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6. 기술융합을 통한 국토가치 재창출 전략 수립 탐색 연구 국토연구원. 2005.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 대한민국정부

김영정. 2007. 현대사회에서의 지역공동체 의미와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지역문화발전과 지역공동체 형성 전략 모색 토론회. 국토연구원.

김지하. 1996. 생명과 자치. 솔

도정일. 2007. "시장전체주의에 맞서 '인간의 문화'를 되찾자". 프레시안 07. 11. 24자.

리처드 루이스. 2008. 미래는 핀란드에 있다. 박미준 역. (주)살림출판사 마티아스 호르크스. 2006. 미래를 읽는 8가지 조건. 백종유 역 청림출판 문순홍. 1992. 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 나라사랑. 46-47쪽

박세길. 2008. 혁명의 추억, 미래의 혁명. 시대의 창 박이문. 1996. 문명의 위기와 문화의 전환. 민음사

박이문. 1997. 문명의 미래와 생태학적 세계관. 도서출판 당대 박이문. 2002. 환경철학. 마이다스

박희경. 2008. 도시계획과 첨단기술의 접목. 국토연구원 강연 자료 새뮤얼 헌팅턴․로렌스 해리슨. 2001. 문화가 중요하다. 이종인 역. 김영사

신지은․박정훈 외 3인. 2008. 세계적 미래학자 10인이 말하는 미래혁명 - 행복한 미래 불행한 미래. 일송북

엘리자베스 콜버트. 2007. 지구재앙보고서. 이섬민 역. 여름 언덕 오마에 겐이치. 2001. 보이지 않는 대륙. 안진환 역. 청림출판 우천식 외. 2007. 선진 한국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한국개발연구원

이정전. 2007. 지역개발에 대한 4가지 패러다임과 지배적 가치 제고. 전문가특강자료 일본지역정보회. 1998. 지역의 가치를 창조하자 - 지역특화발전전략.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역

제롬 뱅데. 2008. 가치는 어디로 가는가. 이선희․주재형 역. 문학과지성사 제임스 캔턴. 2007. 극단적 미래예측. 김민주․송희경 역. 김영사

정기용. 2005. 지역활성화를 위한 문화적 방법 서설. 지역의 희망 찾기 심포지엄 발제문. 지역재단

조명래. 2007. 지속가능한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공동체의 회복과 구성. 지역문화발전과 지역공동체 형성전략모색 토론회 자료. 국토연구원

피터 슈워츠. 2005. 이미 시작된 20년 후. 우태정․이주명 역. 필맥 피에르 쌍소. 1998.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 김주경 역. 동문선

최연구. 2007. 노블레스 오블리주 혁명 : 유럽의 거울로 보는 한국의 미래. 한올. P207 최영국·김선희·이용우·이승복. 2005. 지속가능한 국토관리 전략 및 추진방안.

국토연구원

최영국. 2006. 국토계획의 실효성을 위한 제도정비방안. 한국법제연구원. pp94-95 최영국. 2006.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정책과 국토정책의 조화방안. OECD

환경성과 평가보고서 발간기념세미나

최영국․이범현․김태영․오선영․문채․볼프강 벤데 외. 2006. 국토의 자연훼손 진단 및 대책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최영국. 2007. 지속가능한 국토관리를 위한 국토생태망 구축 및 활용방안. 월간 국토 2007년 11월호(통권 313호). 국토연구원

최영국․김명수. 2007. 문화와 환경이 어우러진 국토 만들기. 월간국토 2007년4월호(통권 306호). 국토연구원

최영국. 2008. 국토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정책과제. 월간국토 2008년 1월(통권315호). 국토연구원

토마스 쿤. 1995. 과학혁명의 구조. 김명자 역. 동아출판사

통계청. 2008.8. 통계로 본 대한민국 60년의 경제·사회상 변화. 보도자료 팀 플래너리. 2006. 기후창조자. 이한중 역. 황금나침반

한국개발연구원. 2007. 선진 한국을 위한 정책방향과 과제 : 6대 전략분야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국토생태네트워크의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한스 피터 마르틴․하랄드 슈만. 1997. 세계화의 덫 : 민주주의와 삶의 질에 대한 공격.

강수돌 역. 영림카디널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2003. 오래된 미래. 김태언 역. 녹색평론사

환경부. 1995. 전국 그린네트워크화 구상: 사람과 생물이 어우러지는 자연 만들기 환경부. 2002. 21세기 한반도 생태공동체 건설을 위한 생태네트워크 구축 추진 전략 환경부. 2005. 국가환경종합계획(안)

Dunlap, Riley E. and Kent D. Van Liere. 1978.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9(4):10-9

Fox, Warwick. 1984. Deep ecology: A new philosophy of our time? The Ecologist 14(5-6):194-200

Holmes Rolston, Ⅲ. 1989. Environmental Ethics. New York: Prometheus Books J. A. van Staalduine and M. T. T Simons. 2004. Environment and Space: Towards

More Cohesion in Environmental and Spatial Policy

Marcucci, Daniel J.(2000) Landscape history as a planning tool,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9 : 67-81

Miller, Donald and Gert de Roo. 2004. Integrating City Plann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acticable Strategie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shgate Publishing Company

IPCC, 2007, Summary for Policymakers, in B. Metz, O. R. Davidson, P. R.

Bosch, R. Dave, L. A. Meyer (eds), Climate Change 2007: Mitigation,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Ⅲ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Armstrong, Susan J. and Botzler, Richard G. 1993. Environmental ethics:

Divergence and Convergence. McGraw-Hill, Inc. New-York

Yeong Kook, Choi. 1995. The nature of foresy values toward ecosystem management. Doctor Philosophy Thesis 1995:24. Agricultural University of Norway

http://www.pressian.com/scripts/section/article.asp?article_num=40071031144750 http://www.pressian.com/scripts/section/article.asp?article_num=30071207173737&

s_menu=사회

SUMMERY

문서에서 녹색성장과 지속가능한 국토관리 (페이지 85-8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