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의 해석과 적용

건강에 대한 사회적 영향요인, 즉 사회경제적 위치, 사회경제적 격차, 교육, 수입, 직업, 주거 등은 사회적 건강결정요인(social determinants of health)으로 종합된다. 세계보건기구를 위시하여 미국, 호주, 영국, 캐 나다 등 서구권에서는 건강형평성 향상과 건강증진의 지속가능성을 목표 로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간한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일련의 보고서들(“Solid Facts”,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Equity, social determinants, and public health programs” 등), 세계보건기구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세계대회(World Conference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2011 년 10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미국 NIH 산하 국립 소수계층 건강과 건강불평등 센터(National Institute on Minority Health and Health Disparities)의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격차와 건강불평등 관련 연구지원 프로그램인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계획(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itiative) 등은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이 건강증진 정책개발과 실행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관심을 반증한다.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은 국내에서도 건강형평성, 참여형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과 함께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영역이고, 이는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의 목적과도 바로 연결된다.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중 사회적 연결망, 사회적 소외, 시민참 여, 지역성과 다양성, 신뢰 등은 지역사회 역량, 사회적 자본의 틀에서도 활발한 국제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의 결과를 크게 (1)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2) 지역사회 역량, (3) 사회적 자본의 영역에서 정리하였다.

1.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가. 개념과 유형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은 개인과 집단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여건과 그러한 여건의 분포, 격차를 말한다(Marmot 등, 2008).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여건의 차이는 자원과 권력의 불균등 분포에 의해 발생하고,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에 의해 건강불평등이 발생한 다. 사회적 격차에 따른 건강의 격차, 즉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으면 건강 수준도 높은 현상은 부유국과 빈곤국, 부유층과 빈곤층이라는 양극단을 비교할 때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같은 직종 내에서도 직급이 낮을수 록 건강위험이 높아지는 등 사회 전반에 해당된다(Marmot, 2006). 이러 한 격차의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환경, 상황, 여 건 – 즉,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을 살펴보고 이해해야 한다,

건강생활실천의 입장에서 보면 사회적 건강결정요인은 ‘원인들의 원인 (Marmot, 2006)’, 다시 말해 근본원인, 또는 상위차원 원인에 해당한다 (그림 2-1). 식이, 신체활동, 스트레스 관리, 음주, 흡연 등의 건강관련 생활습관은 우연이나 취향에 의한 개인의 선택이라고만 볼 수 없는 것 이, 예를 들어 사람들이 염분 함량이 많은 반찬, 포화지방 함량이 많은 과자, 당분 함량이 많은 음료를 섭취하는 것은 식품과 외식 업계의 정책, 소비시장에서의 접근 가능성과 구매할 만한 가격, 유통과 공급 체계, 외 식과 가정식의 식문화와 유행, 식문화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와 인식, 매 체를 통한 광고에 의해 식이환경과 문화가 염분, 포화지방, 당분이 많은 식음료를 선택하기 쉽게 형성되어있기 때문인 것이다. 다시 말해, 사회 적 건강결정요인은 건강문제의 주요 원인인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근본원인, 상위차원 원인이다.

제2장 건강생활실천정책 관련 사회적 영향요인 고찰35

- 사회통합과 배제 (Social inclusion & social exclusion) - 취업과 직업 안정성 (Employment & job security)

주: Braveman, Egerter와 Williams, 2011; p.383

〈표 2-1〉사회적 건강결정요인

출 처 요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