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질높은 교육·보육과정의 특성

Ⅱ. 이론적 배경

2. 질높은 교육·보육과정의 특성

가. OECD 선진국의 국가수준 교육․보육과정 동향 및 운영 체제

1) OECD 선진국의 국가수준 교육·보육과정 동향

전세계적으로 양질의 유아교육과 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관심이 높다. OECD 국가수준의 교육․보육과정 및 유아기 표준은 ECEC 서비스 질 관리를 위한 중 추적 역할을 한다(OECD, 2015). 잘 계획된 교육과정은 주요 학습 영역을 포괄 하며, 아동이 지속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교사에게 실질적 가이드라인을 제시 할 수 있다(OECD, 2015).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ECEC 서비스 관련 국가 수준의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독일의 경우, ECEC 대상 연령이 통합된 형태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었지만, 한국과 스코틀랜드의 경우, 연령별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또는 유아기 표준을 도입한 OECD 선진국 현황을 살펴보면 [그림 Ⅱ-2-1]와 같다.

벨기에

구 분 내 용

교육과정 실행

· 대상은 영아(0~18개월), 토들러(1~3세), 유아(2.5세~5세) 3그룹으로 나뉘며 그룹별 발달목표, 특징 기술, 개인차와 문화적 차이를 고려 하여 센터별로 적절한 연령 배치와 프로그램을 유연하게 구성하고 있으며, 유아교육의 다양성 강조(NZME, 2016)

· 테 파리키의 이론적 기초인 사회문화적 관점의 이해에 대한 시간과 지원이 필요, 교사들의 테 파리키의 이론 이해와 실행을 향상시키는 정책 시행, 교육과정을 마오리어와 영어로 기술, 마오리족과의 파트 너십 강조(May, 2012)

· 행복감, 소속감, 공헌, 의사소통, 탐구 5개 영역구성(NZME, 2016)

· 러닝스토리 : 아동의 결과물과 사진을 포함하고 교사가 학습을 계획 하거나 아동의 일과를 부모에게 설명할 때 활용(Carr, May, &

Pdmore, 1998)

유아교육· · 정부기금과 부모분담으로 운영(Ministry of Education, 2015)

교육과정 평가 및 관리, 교육과정 정책의 과제와 시사점을 선행연구를 통해 추 출하였다. 뉴질랜드의 테 파리키는 문화적 다양성을 강조하고, 함께 만들어가는 학습과정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유아교육과정으로 알려져 있다. 스웨덴 유아학교 교육과정도 양성평등과 민주주의 등 다양한 가치를 존중하며 교육과정의 지역 화를 강조하고 있어(OECD, 2013), 한국의 누리과정 운영에 중요한 시사점을 주 는 것으로 판단되어 선정하였다. 또한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으로 성취수준이 높은 유아교육과정으로 한국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프랑스의 교육과정을 선정 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화된 국가이나 주별 유아기 표준을 통해 취약계층 유아 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사례로 미국을 선정하였다.

가) 뉴질랜드

뉴질랜드는 OECD가 제시한 유아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5가지 핵심 정책 중

‘교육과정과 표준의 설계 및 시행’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유아교육·보육 기관에 서 공통의 교육과정 실행을 통해 교육의 평등성을 보장하는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OECD, 2012a). 뉴질랜드의 0-5세를 위한 영유아교육과정인 테 파리키(Te Whariki)는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아동의 학습과 발달 체계를 제시, 계획된 경험 과 활동을 통해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상호작용, 교사·학부모·가정 간의 학습 파 트너십을 강조하고 있으며(NZME, 2016), 교육부는 교육과정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ERO, 2013). 교육과정 실행, 서비스 재정지원, 교육 과정 평가관리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Ⅱ-2-1〉뉴질랜드 교육/보육과정 정책

구 분 내 용

구 분 내 용 습득하는 것이라고 기술(French National Education, 2008).

달, 그리고 학습에 관한 관점들을 공유하며,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그 외 교

구 분 내 용 받음(Scottish Government, 2013)

· 유아학교는 국가교육과정을 따라야 하며 교육 조사관은 3~4년 마

구 분 내 용 부는 ECLS-K와 ECLS-B를 실시(Morgan, 2003)

구 분 내 용

구 분 내 용

구 분 내 용

구 분 내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