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별 평년대비 기상 분포도(27개 지점)

문서에서 KREI 북한농업동향 제24권 제3호 (페이지 108-154)

그림 1 월별 평균 기온 분포도

<7~9월 평균> <7월>

<8월> <9월>

평년보다 높음 평년과 비슷함 평년보다 낮음

※ 기온의 평년 비슷 범위: 평년평균±1σ 범위 내에 구간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2 월별 강수량 분포도

<7~9월 합계> <7월>

<8월> <9월>

평년보다 많음 평년과 비슷함 평년보다 적음

※ 강수량의 평년 비슷 범위: 평년강수량의 33~66퍼센타일에 해당하는 구간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2 2022년 7~9월 북한의 농업기후지대별 기상 개요

그림 3 서해안수양산이북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25.6 24.1 19.9 23.2 26.4 24.3 21.1 23.9 25.4 25.2 20.2 23.6 최고기온

(℃) 29.9 28.6 25.6 28.0 31.2 28.9 26.4 28.8 30.1 29.7 25.9 28.6 최저기온

(℃) 22.5 20.5 15.3 19.4 22.7 21.0 17.0 20.2 21.8 21.8 15.7 19.8 강수량

(㎜) 233.3 279.6 156.2 669.1 82.2 223.8 171.2 477.2 197.6 324.3 131.1 653.0 일사량

(MJ) 580.5 520.1 449.6 1550.2 641.0 527.2 456.1 1624.3 609.9 522.0 467.3 1599.2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4 수양산이남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25.9 24.8 21.1 23.9 26.8 25.0 21.9 24.6 25.4 25.8 21.2 24.1 최고기온

(℃) 30.1 28.5 26.4 28.3 31.1 29.3 26.6 29.0 29.3 29.8 26.0 28.4 최저기온

(℃) 22.9 21.9 16.6 20.5 23.3 21.8 18.0 21.0 22.2 22.6 17.0 20.6 강수량

(㎜) 374.4 289.8 174.0 838.2 65.3 195.5 132.9 393.7 178.0 357.0 133.3 668.3 일사량

(MJ) 573.7 496.7 455.3 1525.7 645.9 541.8 461.7 1649.4 584.6 522.8 463.5 1570.9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5 동해안남부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24.0 24.2 19.8 22.7 25.6 23.8 20.4 23.3 24.5 24.4 20.1 23.0 최고기온

(℃) 28.1 29.3 25.7 27.7 30.0 28.1 24.9 27.7 28.8 28.5 25.1 27.5 최저기온

(℃) 21.3 20.4 15.3 19.0 22.0 20.6 16.9 19.8 21.0 21.3 16.1 19.5 강수량

(㎜) 348.1 305.3 243.0 896.4 151.4 309.3 206.4 667.1 332.7 383.8 201.3 917.8 일사량

(MJ) 523.9 533.7 452.6 1510.2 635.4 518.7 420.6 1574.7 587.6 494.3 454.9 1536.8

그림 6 중부산간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24.6 23.1 18.4 22.0 25.6 22.9 19.4 22.6 24.4 23.9 18.5 22.3 최고기온

(℃) 29.4 28.1 25.2 27.6 31.2 28.2 25.4 28.3 29.5 28.8 24.9 27.7 최저기온

(℃) 21.0 19.2 13.1 17.8 20.8 18.9 14.7 18.1 20.2 20.2 13.5 18.0 강수량

(㎜) 293.6 405.6 202.5 901.7 106.1 203.1 174.0 483.2 261.7 370.2 132.3 764.2 일사량

(MJ) 576.1 521.5 465.7 1563.3 655.1 548.2 476.0 1679.3 615.2 525.5 472.9 1613.6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7 동해안북부냉해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21.7 22.8 18.7 21.1 24.1 22.6 19.5 22.1 22.2 22.7 18.8 21.2 최고기온

(℃) 24.6 27.1 23.8 25.2 27.2 26.3 23.7 25.7 25.9 26.7 23.9 25.5 최저기온

(℃) 19.9 19.2 14.6 17.9 21.5 19.1 15.5 18.7 19.5 19.8 14.2 17.8 강수량

(㎜) 316.0 199.7 108.1 623.8 106.5 393.0 70.8 570.3 104.0 239.7 115.8 459.5 일사량

(MJ) 481.7 536.7 439.3 1457.7 575.3 512.1 451.7 1539.1 580.4 496.1 449.7 1526.2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8 북부내륙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24.0 21.7 17.0 20.9 25.8 22.2 18.2 22.1 24.8 23.0 16.8 21.5 최고기온

