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2-46)

1. S. Badre, C. C. Goncalves, K. Norinaga, G. Gustavson, O. C. Mullins, Fuel, 2006, 85, 1-11.

2. J. G. Speight, The Chemistry and Technology of Petroleum, Marcel Dekker, New York, 1980.

3. H. Groenzin, O. C. Mullins, J. Phys. Chem. A, 1999, 103, 11237-11245.

4. D. Fenistein, L. Barre, D. Broseta, D. Espinat, A. Livet, J.-N. Roux, M.

Scarsella, Langmuir, 1998, 14, 1013-1020.

5. J. M. Son, J. Shin, Y. Yang, J.-S. Kim, Y. W. Kim, Bull. Korean Chem.

Soc., 2017, 38, 429-437.

6. T. F. Yen, J. G. Erdman, S. S. Pollack, Anal. Chem., 1961, 33, 1587-1594.

7. M. Moffitt, K. Khougaz, A. Eisenberg, Acc.. Chem. Res., 1996, 29, 95-102.

8. A. Desjardins, A. Eisenberg, Macromolecules, 1991, 24, 5779-5790.

9. X. F. Zhong, A. Eisenberg, Macromolecules, 1994, 27, 1751-1758.

10. X. F. Zhong, S. K. Varshney, A. Eisenberg, Macromolecules, 1992, 25, 7160

−7167.

11. M. Li, M. Jiang, L. Zhu, C. Wu, Macromolecules, 1997, 30, 2201-2203.

12. K. N. Bakeev, W. J. Macknight, Macromolecules, 1991, 24, 4578-4582.

13. S. Schlick, ed., Ionomers: Characterization, Theory, and Applications, CRC Press, Inc., Boca Raton, 1996.

14. M. R. Tant, K. A. Mauritz, G. L. Wilkes, ed., Ionomers: Synthesis, Structure, Properties and Application, Blackie Academic Professional, New York, 1996.

15. Y.-R. Park, J.-A Yu, J.-S. Kim, J. Nanosci. Nanotechnol. 2007, 7, 3920-3925.

16. X. Liu, J. Wu, J.-S. Kim, and A. Eisenberg, Langmuir 2006, 22, 419-424.

2010, 24, 2369-2375.

19. A. Eisenberg, M. Navratil,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1972, 10, 537-542.

20. A. Eisenberg, M. Navratil, Macromolecules 1973, 6, 604-612.

21. A. Eisenberg, ed., Ions in Polymers, ACS Symp. Series 187.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980.

22. J.-S. Kim, G. Wu, A. Eisenberg, Macromolecules 1994, 27, 814-824.

23. J.-S. Kim, M.-C. Hong, Y. H. Nah, Macromolecules 2002, 35, 155-160.

24. Standard, ASTM D7061–04. 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PA, 2004, D02, 14.

제 3 장 Octadecylamine을 이용하여 아마이드화시킨 PSMA 공중합체에 의한 아스팔텐 분산성 향상 3. 물 흡수에 미치는 요인

3.1. 서론

1 장에서 언급한 것처럼 원유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 극성 성분이 많으면서 분자량 이 가장 높은 성분이 바로 아스팔텐이라는 물질이다. 그리고 이 아스팔텐은 원유를 생 산, 저장, 유통 및 정제를 하는 과정에서 응집 및 침전되어 슬러지(sludge)를 형성하는 데, 이때 형성된 슬러지가 장비에 많은 문제점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앞에서 언급하였 다.

이러한 아스팔텐이 응집되어 생기는 문제점은 50 여 년 전부터 인식되어 원유에서 침전되는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1 아스팔텐은 일반적으 로 여러 개의 방향족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금속 성분과 황, 질소, 산소도 작용기로 포 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이러한 구조를 가진 아스팔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서 는 분산제를 첨가해야 하는데, 이때 분산제는 아스팔텐 성분과 π-π stacking, 산-염기 상호작용, 수소 결합 등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6-8 또한, 아스팔텐이 극성 작용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비극성 물질인 중유 속에서 아스팔텐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는 양친성 공중합체를 첨가해야 한다.9 선행되었던 양친성 분산제에 관한 연구로는 Chang과 Fogler의 연구가 있는데, p-alkylbenzene sulfonic acid 같은 양친매성 알킬벤 젠 유도체를 아스팔텐 분산제로 사용한 연구를 수행하기도 하였다.1,6,10 또한, Cao는 양 친매성 공중합체를 분산제로 사용하기 위해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공중 합체의 작용기를 알킬아민을 이용하여 아마이드화 시킨 연구를 수행하기도 하였다.11-13

2 장에서는 분산제로서 사용한 아이오노머의 양이온의 크기와 첨가량이 중유 속 아 스팔텐의 분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때 분산제를 첨가하지 않은 용액의 분산성에 비해 아이오노머를 첨가한 용액의 경우 좋은 분산성을 나타내었고, 아이오노

가한 경우에 비해 얼마나 분산성이 좋은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는 PSMA 공중합체가 가진 산 작용기를 알킬아민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아마이드화 시킨 후, 중유에 양을 달리 첨가하여 공중합체의 아마이드화 정도와 첨가량이 아스팔 텐 분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사용한 알킬아민 은 사슬 길이가 긴 octadecylamine을 사용하였는데, 중유 속 아스팔텐의 분산성은 양 친성 공중합체가 가진 알킬 사슬의 길이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11,14,15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2-4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