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김안중(1995). “학교의 본질 : 오늘날 학교의 기능은 그 본질에 충실한가?” 교 육 학 연 구 제33권 제14호. pp.21-34. 한국교육학회.

김억환(1988). 신 교 육 사 회 학 입 문 . 서울: 배영사.

김영지(1994). “가출 청소년의 삶과 문화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찬・이인효(1990). “고등학생의 생활과 문화 1.” 학 교 의 사 회 문 화 적 특 성 과 기 능 .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6). “한국인의 교육관-그 문화적 원천.” 새 교 육 28권12호. pp.42-47.

김영화(1992). “학부모의 교육열 : 사회계층간 비교를 중심으로.” 교 육 학 연 구 제30권 제4호. 한국교육학회.

김윤용(1991a). “가족이기주의에 편승한 망국병.” 월 간 우 리 교 육 12월호.

서울: 도서출판 우리교육.

(1991b). “범람하는 학습지 이대로 둘 수 없다.” 월 간 우 리 교 육 1월호.

서울: 도서출판 우리교육.

김인회(1991). “한국인의 교육열, 그 허와 실.” 대 학 교 육 50집. pp.71-77.

김창남(1995). 대 중 문 화 와 문 화 실 천 . 서울: 한울아카데미.

김태련(1995). “청소년기의 특성과 발달과업.” 현 대 사 회 와 청 소 년 지 도 . pp.49-70. 서울: 배영사.

김희복(1992). “학부모문화연구: 부산지역 중산층의 교육열.” 서울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나병헌(1991). “교육의 자율성 연구-교육의 자율성을 부정하는 입장에 대한 비 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목영해(1991).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적 인간상.” 교 육 학 연 구 제29권 제1호.

pp.115-130. 한국교육학회.

미메시스(1993). 신 세 대 :네 멋 대 로 해 라 . 서울: 현실문화연구.

박남기(1994). 한국인의 교육열 이해를 위한 대안적 관점 . 교 육 학 연 구 제32권 제5호. pp.185-206. 한국교육학회.

박남숙(1986). “중•고등학교의 비판적 학생문화 형성가능성에 대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명진(1991). “즐거움(Pleasure), 저항, 이데올로기.” 서울대 사회과학연구(편).

사 회 과 학 과 정 책 연 구 . 제13권 제2호.

배수옥(1991). “재수생들의 생활과 배움.”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종근・이미나(1988). 한 국 교 육 의 실 체 . 서울: 교육과학사.

석태종(1994). 학 교 교 육 론 . 서울: 교육과학사.

(1993). 교 육 사 회 학 . 서울: 교육과학사.

설석환(1990). “교육의 병리현상과 학생의 신체・정신건강과의 관계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병순(1993). 현 대 사 회 와 교 육 . 서울:양서원.

심성보(1995). 전 환 시 대 의 교 육 사 상 . 서울: 학지사.

안귀덕(1990). “고등학생의 생활과 문화 2.” 학 교 의 사 회 문 화 적 특 성 과 기 능 .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엄성민(1993). “1980년대 고등학교 학생저항의 유형과 특성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욱환(1996). “현대 한국사회에서 가족과 교육의 관계 탐색.” 교 육 과 사 회 변 동 . pp.307-319. 서울: 교육과학사.

(1990a).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과 학생들이 배우는 것:한 사회학적 논 의.” 교 육 과 불 평 등 . pp.14-60. 서울: 교육과학사.

(1990b). “한국 대학교육 확장의 사회학적 해석.” 교 육 과 불 평 등 . pp.88-116. 서울: 교육과학사.

원석조(1992). “자본주의사회와 청소년문제.” 한 국 청 소 년 연 구 제9호. 한국청소 년연구원.

원효택・이규민(1995).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현 대 사 회 와 청 소 년 지 도 . pp.371-400. 서울: 배영사.