(℃) 30.2 28.5 25.2 28.0 32.7 28.7 24.8 28.7 31.4 29.1 24.3 28.3 최저기온

(℃) 19.8 17.0 11.2 16.0 20.3 17.7 13.3 17.1 19.4 18.7 11.4 16.5 강수량

(㎜) 297.7 169.8 143.4 610.9 82.1 181.1 51.1 314.3 131.8 231.9 99.9 463.6 일사량

(MJ) 568.4 529.8 453.6 1551.8 647.6 528.0 451.8 1627.4 635.2 523.4 461.5 1620.1 자료: 기상청 및 국립농업과학원 자료를 활용하여 필자 작성

그림 9 북부고산지대

<지역 구분> <평균기온(℃)>

<강수량(㎜)> <일사량(MJ)>

기상 요소

2022년 2021년 최근 5년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7월 8월 9월 평균/

누적 평균기온

(℃) 5.5 9.7 14.9 10.0 4.6 9.3 14.5 9.5 4.0 10.7 15.2 10.0 최고기온

(℃) 13.2 17.3 20.3 16.9 11.7 16.0 21.2 16.3 10.9 18.1 22.3 17.1 최저기온

(℃) -1.5 3.0 10.5 4.0 -2.3 3.0 8.9 3.2 -2.9 3.7 9.0 3.3

강수량

(㎜) 28.9 77.2 200.6 306.7 30.2 94.7 130.5 255.4 35.1 91.7 81.2 208.0 일사량

(MJ) 614.4 682.9 568.4 1865.7 598.2 658.9 671.0 1928.1 595.3 679.3 673.5 1948.1

* 본 자료 가운데 기온 및 강수량은 기상청에서 제공되고 있는 북한 27개 관측 지점의 기상자료로 계산되었음. 단, 일사량은 관측값이 아니며, MT-CLIM 4.3(USA) 프로그 램에 의해 추정된 값으로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제공되었음.

* 평년은 1991~2020년을 의미하며, 최근 5년은 2017~2021년을 의미함.

* 27개 관측 지점은 다음과 같은 농업기후지대로 구분하였음.

농업기후지대 지역

서해안 수양산 이북지대 신의주, 구성, 안주, 평양, 남포, 사리원, 용연

수양산 이남지대 해주, 개성

동해안 남부지대 함흥, 원산, 장전

중부산간지대 수풍, 희천, 양덕, 신계, 평강

동해안 북부 냉해지대 선봉, 청진, 김책, 신포

북부 내륙지대 중강, 강계

북부 고산지대 삼지연, 혜산, 풍산, 장진

북한의 대외 교역 동향

북중 교역 동향

북중 교역 동향

1 최근 북중 교역 추이 및 개황

최근 북중 교역 추이

○ 북한의 대중국 전체 수출입 규모는 2013년에 정점을 기록한 이후 2017년 말 대북제재의 영향으로 급감한 뒤 2018~2019년 수입을 중심으로 다소 회복세를 보이는 듯했으나, 2020년 이후 코로나19로 교역이 중단 또는 재개됨에 따라 다시 급감한 뒤 소폭 반등함.

- 북한의 대중국 전체 수입액은 2013년 4분기 정점(10억 3,400만 달러)을 기록한 뒤 2017 년 4분기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2018~2019년 다소 회복세로 전환되는 듯했으나,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다시 급감한 뒤 2021년 2분기부터 제한적으로 교역이 재개 되면서 소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북한의 대중국 전체 수출액은 수입규모와 비슷하거나 약간 하회하다가 2017년 대북제재 실시 이후 크게 하락한 뒤 100만 달러 이하 수준에 머물렀으며, 2020년 코로나19로 국경 이 봉쇄되면서 백만 달러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1년 2분기부터 제한적으로 교역이 재개 됨에 따라 소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북한의 대중국 농림축산물 수출입 규모는 전체 수출입 추이와 대체로 유사한 양상을 보 임. 2017년 4분기 이후 2019년 4분기까지 농림축산물 수입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던 반면 농림축산물 수출은 급격히 축소되었고 2018년 2분기 이후 거의 실적이 없다가 2020년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교역이 중단 또는 일부 품목에 한해 이루어지면서 등 락세를 보였음.

