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검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55)

(N=186)

직무 열의 이직의도

Coefficient SE t(p) Coefficient SE t(p) Constant 7.170 5.835 1.23(0.221) 4.447 0.408 10.91(<0.001)

나이 0.047 0.104 0.45(0.650) -0.016 0.007 -2.15(0.033)

결혼

상태a 기혼 2.813 1.274 2.21(0.029) 0.057 0.090 0.63(0.527)

학력b 4년제

졸업 -4.433 1.504 -2.95(0.004) 0.020 0.107 0.18(0.856)

학력b 전문대

졸업 -1.930 1.887 -1.02(0.308) -0.026 0.132 -0.20(0.841) 근무

부서c 외래 2.740 1.472 1.86(0.064) -0.136 0.103 -1.32(0.190) 근무

부서c

특수

파트 1.580 1.141 1.38(0.168) -0.178 0.080 -2.23(0.027)

직위d 책임

간호사 -0.409 1.144 -0.36(0.721) -0.118 0.080 -1.48(0.140) 그릿 0.683 0.169 4.04(<0.001) -0.013 0.012 -1.10(0.272)

직무열의 - - - -0.017 0.005 -3.33(0.001)

R2=0.317 R2=0.273

F=10.277, p<0.001 F=7.339, p<0.001

aReference group: 미혼 bReference group: 석사 이상 cReference group: 병동

dReference group: 일반간호사

<표 8> 그릿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1) 직무열의의 하부 척도별 매개효과 검정 : 활력

직무열의의 하부척도별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분석하였으 며, 결과는 <표 8-1>, <그림 1-1>과 같다.

<표 8-1>과 <그림 1-1>에서 그릿이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b=0.145, t=2.30, p=0.023). b값이 양수이므로 그릿이 높을수록 활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릿은 이직의도의 유의한 예측변수는 아 니었으나(b=-0.020, t=-1.68, p=0.095), 활력은 이직의도의 유의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b=-0.035, t=-2.50, p=0.013). 그릿과 이직의도 사이에 직접효과는 없 었으나(b=-0.020, p=0.095),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b=-0.005(Boot SE=0.003), 95% Boot CI[-0.012, -0.0001]) 직무열의의 활력이 그릿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완전 매개작용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활력

그릿 이직의도

b=0.145, p=0.023 b=-0.035, p=0.013

공변인: 나이, 결혼 상태, 학력, 근 무 부서, 직위

직접효과 b=-0.020, p=0.095

간접효과 b=-0.005, 95%CI[-0.012, -0.0001]

총 효과 b=-0.025, p=0.037

<그림 1-1> 그릿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활력의 매개효과

(N=186)

활력 이직의도

Coefficient SE t(p) Coefficient SE t(p) Constant 2.200 2.184 1.01(0.315) 4.400 0.413 10.67(<0.001)

나이 0.048 0.039 1.22(0.223) -0.015 0.007 -2.00(0.047)

결혼

상태a 기혼 0.909 0.477 1.91(0.058) 0.040 0.091 0.44(0.658)

학력b 4년제

졸업 0.020 0.107 0.18(0.856) 0.020 0.107 0.18(0.856)

학력b 전문대

졸업 -0.026 0.132 -0.20(0.841) -0.026 0.132 -0.20(0.841) 근무

부서c 외래 -0.136 0.103 -1.32(0.190) -0.136 0.103 -1.32(0.190) 근무

부서c

특수

파트 -0.178 0.080 -2.23(0.027) -0.178 0.080 -2.23(0.027)

직위d 책임

간호사 0.145 0.428 0.34(0.735) -0.106 0.081 -1.31(0.191)

그릿 0.145 0.063 2.30(0.023) -0.020 0.012 -1.68(0.095)

활력 - - - -0.035 0.014 -2.50(0.013)

R2=0.253 R2=0.254

F=7.487, p<0.001 F=6.646, p<0.001

aReference group: 미혼 bReference group: 석사 이상 cReference group: 병동

dReference group: 일반간호사

<표 8-1> 그릿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활력의 매개효과

2) 직무열의의 하부척도별 매개효과 검정 : 헌신

직무열의 하부척도인 헌신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표 8-2>, <그림 1-2>과 같다.