이강수(1983). “청소년문화와 대중문화.” 현 대 사 회 와 청 소 년 . pp.278-294. 서울: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이건만(1995). 마 르 크 스 주 의 교 육 사 회 학 . 서울: 교육과학사.

이규민(1992). “학력주의 사회의 형성조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나(1987). “학교교육에 대한 문화기술 연구의 비판적 검토-저항이론의 관점에서.” 교 육 이 론 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이수호(1990). “현장의 교육상황과 교육민주화 운동.” 안범희(편) 교 육 민 주 화 : 발 전 적 시 론 . 춘천: 강원대학교 출판부.

이인효(1995). “학교구성원의 삶과 문화 : 교사와 학생 그들은 행복한가?” 교 육 학 연 구 제3권 제4호. 한국교육학회.

(1994). “‘모범생’만들기:인문계 고등학교의 생활규율.” 교 육 이 론 제9권 제1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박현청(1993). “교육열의 구조에 대한 문화기술.” 교 육 진 흥 20집.

(1991). “입시위주 수업의 실제.” 교 육 이 론 제6권 제1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1990a). “고등학생의 생활과 문화(Ⅰ) : 문화기술연구.” 학 교 의 사 회 문 화 적 특 성 과 기 능 .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b). “인문계 고등학교 교직문화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이창진(1993). “고교생의 반학교 문화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인문계 여자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청(1989). “사회저항이론의 패러다임 설정에 관한 연구.” 부 산 사 대 논 문 집 제18집. 부산대학교.

이용교(1993). “청소년의 생활시간.” 청 소 년 문 화 론 . 한국청소년개발원편.

pp.115-130. 서울: 양서원

이용숙(1992). “한국 중등학교 문화의 특성.” 한 국 청 소 년 연 구 제9호. pp.15-33.

한국청소년개발원.

이종각(1995a). 교 육 인 류 학 의 탐 색 . 서울: 하우.

(1995b). 교 육 사 회 학 신 강 . 서울: 동문사.

(1990). “교육경쟁양식과 교육경쟁구조: 1차 논의.” 한 국 사 회 와 교 육 갈 등 . pp.23-46. 서울: 양서원.

(1989) “연합적 경쟁구조와 학생 삶의 구속논리-학생 삶의 해방을 위한 논리 구성을 위한 예비적 분석.” 안범희 편. 교 육 민 주 화 : 발 전 적 시 론 . pp.237-272. 강원대학교 출판부.

(1988a). “한국 교육의 역사적 현재구조의 파악을 위한 상상력.” 한국교육 의 중층성 분석세미나 발표논문. 한국교육개발원.

(1988b). “학교수업방법의 사회-문화적 맥락.” 고형일 외. 학 교 학 습 탐 구 .

pp.124-178. 서울: 교육과학사.

임용수(1996). “한국 학력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에 대한 고찰-M. Harris의 문화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교 육 학 연 구 제34권 제5호. pp.465-486. 한국 교육학회.

장원섭(1991). 대입 재수생 누적현상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접근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명주(1986). “학교교육에 있어서 재생산이론의 비판적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정길주(1986). 사 회 심 리 학 . 서울: 법문사.

정경희(1983). “청소년문화와 대중문화(2).” 현 대 사 회 와 청 소 년 . pp. 295-306.

서울: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정범모외(1993). 교 육 의 본 연 을 찾 아 서 . 서울: 나남.

정우현(1990). 교 육 사 회 학 연 구 . 서울: 교육과학사.

조용환(1995). “학교구성원의 삶과 문화 : 교사와 학생, 그들은 행복한가?”

교육학연구 제33권 제4호. 한국교육학회.

주은우(1994). “90년대 한국의 신세대와 소비문화.” 경 제 와 사 회 제 21호.

최윤진(1993). “청소년 연구영역의 탐색 : 청소년 활동현장을 중심으로.” 한 국 청 소 년 연 구 제12호.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1993).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PR 93-21.

(1989a). 한국 고학력화 현상의 진단과 대책.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M 89-2.