- 북한의 대중국 농림축산물 수입액은 2017년 1분기 이후 계절성을 제외하고 상당한 폭의 증가세를 보이며 2019년 4분기에는 2억 5,691만 달러로 정점을 기록하였음. 그러나 2020 년 들어 코로나19 유입을 막기 위해 국경을 봉쇄하면서 수입 규모가 크게 하락하거나 전무

한 수준을 기록하다가 2021년 1분기 이후 국경 봉쇄가 일부 완화됨에 따라 수입이 이루어 지면서 점진적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

- 북한의 대중국 농림축산물 수출액은 2017년 4분기에 정점을 기록한 뒤 큰 폭으로 하락하 여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코로나19로 국경이 봉쇄되면서 2020년 4분기~ 2021년 1분 기에는 거의 수출이 이루어지지 않았음. 2021년 2분기를 기점으로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등락을 제외하고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22년 3분기에는 백만 달러를 상회함.

그림 1 북한의 대중국 교역 현황(2013년 1분기~2022년 3분기)

단위: 백만 달러

자료: 한국무역협회(http://www.kita.net, 검색일: 2022년 12월 8일).

2022년 3분기 북한의 대중국 교역 개황

○ 2022년 3분기 북한의 대중국 무역액은 2억 6,731만 400달러로,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 비 각각 85.8%, 123.5% 증가함.

- 2022년 3분기 북한의 대중국 수입액은 2억 2,135만 1,661달러로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 비 각각 67.7%, 133.1% 증가함. 주요 수입 품목은 고무타이어(HS CODE 4011), 대두유 (HS CODE 1507), 제조담배(HS CODE 2403), 시가(HS CODE 2402), 쌀(HS CODE 1006), 가발(HS CODE 6704), 탄산염(HS CODE 2836), 의약품(HS CODE 3004) 등임.

- 2022년 3분기 북한의 대중국 수출액은 4,595만 8,739달러로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각 각 285.4%, 86.6% 증가함. 주요 수출 품목은 텅스텐광(HS CODE 2611), 전기에너지(HS CODE 27161)), 페로실리콘(HS CODE 7202), 몰리브덴광(HS CODE 2613), 생사(HS CODE 5002), 플로트 유리(HS CODE 7005), 탄화규소(HS CODE 2849) 등임.

- 2022년 3분기 북한의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1억 7,539만 2,922달러로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6.1%, 149.4% 증가하였음. 2022년 5월 북한에서 코로나19 확진자 가 발생하며 국경 봉쇄를 재개하는 듯 했으나 빠르게 진압하여 7월부터 교역 규모가 확대 됐기 때문임.

○ 2022년 3분기 대중국 농림축산물 교역액은 2,776만 6,806달러로,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3%, 20.0% 감소함.

- 2022년 3분기 농림축산물 수입액은 2,619만 9,012달러로 전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4.1%, 13.2% 감소함. 주요 수입품으로는 쌀(HS CODE 1006), 사탕수수당(HS CODE 1701), 대두유와 그 분획물(HS CODE 1507), 대두(HS CODE 1201), 시가(HS CODE 2402), 제조 담배(HS CODE 2403), 밀가루(HS CODE 1101) 등임.

- 2022년 3분기 중국으로의 농림축산물 수출액은 156만 7,794달러로 5천만 달러를 약간 상회했던 전분기 대비 143.4% 증가하였으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65.6% 감소함. 주요 수 출품으로는 생사(HS CODE 5002), 견 웨이스트(HS CODE 5003), 기타 식물성 생산품 (HS CODE 1404), 기타 조제식료품(HS CODE 2106) 임.

표 1 북한의 대중국 농림축산물 교역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분류

2021년 2022년 3분기

증감률 (B/A) 1분기 2분기 3분기

(B) 4분기 합계 1분기 2분기 7월 8월 9월 3분기 (A) 10월

전체

무역액 17.6 48.2 119.6 133.8 319.2 196.9 143.9 72.7 90.3 104.3 267.3 153.9 123.5

수출 4.5 4.4 24.6 24.3 57.9 23.5 11.9 13.0 18.8 14.2 46.0 21.4 86.6

수입 13.0 43.8 95.0 109.5 261.3 173.4 132.0 59.7 71.5 90.1 221.4 132.4 133.1

수지 -8.5 -39.4 -70.3 -85.3 -203.4 -149.8 -120.0 -46.8 -52.8 -75.9 -175.4 -111.0 149.4

무역액 0.0 5.8 34.7 23.9 64.4 47.1 40.4 19.8 7.9 0.0 27.8 0.0 -20.0

농산물 0.0 0.5 4.5 1.4 6.4 5.6 0.6 1.6 0.0 0.0 1.6 0.0 -65.6

임산물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축산물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합계 0.0 0.5 4.5 1.4 6.4 5.6 0.6 1.6 0.0 0.0 1.6 0.0 -65.3