<표 8-2>과 <그림 1-2>에서 그릿이 헌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0.270, t=4.43, p<0.001). b값이 양수이므로 그릿이 높을수록 헌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릿은 이직의도의 유의한 예측변수는 아니었으나 (b=-0.012, t=-0.99, p=0.325), 헌신은 이직의도의 유의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b=-0.049, t=-3.38, p<0.001). 그릿과 이직의도 사이에 직접효과는 없었으나 (b=-0.012, p=0.325),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b=-0.013(Boot SE=0.005), 95% Boot CI[-0.024, -0.005]) 직무열의의 헌신이 그릿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완 전 매개작용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헌신

그릿 이직의도

b=0.270, p<0.001 b=-0.038, p<0.001

공변인: 나이, 결혼 상태, 학력, 근 무 부서, 직위

직접효과 b=-0.012, p=0.325

간접효과 b=-0.013, 95%CI[-0.024, -0.005]

총 효과 b=-0.025, p=0.037

<그림 1-2> 그릿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헌신의 매개효과

(N=186)

헌신 이직의도

Coefficient SE t(p) Coefficient SE t(p) Constant 2.840 2.102 1.35(0.178) 4.462 0.408 10.94(<0.001)

나이 -0.009 0.038 -0.24(0.809) -0.017 0.007 -2.33(0.021)

결혼

상태a 기혼 0.951 0.459 2.07(0.040) 0.055 0.090 0.61(0.542)

학력b 4년제

졸업 0.020 0.107 0.18(0.856) 0.020 0.107 0.18(0.856)

학력b 전문대

졸업 -0.026 0.132 -0.20(0.841) -0.026 0.132 -0.20(0.841) 근무

부서c 외래 -0.136 0.103 -1.32(0.190) -0.136 0.103 -1.32(0.190) 근무

부서c

특수

파트 -0.178 0.080 -2.23(0.027) -0.178 0.080 -2.23(0.027)

직위d 책임

간호사 -0.357 0.412 -0.87(0.388) -0.129 0.080 -1.61(0.109) 그릿 0.270 0.061 4.43(<0.001) -0.012 0.012 -0.99(0.325)

헌신 - - - -0.049 0.015 -3.38(<0.001)

R2=0.295 R2=0.274

F=9.247, p<0.001 F=7.388, p<0.001

aReference group: 미혼 bReference group: 석사 이상 cReference group: 병동

dReference group: 일반간호사

<표 8-2> 그릿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헌신의 매개효과

3) 직무열의의 하부척도별 매개효과 검정 : 몰입

직무열의 하부척도인 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는

<표 8-3>, <그림 1-3>과 같다.

<표 8-3>과 <그림 1-3>에서 그릿이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0.268, t=3.76, p<0.001). b값이 양수이므로 그릿이 높을수록 몰입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릿은 이직의도의 유의한 예측변수는 아니었으나 (b=-0.016, t=-1.32, p=0.190), 몰입은 이직의도의 유의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b=-0.034, t=-2.74, p=0.007). 그릿과 이직의도 사이에 직접효과는 없었으나 (b=-0.016, p=0.190),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b=-0.009(Boot SE=0.004), 95% Boot CI[-0.019, -0.002]) 직무열의의 몰입이 그릿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완 전 매개작용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몰입

그릿 이직의도

b=0.268, p<0.001 b=-0.034, p=0.007

공변인: 나이, 결혼 상태, 학력, 근 무 부서, 직위

직접효과 b=-0.016, p=0.190

간접효과 b=-0.009, 95%CI[-0.019, -0.002]

총 효과 b=-0.025, p=0.037

<그림 1-3> 그릿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몰입의 매개효과

(N=186)

몰입 이직의도

Coefficient SE t(p) Coefficient SE t(p) Constant 2.131 2.458 0.87(0.387) 4.400 0.411 10.70(<0.001)

나이 0.009 0.044 0.20(0.842) -0.016 0.007 -2.20(0.029)

결혼

상태a 기혼 0.953 0.537 1.78(0.078) 0.041 0.090 0.45(0.652)

학력b 4년제

졸업 0.020 0.107 0.18(0.856) 0.020 0.107 0.18(0.856)

학력b 전문대

졸업 -0.026 0.132 -0.20(0.841) -0.026 0.132 -0.20(0.841) 근무

부서c 외래 -0.136 0.103 -1.32(0.190) -0.136 0.103 -1.32(0.190) 근무

부서c

특수

파트 -0.178 0.080 -2.23(0.027) -0.178 0.080 -2.23(0.027)

직위d 책임

간호사 -0.197 0.482 -0.41(0.683) +0.118 0.080 -1.46(0.145) 그릿 0.268 0.071 3.76(<0.001) -0.016 0.012 -1.32(0.190)

몰입 - - - -0.034 0.013 -2.74(0.007)

R2=0.258 R2=0.259

F=7.709, p<0.001 F=6.824, p<0.001

aReference group: 미혼 bReference group: 석사 이상 cReference group: 병동

dReference group: 일반간호사

<표 8-3> 그릿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몰입의 매개효과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5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