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88)

점에서 매개효과의 타당성을 확인했다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먼저, 본 연구는 단일 기관을 임의 선정하여 대상자를 모집하였으므로, 본 결과를 전체 병원의 간호사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향후 간호사 들을 대상으로 그릿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그릿은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외국에서 개발된 도구를 연구자가 번역 역번역하여 측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가 그릿 이 측정하고자 하는 바를 제대로 측정하는지 확인하는 타당도를 검증하는 과 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향후 국내 간호사의 직무 특성에 맞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그릿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사들의 이직의도를 관리하기 위하여 향후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간호 사들이 그릿을 향상시켜 직무에 열의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 이다. 또한 신규간호사가 부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 및 관리하는 제도 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그릿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로 간호사의 직무열의, 이직의도의 수준이 변화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종단조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강현미, 박소윤. 유아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18(21):787-806.

강현정. 병원 내 간호사들의 폭력경험과 이직의도의 관계: 극복력의 매개 및 조절 작용[석사학위 논문]. 수원: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고진희, 구미옥.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 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2020;11(4):369-380.

김경화, 신나리. 보육교사의 그릿과 교사효능감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 는 영향. 아동학회지 2018;39(6):57-67.

김보미, 양수진. 대학생의 성격 특성, 열정, 정서적 행복, 그릿의 구조적 관계.

한국심리학회 2018;2018(8):282-282.

김성철. 일터 내 그릿의 효과성: 끈기와 열정의 영향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 문]. 서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김여진, 박금숙, 양은자. 수술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 국산학기술학회 2016;17(12):352-362.

김종경, 김명자. 병원 간호사 이직의도에 관한 문헌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011;17(4):538-550.

김진규, 강소영.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 계. 한국간호과학회 2011;2012(10):185-185.

남문희, 권영채. 병원 간호사의 행복지수, 전문직관, 이직의도와의 관계. 디지 털정책연구 2012;10(9):417-427.

문영주.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다중몰입의 매 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2010;42(2):493-523.

민혜원, 손은정, 최가희. 그릿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성실성, 자기통 제감, 과제가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2019;2019(8):217-217.

박안나. 병원간호사의 언어 폭력 경험, 감정노동, 감성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18;4(2):29-46.

박제성, 조근자. 응급의료기관에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의 직업 불안정성 및 직무열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급구조학회지 2015;19(2):51-70.

박효선, 이경미, 신나연. 임상간호사의 그릿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정. 간 호행정학회지 2020;26(1):55-64.

보건복지부. 2019 보건복지통계연보. 서울: 보건복지부; 2019.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 32901&CONT_SEQ=351898

송명숙.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 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15(6):3741-3750.

송효숙, 임소희. 한국어판 간호대학생의 그릿 측정도구 신뢰도 및 타당도. 한 국간호교육학회지 2020;26(3):322-331.

신수진, 박영우, 김미정, 김정현, 이인영. 신규간호사 교육체계에 대한 실태조 사: 프리셉터십 운영을 중심으로.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019;21(2):112-122.

신여울, 구민주, 박다은. 보육교사의 그릿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 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지 2018;39(2):15-26.

신여울, 박정연, 조우리. 사회복지사의 그릿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 트레스와 직무열의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지 2019;2019(10):407-408.

어용숙, 김미숙, 박유진. 임상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전문직업성, 소진, 조직몰입 변수를 중심으로. 심리행동연구 2015;7(1):1-13.

오서경, 윤혜현. 풀 서비스 레스토랑 종사자의 체면민감성이 직무열의, 직무소 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014;23(3):61-81.

오아라, 김성환. 직무요구-자원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2016;16(4):1-17.

유문숙, 정망래, 김경자, 이영진. 신입간호사의 근무기간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 의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2019;25(5):489-498.

윤금숙, 김숙영.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 호행정학회지 2010;16(4):507-516.

윤혜미, 김정순.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관련요인. 글로벌 건강과 간호 2012;2(2):52-61.

윤은자, 권영미, 전미순, 안정화.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016;16(1):95-106.

이수란, 손영우.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2013;10(3):349-366.

이종순, 문미영, 정혜경, 한승희.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7):635-347.

장다희, 김상림.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그릿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2019;5(1):177-183.

전재희, 염영희.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임파 워먼트와 감성지능의 역할. 한국간호행정학회지 2014;20(3):302-312.

정정희, 김지수, 김경희.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간호행

정학회지 2008;14(1):35-44.

정지영, 서연숙, 최정훈 등. 대학병원 간호사의 그릿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 향: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9;49(2):181-190.

정현, 장성배, 탁진국. 그릿(Grit)과 직무개선(Job Crafting)의 관계에서 긍정정 서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2018;21(1):31-51.

최윤경. 간호사의 그릿과 감성지능, 간호업무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석사학 위논문. 서울: 한국성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탁정화, 이혜원, 이미란.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유아 교육연구 2018;38(5):309-330.

허소라. 그릿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중심으로[석사 학위논문]. 부산: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Allen NJ, Meyer JP.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actics: A longitudinal analysis of links to newcomers’ commitment and role orient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90;33(4):847-858.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Baumruk R, Gorman Jr. B, Gorman, RE, Ingham J. Why managers are crucial to increasing engagement. Strategic HR Review 2006;5(2):24-27.

Blalock DV, Young KC, Kleiman EM. Stability amidst turmoil: Grit buffers the effects of negative life events on suicidal ideation. Psychiatry Research 2015;228(3):781-784.

Bothma CFC, Roodt G. The validation of the turnover intention scale. South Africa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013;11(1):1-12.

