한국독서학회.

최숙기(2009), “중학생 읽기 효능감 구성 요인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국어교육 학회.

2015 개정교육과정

서영진(2015),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과 향후 과제-공통 교육과 정 국어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제56권, 67-106쪽.

박미연(2017), 국어과 교육과정개정 과정과 결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2009 개정에 서 2015 개정을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연구』 제12집 1호(통권 22호), 37-66 쪽.

김창원(2014), 2015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방안-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과 과제, 『청람어문교육』 제51권, 7-37쪽.

김창원 외(2015)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보고 CRC 2015-25-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최영임(2017), 2015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독서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제48권, 429-48쪽.

이순영(2011), 21세기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탐색-미국의 ‘공통핵심기준’의 특성과 시사점 분석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43집, 청람어문교육학회.

교과서 분석

안혜령(2012), 중학교 2학년 국어교과서 읽기 단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혁녀(2018),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10학년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종현(2018),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비판적 검토(1학년 현대시 작품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 학기 한 권 읽기

김영란 외(2018), 교과통합적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위한 제반 여건 탐색, 독서연 구 제 48호.

김영란(2019) ,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함의, 독서연구 제 51호.

김라연(2018),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교육적 적용 사례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8(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49-1269.

김혜정(2016), 2015 개정 읽기/독서 교육과정의 내적 논리와 몇 가지 쟁점들. 국 어교육연구, 62, 국어교육학회, 171-196.

소병문, 송기호(2018),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내 한 학기 한 권 읽기 학습활동의 실현양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지, 29(3), 한국비블리아학회, 209-228.

이소라(2018), 2015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한 학기 한 권 읽기’

반영양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9),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07-830.

신현석(2018),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교과서 ‘한 학기 한 권 읽 기’ 단원 연구.

장은섭(2018), 2015 개정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교과서 ‘한 학기 한 권 읽기’ 단원 구성 양상 분석, 국어교육, 161. 한국교육학회, 253-281.

전소연(2018), ‘한 학기 한 권 읽기’ 독서 프로그램 설계방안 연구. 아주(대학교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반정이(2017), ‘천천히 깊이 읽기’ 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BSTRACT>

A Case Study on ‘Reading One Book in a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