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문서에서 사후 구성적 진리와 예술 (페이지 36-41)

[주 텍스트]

Hegel, G. W. F., Phänomenologie des Geistes, hg. J. Hoffmeister, Hamburg:

Felix Meiner 1952.

______,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Weltgeschichte. Bd. Ⅰ: Die Vernunft in der Geschichte, hg. J. Hoffmeister, Hamburg: Meiner 1955.

______, Wissenschaft der Logik, erster Band: Die objektive Logik (1812/1813), hg. F. Hogemann und W. Jaeschke, Hamburg: Felix Meiner 1978; 대논 리학 (Ⅱ) - 본질론, 임석진 옮김, 지학사 1982.

______, Wissenschaft der Logik, zweiter Band: Die subjektive Logik (1816), hg. F. Hogemann und W. Jaeschke, Hamburg: Felix Meiner, 1981; 임석 진 옮김, 대논리학 (Ⅲ) - 개념론, 지학사 1982.

______, Wissenschaft der Logik Ⅰ, Werke Bd. 5, hg. E. Moldenhauer und K.

M. Michel, Frankfurt a.M.: Suhrkamp 1986.

______, Wissenschaft der Logik Ⅱ, Werke Bd. 6, hg. E. Moldenhauer und K.

M. Michel, Frankfurt a.M.: Suhrkamp 1986.

______, Enzyklopädie der phiolosophischen Wissenschaften Ⅰ. Werke 8, hg. E.

Modelhauer und K. M. Michel, Frankfurt a.M.: Suhrkamp 1986.

______,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Ⅰ, Werke Bd. 18, hg. E. Modelhauer und K. M. Michel, Frankfurt a.M.: Suhrkamp 1986.

______, Vorlesungen über Rechtsphilosophie 1818-1833. Bd. 3: Philosophie des Rechts. Nach der Vorlesungsnachschrift von H. G. Hotho 1822-23, hg.

Karl-Heinz Ilting, Stuttgart/Bad Cannstadt 1973f.

______,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Kunst. Berlin 1823.

Nachgeschroeben von Heinrich Gustav Hohto, hg. A. Gethmann-Siefert, Hamburg: Meiner 1998; 헤겔 예술철학. 베를린 1823 강의. H. G. 호토

필기록, 한동원/권정임 옮김, 미술문화 2008.

______, Philosophie der Kunst. Vorlesung von 1826, hg. A. Gethmann-Siefert/

Jeong-Im Kwon/Karsten Berr, Frankfurt a. M.: Suhrkamp 2005.

Žižek, Slavoj, The sublime object of ideology (1989),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 상, 이수련 옮김, 인간사랑 2002.

______, For They Know Not What They Do: Enjoyment As A Political Factor (1991), 그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지 못하나이다: 정치적 요인으로서의 향락, 박정수 옮김, 인간사랑 2004.

______, Tarrying with the negative: Kant, Hegel and the Critique of ideology (1993),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 칸트, 헤겔, 그리고 이데올로기 비판, 이성민 옮김, 도서출판b 2007,

______, The ticklish subject: the absent centre of political ontology (1999), 까 다로운 주체: 정치적 존재론의 부재하는 중심, 이성민 옮김 (도서출판b 2005).

______, The Parallax View (2006), 시차적 관점, 김서영 옮김, 마티 2009.

______, How to Read Lacan (2007), How to Read 라캉, 박정수 옮김, 웅진 지 식하우스 2007.

______, Le plus sublime des hystériques, Hegel avec Lacan (2011), 가장 숭고 한 히스테리환자: 라캉과 함께 한 헤겔, 주형일 옮김, 인간사랑 2013, ______, Less than nothing: Hegel and the shadow of dialectical materialism

(2012), 헤겔 레스토랑: 헤겔과 변증법적 유물론의 그늘 (1-7장), 조형준 역, 새물결 2013.

[2차 문헌]

강순전, 「포스트구조주의의 헤겔 변증법비판에 대한 응답: 들뢰즈의 헤겔 비판을 중심으로」, 이성백 외, 포스트구조주의의 헤겔 비판과 반비판, 이학사 2006, pp. 65-94.

권대중, 「관념론적 정합론으로서의 헤겔의 진리관 - 전통적 대응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헤겔연구 17집, 2005, pp. 47-80.

______, 「사실적 진리와 예술적 진리: <세네카의 죽음>의 사례」, 美學 62집, 2010, pp. 1-30.

권정임, 「‘인륜성’의 구현으로서 예술작품 - 헤겔 예술론의 현대적 의미 고찰」,

미학예술학연구 54집, 2018, pp. 3-47 (DOI: 10.17527/JASA.54.0.01).

김석,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김옥경, 「헤겔철학에서 과거와 미래의 변증법」, 헤겔연구 31집, 2012, pp. 37-57.

김현, 「공백으로서의 부정성 - 지젝(S. 지젝)의 헤겔 해석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25집, 2009, pp. 255-288.

