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방안

국립공원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가 자연 자원이기 때문에 국립공원 관리 시 환경 적 지속가능한 측면이 중요하지만, 환경과 사회·경제적 측면이 불가분의 관계이 기 때문에 주민들의 삶도 함께 고려한 관리방안이 추가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관리방안을 검토하여 1)상위 항목과 중첩되거나 적합하지 않은 관리방 안의 제거 또는 수정, 2)혼란을 주는 용어는 명확하고 간결한 용어로 수정, 3) 필요한 관리방안의 수정 및 보완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관리방안에 대한 전문 가 검증 반영 결과 환경,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상위10개, 하위18개의 관리요 소, 41개의 관리방안이 제언되었다[표23]. 상위 10개 항목은 환경적 측면에서 건 물, 에너지, 폐기물, 교통, 경관, 생태적 환경이, 사회적 측면에서는 인구, 커뮤니티, 사회 적 혼합이, 경제적 측면에서는 소득이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관리 요소 관리방안

관리 요소 관리방안

지 정 일 내 용 면 적(㎢)

1964.06.24 사적 및 명승 제 4호로 지정

-1966.06.24 문화재 보호구역 지정 19.22㎢

1969.01.21 관광지 지정

-1970.03.24 건설부 고시 제 283호에 의해 6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 60㎢

1971.11.17 보은군 외속리면 상주시 화북면 일부를 포함 105㎢

1983.03.11 주변 지역 편입으로 국립공원 구역변경 106.18㎢

1984.12.27 화양동 도립공원, 쌍곡 등의 편입으로 국립공원 구역 확장 283.4㎢

2001.10.08 구적 오차 정정 275.109㎢

<표 24> 속리산 국립공원 연혁

제5장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방안의 적용:

속리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제1절 속리산 국립공원

도출된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방안을 연구 대상지에 실제 적용함으로써 지속가능 한 국립공원 관리방안의 적용 가능성과 타당성을 파악하고자 속리산 국립공원을 대상으 로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방안을 적용하였다.

속리산은 일찍이 해동팔경의 하나로‘작은 금강산’으로 불렸으며, 백두대간에 위치하 고 있는 산이다. 속리산은 1964년 6월 24일 사적 및 명승 제 5호로 지정이 되었고, 1969년 1월 21일 관광지로 지정되었다. 이후 1970년 3월 24일 건설부 고시 제 283 호에 의해 6번째로 국립공원에 지정되었다. 지정 당시 면적은 60㎢로 국립공원은 속리 산 일대 주변 지역에 그쳤으나, 1971년 보은군 외속리면 상주시 화북면 일부를 포함하 게 되면서 105㎢로 국립공원의 면적이 확대 되었고, 1983년과 1984년 두 차례에 걸쳐 주변 지역과 화양동 도립공원을 편입하게 되면서 경상북도 문경시, 상주시와 충청북도 괴산군, 보은군 일대를 포함하는 오늘날 속리산 국립공원 구역을 갖추게 되었다21). 현 재 속리산 국립공원의 면적은 274.766㎢22)이다[표24].

<그림 5> 속리산 국립공원 위치도 (출처:김수진)

속리산 국립공원은 한반도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생태축인 백두대간권역에 속한 7개 국립공원(조우, 2012) 중 한 가운데에 위치한 국립공원으로, 수많은 산봉, 맑은 계곡, 기암, 폭포가 조화를 이루고, 생태적 자원이 풍부하며, 2009년 IUCN 카테고리 Ⅱ로 등 급이 변경되면서 국제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은 국립공원이다. 또한 법주사23)를 비 롯한 속리산 국립공원 곳곳에 흩어진 사찰, 법주사 주변 소나무림24), 화양구곡, 선유동 구곡과 같은 구곡경관을 보유하는 등 역사·문화적으로도 자원이 풍부하다. 이처럼 본 대상지는 비교적 풍부한 생물과 역사·문화 자원을 지닌 지역으로, 국립공원의 지속가능 한 관리방안이 요구되는 국립공원이다.

제2절 속리산 국립공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

도출된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방안을 연구 대상지에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황 을 반영하여, 적용 가능성을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속리산 국립공원의 구체적인 현황 조사가 요구되었다. 속리산 국립공원의 현황 조사를 위해서 크게 문헌조사로 사전조사가 시행되었고, 현장조사는 대상지에 방문하여 사진촬영, 주민·탐방객과의 면담, 국립공원 관계자와의 설문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다음 속리산 국립공원의 현황을 고려하여, 도 출된 지속가능 국립공원 관리방안을 적용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