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강신념의 자기효능감과 관련요인의 현황

건강신념의 변수중 자기효능감은 건강증진서비스이용에 직접적으로 많 은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이다. 이 절에서는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다 른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요인의 극복가능성과도 유의 한 관계가 있었다(표 3-10). 장애요인의 극복가능성은 운동실천, 주관적 건강 등과 관련성이 유의하게 있었다.

건강신념과 관련된 변수 중 삶과 죽음에 대한 운명론과 관련된 변수 만을 선별하여 보면 전체적으로 0에서 4점중 3에 가까운 응답이 많았고, 연령별, 성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건강과 질병에 대한 운 명론 관련 변수들은 자기 효능감 관련 변수들과 상관관계가 모두 유의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림 3-5).

제3장 50‧60대 성인의 건강신념77

〔그림 3-5〕삶과 죽음에 대한 운명론 연령별 응답현황

(단위 : 4점척도 점수)

주: 점수가 낮을수록 운명론자임.

〈표 3-10〉건강신념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요인의 극복간의 상관관계 1주일 동안

운동빈도 효능감 주관건강수준 장애요인극복

1주일 동안 운동빈도 1

효능감 0.074 1

주관건강수준 -0.094* 0.027 1

장애요인의 극복 0.121** 0.347 ** 0.111*** 1

주: *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2-tailed).

**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2-tailed).

성공적 노화,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과 건강신념의 관련성을 분석하였 다. 성공적 노화는 총 12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그림 3-6). 이 변수들중 중요도가 높은 변수는 경제적 안정, 신체적 움직임이 자유로운 것, 질병이 없는 것,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것, 행복한 상태 등의 변수

였다. 자녀들과 함께 사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연령이 낮을수 록 높았고, 연령이 높아지면서 중요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 변 수들은 자기효능감과도 긍정적인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는데, 독립적으로 사는 것에 대한 변수만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6〕성공적 노화에 관한 중요도 현황

(단위 : 4점척도 점수)

주) 점수분포 : 1 전혀 중요하지 않음 2. 중요하지 않음 3. 중요함 -4 매우 중요함

현재의 삶의 만족도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 마음 의 평화, 친구관계, 가족관례, 현재의 결혼, 자녀의 정서적 지원 등이 중 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여기서 성별, 연령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그림 3-7).

제3장 50‧60대 성인의 건강신념79

〔그림 3-7〕삶의 만족도 관련요인의 현황

(단위 : 4점척도 점수)

주) 점수분포 : 1 전혀 만족하지 않음 2. 만족하지 않음 3. 만족함 -4 매우 만족함

일반적인 건강관련 정보원에 대하여 신뢰하는 매체로는 일반광고, 보 건복지부와 같은 정부부처나 공공기관을 꼽았다. 그 외에 자신의 주치의, 친구 등이 중요한 정보원의 역할을 하였다. 연령층이 높을수록 친구, 주 치의로부터 듣는 정보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3-11).

〈표 3-11〉건강관련 정보원에 대한 신뢰정도

제3장 50‧60대 성인의 건강신념81

제3절 소결

건강신념모델은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정책이나 사업에 참여하는 데 장애요인을 분석하는 데 사용되며 예방적인 암검진 사업의 참여에 관련 된 개인의 내재적 요인을 분석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장에 서는 50대와 60대 서울시민의 건강검진과 관련된 건강신념과 관련된 변 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건강신념의 요인은 자기효능감, 심리적 효용 성, 부정적 역할수행, 기능적 효용성, 질병위협감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 다. 김영복(2003)의 연구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은 유방암 수검행위단계에 서 유지단계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건강신념의 요 소들은 요소들간의 관련성보다는 질병예방을 위한 개인의 행동변화에 영 향을 줄 수 있는 신념을 찾아내는 데 더 의미가 있다. 즉 건강신념의 변수들은 각각 독립적이라는 견해가 더 강한 편이다. 중요한 것은 건강 행동의 결과와의 관련성이다(Becker, 1974). 본 연구에서는 Factor 분 석결과에서는 인지된 위협감과 질병에 대한 운명론, 자기효능감의 요인 이 유의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건강검진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 등 다른 인지적 변수와의 관련성도 긍정적으로 유 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K I H A S

4장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