농산물 0.0 4.7 28.4 16.7 49.9 40.4 38.9 17.4 7.9 0.0 25.4 0.0 -10.8

임산물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축산물 0.0 0.6 1.8 5.8 8.2 1.0 0.9 0.8 0.0 0.0 0.8 0.0 -53.3

합계 0.0 5.3 30.2 22.5 58.1 41.4 39.8 18.3 7.9 0.0 26.2 0.0 -13.2

수지 0.0 -4.9 -25.7 -21.1 -51.7 -35.8 -39.1 -16.7 -7.9 0.0 -24.6 0.0 -4.1

비중

무역 0.0 12.1 29.0 17.9 20.2 24.8 28.1 27.3 8.8 0.0 10.4 0.0 -64.2

수출 0.0 10.9 18.3 5.7 11.0 26.2 5.4 12.1 0.0 0.0 3.4 0.0 -81.4

수입 0.0 12.2 31.8 20.6 22.2 24.6 30.1 30.6 11.1 0.0 11.8 0.0 -62.8

주: 1) 비중은 전체 무역/수출/수입액에서 농림축산물 무역/수출/수입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함.

2) 위의 수치 및 합계는 반올림한 것임.

3) 백만 달러 미만의 숫자를 반올림한 수치이므로 표에 나타난 수치들의 단순 합계와 실제 합계가 다를 수 있음.

자료: 한국무역협회(http://www.kita.net, 검색일: 2022년 12월 8일).

2 곡물 및 비료 수입 동향

곡물

○ 2022년 3분기 북한의 대중국 곡물 수입액은 1,007만 6,036달러로 전분기 대비 8.7%

감소하였으며, 수입이 전무했던 전년 동기 대비로는 171.9% 증가함.

- 곡물별 수입 비중(누적 금액 기준)으로 살펴보면 3분기에는 쌀 51.2%, 대두 38.4%, 밀가 루 10.5% 순으로 수입되었으며, 보리, 옥수수는 수입되지 않았음.

- 밀, 대두 수입 비중이 컸던 과거 대비 전체 수입에서 쌀 수입 비중이 51.2%로 전체 곡물 수 입의 과반을 넘기는 것은 이례적임.

표 2 북한의 대중국 곡물 수입

단위: 천 달러 품목

(HS 코드)

쌀(1006) 밀가루(1101) 보리(1107) 옥수수(1005) 대두(1201) 합계

금액 금액 금액 금액 금액 금액

2020년 1분기 589 12,703 175 317 0 13,784

2020년 2분기 0 21,097 314 44 0 21,455

2020년 3분기 0 1,676 241 0 0 1,917

2020년 4분기 0 0 0 0 0 0

2020년 합계 589 35,476 730 361 0 37,156

2021년 1분기 0 0 0 0 0 0

2021년 2분기 0 0 0 0 0 0

2021년 3분기 0 0 306 0 3,400 3,706

2021년 4분기 0 340 279 0 2,504 3,123

2021년 합계 0 340 585 0 5,904 6,829

2022년 1월 0 2,214 0 0 361 2,575

2022년 2월 0 1,536 174 0 0 1,710

2022년 3월 111 512 157 0 142 922

2022년 1분기 111 4,262 331 0 503 5,207

2022년 4월 393 3,731 206 0 0 4,330

2022년 5월 0 847 0 0 2,968 3,815

2022년 6월 0 2,886 0 0 0 2,886

2022년 2분기 393 7,464 206 0 2,968 11,031

2022년 7월 5,156 1,056 0 0 465 6,676

2022년 8월 0 0 0 0 3,400 3,400

2022년 9월 0 0 0 0 0 0

2022년 3분기 5,156 1,056 0 0 3,865 10,076

2022년 10월 7,303 895 116 0 0 8,314

2022년 소계 12,963 13,677 653 0 7,336 34,628

총계 13,552 49,493 1,968 361 13,240 78,613 주: 백만 달러 미만의 숫자를 반올림한 수치이므로 표에 나타난 수치들의 단순 합계와 실제 합계가 다를 수 있음.

비료

○ 2022년 3분기 북한의 대중국 비료 수입은 이루어지지 않았음.

- 오히려 7월과 9월 중국으로 칼륨비료를 각각 18만 9,000달러어치씩 수출함.

