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사회 역량 (Community Capacity) 가. 개념과 유형

다. 건강생활실천정책에의 적용전략

2. 지역사회 역량 (Community Capacity) 가. 개념과 유형

지역사회 역량은 ‘지역사회의 건강결정요인을 다루기 위해 필요한 지 역사회와 구성원의 능력(Bopp, GermAnn, Bopp, Baugh Littlejohns &

Smith, 2000)’, ‘지역사회의 문제에 대응하고 장점을 살려 발전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역사회의 자원, 기술, 의지의 종합(Aspen Institute, 1996)’, ‘지역사회의 사회문제와 보건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 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의 특성(Goodman 등, 1998)’, ‘지역 사회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동적인 특성과 자원(Wendel 등, 2009)’에 해당한다. 연구에 따라 지역사회 역량의 정의와 구성영역은 부 분적으로 차이가 있지만(표 3 참조), 각 영역이 동일하게 일치하지는 않 더라도 어느 정도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다. Liberato 등(2011)은 지역 사회 역량의 정의와 영역을 탐색한 선행연구들을 검토, 분석하여 지역사 회 역량은 (1) 과정 또는 접근방법으로 정의되고 (2) 여러 영역, 특징의 집합체 개념이며 (3) 지역사회 역량의 정의에는 무엇을 위한 지역사회 역량인지의 목적과 결과가 명시된다고 종합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결과 를 기반으로 지역사회 역량의 세부영역을 학습기회와 기술개발, 자원동 원, 파트너십/연계, 리더십, 참여적 의사결정, 자산기반 접근법, 공동체의 식, 의사소통, 개발경로로 분류하였다.

〈표 2-3〉지역사회 역량의 영역 학습적·개방적 문화(culture of learning and openness) Bopp 등

주: Smith, Baugh Littlejohns & Roy, 2003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한 주요 지역사회 역량 영역들을 보다

제2장 건강생활실천정책 관련 사회적 영향요인 고찰43

○ 리더십: 리더십은 지역사회 건강증진 활동의 방향제시, 조직력, 참 여 장려, 유연성과 융통성, 집중력, 의사소통력, 큰 그림과 세부사항 을 동시에 볼 수 있는 능력, 다른 리더들과의 네트워크, 조정능력 등을 아우르는 영역이다. 기존의 리더십 역량만큼이나 새로운 리더 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시각과 능력도 리더십의 중요한 요소이다.

○ 기술: 기술 영역은 지역사회가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적 기획을 하 고 이와 관련된 대인 및 조직 차원 의사소통, 집단과정(group process)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법들을 포함한다. 문제해 결, 분석, 자원 획득과 활용, 의사소통, 갈등해소, 기획, 토론과 논 의 진행 등의 기술이 이 영역에 해당한다.

○ 자원: 지역사회 자원이란 지역사회의 내부와 외부의 유형 및 무형 (신뢰, 자신감, 협력, 참여 등)의 자원을 모두 일컫는 것으로서, 역량으로서의 자원은 이러한 자원들을 발굴하고 활용하고 공유하 는 능력을 말한다. 다만 지역사회가 외부의 자원에 전적으로 의존 하는 것은 지역사회 역량에 반하는 것이고, 외부자원을 발굴하여 지역사회의 지식과 기술, 결정으로 그 자원들을 활용하고 내부자 원과 연계할 수 있는 능력이 지역사회 역량으로서의 외부자원 활 용에 해당한다.

○ 네트워크, 협력: 기본적으로 지역사회는 사람들 간, 사람들로 구성 된 조직 간의 관계를 근간으로 하고 있고, 역량으로서의 사회적 관계란 지지적 상호작용, 협력적 의사결정, 협력과 연대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 상호호혜적 관계, 상부상조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 출을 의미한다.

○ 공동체 의식: 지역사회 구성원 간의 탄탄한 유대와 소속감이 바탕 이 되면 지역사회와 건강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지역사회의 문제가 나 또는 특정 일부만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사회 모두의 문제라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연대의식을 발휘하여 발전적인 노력을 만들 수 있고, 소속감을 통한 만족과 충족이 발전적인 선순환을 형성하게 된다.

○ 비판적 성찰: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기존의 생각이나 활동을 되돌 아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현 상황이나 문제점에 대해 원인, 영향요인 등을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능력, ‘왜?’라고 묻고 그에 대답을 찾는 과정에서 갈등이나 모순에 대한 변증법적 사고를 통 해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교훈을 얻고 발전적인 변화를 도모하게 된다.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이상의 지역사회 역량 영역들을 유형 별로 분류 하는 시도도 있어왔다. 유형 분류의 명칭이나 관점에 차이가 있더라도 기술/자원/능력의 수준과 동원력, 리더십, 사회적 관계의 특성과 관계의 확장, 의사소통, 비판적 성찰, 참여, 문제해결 능력, 조직 구조와 과정 등이 핵심 역량으로 설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2-4).

제2장 건강생활실천정책 관련 사회적 영향요인 고찰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