김현강, 슬라보예 지젝, 이룸 2009.

나종석, 「슬라보예 지젝의 헤겔 변증법에 대한 비판. 구체적 보편성과 급진 민주 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27권, 2014. 04, pp. 207-238.

남기호, 「헤겔 논리학에서의 개념의 개념」, 헤겔연구 31집, 2012, pp. 125-150.

미하엘 토이니센, 존재와 가상. 헤겔 논리학의 비판적 기능, 나종석 옮김, 용의 숲 2008.

사라 케이, 슬라보예 지젝, 장현숙 옮김, 경성대출판부 2003,

스티븐 병기, 「‘예술의 종언’ 명제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 김문환/권대중 편역,

예술의 죽음과 부활, 지식산업사 2004, pp. 145-171.

안재오, 「차연과 지양: 데리다와 헤겔의 철학적 방법론」, 이성백 외, 포스트구조 주의의 헤겔 비판과 반비판, 이학사 2006, pp. 299-297.

알랭 바디우, Petit manuel d'inesthétique (1998), 비미학, 장해순 옮김, 이학사 2011, 2쇄.

양종근, 「비동일자와 적대 - 아도르노와 지젝의 헤겔 분석을 중심으로」, 현대 사 상 8호, 2011, pp. 51-64.

자크 라캉, 에크리, 홍준기, 이종영, 조형준, 김대진 공역, 새물결 2019.

자크 알랭 밀레 편, 자크 라캉, 세미나 11: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 맹정

현/이수현 옮김, 새물결 2008.

조선령, 라캉과 미술, 경성대학교출판부 2011.

조주현, 「21세기 ‘이야기꾼’의 등장과 역사 되쓰기의 예술실천: 일민미술관 ≪불멸 사랑≫(2019)을 중심으로」, 미학예술학연구 57집, 2019, pp. 159-181 (DOI: 10.17527/JASA.57.0.06), p. 161.

최일규, 「주체 개념과 구체적 보편성 - 헤겔과 지젝의 구체적 보편성 개념을 중 심으로」, 헤겔연구 40권, 2016, pp. 113-136.

편집부 역음, 변증법 입문, 이삭 1983, 1985 초판 6쇄.

한동원, 「정신현상학의 방법에 관한 연구」, 철학 23집, 1985, pp. 51-71

한스-게오르그 가다머, 「예술의 종언? 헤겔의 ‘예술의 과거성’ 이론으로부터 오늘 날의 반예술에 이르기까지」, 김문환/권대중 편역, 예술의 죽음과 부활, 지식산업사 2004, pp. 123-144.

홍준기, 「라캉의 성적 주체 개념 - 세미나 제20권: 앙코르의 성 구분 공식을 중 심으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15집, 2000, 봄여름 호, pp. 116-151.

Gadamer, Hans-Georg, Wahrheit und Methode. Grundzüge ein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 Tübingen: De Gruyter 1960, 1975.

Gũnkel, David J., “Žižek and the Real Hegel”, in: International Journal of Zizek Studies, vol. 2, no. 3, 2008, pp. 1-28.

Kwon, Jeong-Im, “Hegels Bestimmung der ‘formellen Bildung’ und die Aktualität der symbolischen Kunstform für die moderne Welt”, in: Die geschichtliche Bedeutung der Kunst und die Bestimmung der Künste, hg. A. Gethmann-Siefert, Lu de Vos, B. Collenberg-Plotnikov, München: Wilhelm Fink 2005, pp. 159-174.

______, “Kunst und Wahrheit in der Moderne. Überlegungen zur Akutlaität der Hegelschen Bestimmung der Kunst”, in: Wege zur Wahrheit.

Festschrift für Otto Pöggeler zum 80. Geburtstag, hg. A. Gethmann-Siefert und E. Weisser-Lohmann. München: Wilhelm Fink 2009, pp.

221-237.

Hansen, Frank-Peter, Georg W. F. Hegel: ‘Phänomenologie des Geistes’. Ein einführender Kommentar, Paderborn/München/Wien/Zürich: Schöningh 1994.

Horstmann, Rolf-Peter (hg.), Seminar: Dialektik in der Philosophie Hegels, Frankfurt a. M.: Suhrkamp 1978.

Lacan, Jaques, Écrits, Paris: Seuil 1966.

Pöggeler, Otto, Idee einer Phänomenologie des Geistes, Freiburg Ⅰ.

Br./München: Karl Alber 1973.

______, “Hegels Bildungskonzeption im geschichtlichen Zusammenhang”, in:

Hegel-Studien, vol. 15, 1980, pp. 241-269.

Xiong, Zhili, Hegels Begriff der “eigentlichen Metaphysik”. Systematische Untersuchungen zum Metaphysikverständnis Hegels, Dissertation von der Heidelberger Universität, München: Wilhelm Fink 2019.

문서에서 사후 구성적 진리와 예술 (페이지 36-4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