표 3 북한의 대중국 비료 수입

단위: 천 달러 품목

(HS 코드)

N(3102) P(3103) K(3104) 기타(3105) 합계

금액 금액 금액 금액 금액

2020년 1분기 150 0 0 1,046 1,196

2020년 2분기 2,520 0 0 663 3,183

2020년 3분기 1,020 0 0 50 1,070

2020년 4분기 0 0 0 0 0

2020년 합계 3,690 0 0 1,759 5,449

2021년 1분기 5,040 0 0 4,183 9,223

2021년 2분기 6,127 0 875 8,843 15,845

2021년 3분기 0 0 0 15 15

2021년 4분기 0 0 0 0 0

2021년 합계 11,167 0 875 13,040 25,082

2022년 1월 0 0 0 0 0

2022년 2월 1,961 0 0 0 1,961

2022년 3월 0 0 0 0 0

2022년 1분기 1,961 0 0 0 1,961

2022년 4월 2,757 0 0 0 2,757

2022년 5월 0 0 0 0 0

2022년 6월 0 0 0 0 0

2022년 2분기 2,757 0 0 0 2,757

2022년 7월 0 0 0 0 0

2022년 8월 0 0 0 0 0

2022년 9월 0 0 0 0 0

2022년 3분기 0 0 0 0 0

2022년 10월 697 0 0 0 697

2022년 소계 5,415 0 0 0 5,415

총계 20,272 0 875 14,800 35,947 주: 백만 달러 미만의 숫자를 반올림한 수치이므로 표에 나타난 수치들의 단순 합계와 실제 합계가 다를 수 있음.

자료: 한국무역협회(http://www.kita.net, 검색일: 2022년 12월 8일).

대북 지원 및 교류 협력 동향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 실적

대북 지원 및 교류 협력 보도 동향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 실적

표 1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 실적(1995.9~2022.12)

단위: 만 달러

구 분 프로젝트 목표

모금액 (이행 약속)

실적율

(%) 국가/단체/기구별 지원액(이행 약속) 1차

’95.9~’96.6 2,032 927 45.6 미국 222.5, 일본 50, EU 38 등 2차

’96.7~’97.3 4,364 3,439 78.8 EU 860, 미국 717, 일본 600, 한국 335 등 3차

’97.4~12 18,439 15,838 85.9 미국 4,537, EU 2,752, 일본 2,700, 한국 2,533 등

1998년 38,324 21,587 56.3 미국 17,185, 한국 1,087, EU 953, 덴마크 357, 캐나다 354, 노르웨이 304, 스웨덴 279, 호주 130 등

1999년 29,208 18,989 65.0 미국 16,070, EU 798, 스웨덴 383, 캐나다 340, 노르웨이 232, 호주 228, 덴마크 195, 핀란드 72 등

2000년 31,376 22,415 71.4

일본 9,568, 한국 5,381, 미국 2,923, 호주 699, EC 500,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421, 캐나다 383, 스웨덴 343, 이탈리아 322, 노르웨이 236 등

2001년 38,398 37,760 98.3

일본 10,489, 미국 10,270, 한국 6,872, 농협 1,274, Korean Welfare Foundation 740, 이탈리아 708, 굿네이버스 695,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617 등

2002년 24,684 36,085 146.2 WFP 9,932, 한국 8,200, 미분류 6,589, 미국 6,349, EC 1,553, 독일 470, 호주 342, 스웨덴 274, 노르웨이 274, 캐나다 273 등 2003년 22,937 18,288

(381) 81.4 미국 3,152, WFP 2,791, 한국 1,683, EC 1,631, Korean Church Federation 1,288, 러시아 1,000, 이탈리아 693, 독일 491 등 2004년 520,880 30,178 5.8 한국 11,774, 일본 4,670, EU 3,000, 미국 1,931, 스웨덴 1,154,

호주 824, 독일 800, 적십자사 662, 캐나다 532 등

2005년 - 4,617 - 유럽연합 1,740, 독일 777, 스웨덴 546, 이집트 388, 노르웨이 352, 핀란드 291, 네덜란드 132, 캐나다 132, 덴마크 RC 90 등

2006년 - 5,054

(1,050) - 한국 2,198(1,000), EU 1,103(50), 스웨덴 507, 노르웨이 403, 덴마크 157, 아일랜드 152, 독일 129, 이탈리아 106 등

2007년 - 11,698

(1,392) - 사적지원 3,027(1,172), 한국 2,338, 유엔중앙긴급대응기금 1,110, 호주 647(62), 스웨덴 628(73), EU 537, 독일 523, 노르웨이 479 등 2008년 - 5,670 - 한국 1,532, 사우디아라비아 848, 독일 561, 스위스 430, 스웨덴

415, 이탈리아 370, 유엔중앙긴급대응기금 340, 노르웨이 328 등 (계속)

문서에서 KREI 북한농업동향 제24권 제3호 (페이지 108-15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