Bridges J, Griffiths P, Oliver E, Pickerin RM. Hospital nurse staffing and staff–patient interactions: an observational study. BMJ Quality & safety 2019;28(9):706-713.

Chan ZCY, Tam WS, Lung MKY, Wong WY, Chau CW.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nurse shortage and the intention to leav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3;21(4):605-613.

De Volder ML, Lens W. Academic achievement and future time perspective as a congnitive-motivational concep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2;42(3):566-571.

Duckworth AL, Gross JJ. Self-control and Grit: Related but separable determinants of succes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2014;23(5):319-325.

Duckworth AL.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1st ed. New York: Scribner; 2016.

Duckworth AL, Peterson C, Mattehews MD, Kelly DR.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7;92(6):1087-1101.

Duckworth AL, Quinn P.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2009;91(2):166-174.

Eskreis-Winkler L, Young V, Duckworth AL, Shulman EP, Tsukayama E, Brunwasser SM. Using wise intervention to motivate deliberate pract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16;111(5):728-744.

Flinkman M, Leino-Kilpi H, Salantera S. Nurses’ intention to leave the professio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7):1422-1434.

Freudenberger HJ.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1974;30(1):159-165.

Gere J, MacDonald G. Assessing relationship quality across cultures: An examination of measurement equivalence. Personal Relationships 2013;20(3):422-442.

Goodwin B, Miller K. Teaching self-regulation has long-term benefits.

Educational Leadership 2013;70(8):80-81.

Harter JK, Schmidt FL, & Hayes TL. Business-Unit-Level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Employee Engagement, and Business outcomes: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2;87(2):268-279.

Hayes LJ, O'Brien-Pallas L, Duffield C, et al. Nurse turnover: a literature review- an updat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7):887-905.

Hayes LJ, O’Brien-Pallas L, Duffield C, et al. Nurse turnover: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6;43(2):237-263.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9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interne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9. Available from: http://khna.or.kr/homd/pds.utilities.php.

Hwang KH, Yoo YS, Cho OH. The impact of career-focused nurses’

ego-resilience and career planning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7;24(3):284-291.

Joung SA, Park KY. Influence of experiencing verbal abuse, job stress and burnout on nurses’ turnover intention in hemodialysis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2):189-198, 2016.

Jung MR, Jeong E. Convergence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resilience to the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vita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6):305-314.

Kahn WA.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90;33(4):692-724.

Kim WH, Park JG, Kwon BR. Work Engagement in South Korea: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9-item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Psychological reports 2017;120(3):561-578.

Kim KJ, Yoo MS(2018).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work engagement on intention to remain of new graduate nurse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8(9), 459-465.

Kim YH, Choi JH, Kim KE. The impact of job overload, relationship with senior on nurses' intention to quit their jobs-mediating role of emotional exhau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372-381.

Knudsen HK, Ducharme LJ, Roman PM. Turnover inten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at the top’: adapting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to leaders of addiction treatment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09;14(1):84-95.

Lens W, Paixao MP, Herrera D. Instrumental motivation is extrinsic motivation: So what?. Psychologica Iss 50: Coimbra University Press; 2009, 21-40.

Liou SR. Nurses' intention to leave: Critically analyse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l.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9;17(1):92-99.

Maslach C, Leiter MP. The truth about burnout: how organizations cause personal stress and what to do about it. 1st ed. San Francisco, Calif.:

Jossey-Bass; 1997.

Maddi SR, Matthews MD, Kelly DR, Villarreal B, White M. The Role of Hardiness and Grit in Predict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of USMA Cadets.

Military Psychology 2012;24(1):19-28.

Mills MJ, Culbertson SS, Fullagar CJ.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Engagement: An Analysis of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2012;13(3):519-545.

MacKinnon DP, Lockwood CM, Hoffman JM, West SG, Sheets V.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ogical Methods 2002;7(1):83-104.

McDuff EM, Mueller CW. The ministry as an occupational labor market:

Intentions to leave an employer(church) versus intentions to leave a profession(ministry). Work and Occupations 2000;27(1):89-116.

Mobley WH.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 and Control.

Massachusetts: Addison-Wesley; 1982.

Moon SJ, Han SS. A predictive model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5):633-641.

O'Brien-Pallas L, Murphy GT, Shamian J, Li X, Hayes LJ. Impact and determinants of nurse turnover: a pan-Canadian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0;18(8):1073-1086.

OECD. Skills for Social progress: The Power of Social and Emotional Skills.

ParisL: OECD Publishing; 2015.

Pervin LA, John OP.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1999.

Price JL. The study of turnover. 1st ed.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1977.

Robbins SP, Judge TA. Organizational Behavior. 15th ed. Harlow, England:

Pearson; 2013.

Robertson-Kraft C, Duckworth AL. True grit: Trait-level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predicts effectiveness and retention among novice teachers. Teachers College Record 2014;116(3):1-27.

Schaufeli WB, Bakker A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4;25(3):293-315.

Schaufeli WB, Bakker AB, Salanova M.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with a short Questionnaire A Cross-National Stud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06;66(4):701-716.

Schaufeli WB, Salanova M, Gonazalez-Roma V, Bakker AB.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2002;3(1):71-92.

Shrout PE, Bolger N.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2002;7(4):

422-445.

Simpson MR. Engagement at work: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7):1012-1024.

Son SY, Choi JS. Effect of job embeddednes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2):180-187.

Spruce L. Bringing back the basics of perioperative nursing care. AORN Journal 2013;98(5):438-439.

Suzuki Y, Tamesue D, Asahi K, Ishikawa Y. Grit and Work engagement: A cross-Sectional Study. PLoS ONE 2015;10(9):1-1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8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