(1989b). 고학력화 현상의 진단과 대책:재수생과 대졸 실업문제 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PR 89-17.

(1986). 한국인의 교육관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86-15.

한국청소년연구원(1990). “청소년 전용 놀이마당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원.

한대동(1992). 고등교육 획득의 분화 및 계층화의 결정과정과 요인. 교 육 사 회 학 연 구 제2권 1호. pp.117-145. 교육사회학연구회.

한상훈(1995). “대중문화와 학교문화에 관한 비교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한숭희(1989).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삶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 교육문제연구회(편). 한 국 교 육 문 제 연 구 . 서울: 푸른나무.

한준상(1996). 학 교 스 트 레 스 .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2). “한국의 중등교육 정상화와 학력주의.” 교 육 진 흥 16집. pp.18-35.

(1991). 한 국 교 육 의 갈 등 구 조 .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8). “입시제도를 혁명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 신 동 아 2월호.

pp.378-389

(1985). 교 육 사 회 학 이 론 과 연 구 방 법 론 . 서울: 문음사.

홍경자(1995). “현대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콤플렉스에 관한 접근.” 현 대 사 회 와 청 소 년 지 도 . pp.401-436. 서울: 배영사.

홍웅선(1988). “한국 교육이 추구하는 인간 특성.”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황정규(1992). “한국청소년 문화의 개념과 특성의 개량적 분석.” 청 소 년 문 화 의 변 천 과 정 . pp.1-92.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황창순(1992). “청소년문화와 질적연구방법론.” 한 국 청 소 년 연 구 제11호. 한국청 소년개발원.

<번 역 서 >

Apple, M. W. (1982). Education and Power. 최원형(역)(1989). 교 육 과 권 력 . 서울: 한길사

(1979). Idelogy and Curriculum. 박부권 외(역)(1989). 교 육 과 이 데 올 로 기 . 서울: 한길사.

Baudrillard, J. (1970). La Soci t de Consommation. 이상률(역)(1996). 소 비 의 사 회 . 서울: 문예출판사.

Collins, R. (1984). The Credential Society. 정우현(역)(1989). 학 력 주 의 사 회 . 서울: 배영사.

Freire, P. (1973).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채광석(역)(1979). 교 육 과 의 식 화 . 서울: 새밭.

(1970). Pedagogy of the Oppressed. 성찬성(역)(1988). 페 다 고 지 . 광주:

광주.

Fromm, E. (1981). On Disobedience and Other Essays. 홍순범(역)(1990). 반 항 과 자 유 . 서울: 문예출판사.

Gibson, R. (1986). Critical theory and Education. 이지헌・김회수(역)(1995). 비 판 이 론 과 교 육 . 서울: 성원사.

Giroux, H. A. (1983). Theory and Resistence in Education. 최명선(역)(1990).

교 육 이 론 과 저 항 . 서울: 성원사.

Spring, J. (1975). A Primer of Libertarian Education. New York. Free Life Editions. 심성보(역)(1985). 교 육 과 인 간 해 방 . 서울: 사계절.

Sarup, M. (1983). Marxism, Structuralim, Education. 한준상(역)(1988). 신 교 육 사 회

학 . 서울: 문음사.

(1978). Marxism, Education. 이혜영 외(역)(1988). 마 르 크 스 주 의 와 교 육 이 론 . 서울: 한길사.

Spradley, J. P. (1979). Participant Observation. 이희봉(역)(1994). 참 여 관 찰 방 법 .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Willis, P. (1981). Learning to Labor. 김찬호・김영훈(역). 교 육 현 장 과 계 급 재 생 산 . 서울: 민맥.

<원 서 >

Geertz, C. (1973).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New York: Basic Books.

Hurn, C. (1978).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Schooling. Boston: Allyn and Bacon, Inc.

Langness, L. (1975). The Study of Culture. San Francisco: Chandler & Sharp Publishers.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