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상지 현황조사 방법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방안을 대상지에 적용하기 위해, 대상 지 현황조사를 시행하였다. 대상지 현황조사는 크게 사전조사와 현장조사로 이루어졌다.

사전조사는 현황조사를 진행하기 전에 문헌 고찰을 통해 대상지의 일반 현황과 특징을 파악하였고, 현황조사는 대상지로 선전된 속리산 국립공원 방문을 통해 일반적인 현황과 더불어, 앞서 도출한 지속가능한 관리방안 항목에 따른 속리산 국립공원의 현황을 파악 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조사는 크게 사진촬영과 인터뷰 및 설문을 중심으로 2012년 9 월 26~28일. 11월 29~30일, 2013년 1월 17~18일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표 10]. 마을 주민 30인, 탐방객 30인과의 인터뷰, 국립공원 관계자와의 설문과 인터뷰를

조사일시 대상

2012.9.26~28 마을주민 법주사지구, 화북지구, 화양동지구, 쌍곡지구 등 (30인) 2012 9.26~28 탐방객 법주사지구, 화북지구, 화양동지구, 쌍곡지구 등 (30인)

2012.11.29~30 국립공원 관계자

속리산 국립공원 관리소장 (1인) 자원보전과 직원 (1인) 탐방시설과 직원 (1인) 행정과 직원 (1인)

<표 11> 설문 및 인터뷰 개요

조사 일시 방법 내용

2012.9.10~21 사전

조사 문헌조사 문헌조사를 통해 대상지 일반 현황과 특징 파악 2012.9.26~28

현장 조사

사진촬영 대상지 전경 및 대상지 현황 촬영

2012.11.29~30 주민·탐방객 면담

대상지 내 주민을 대상으로 주민 참여 현황과 만족도 면담 대상지를 방문하는 탐방객을 대상으로 만족도 면담 등 2013.1.17.~18 국립공원 관계자

설문·인터뷰

대상지 국립공원 관리사무소 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관리 현황 조사

<표 10> 대상지 현황 조사

통해 속리산 국립공원의 특징과 관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현황조사를 종합 하여 속리산 국립공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 과정은 다 음과 같다[그림3].

연구 단계 연구 과정 연구 방법

서론

연구 목적

문헌연구

연구사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 요소 도출 이론고찰 및 문헌연구

지표 개발 연구 사례 분석

관리 요소 도출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방안 도출

선진 사례 분석

해외 사례 분석

전문가 검증

설문 및 면담

관리방안 도출

제5장 대상지 적용 속리산 국립공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 마련

문헌조사 사진촬영 주민·탐방객 면담

국립공원 관계자 설문·인터뷰

<그림 3> 연구과정

제4장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 체계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관리방안 항목들은 보편적으로 통용 될 수 있어야 하며, 개별 연구자의 판단 착오 및 오류를 가급적 줄이는 방안으로 구성하 였다. 관리체계를 구축하기에 앞서 지속가능성 지표 개발 연구 사례들을 통해 상위 항목 인 관리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선진 국립공원의 관리방안 사례를 통해 하위 항목에 해당하는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한편, 국내 국립공원의 실정에 적합한 관리방안을 도 출하기 위해 검증하는 단계가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표 개발 연구 사례 를 통해 관리 요소를 도출하고, 선진 사례 연구를 통해 관리방안을 도출한 후, 도출된 관리방안을 전문가 검증을 통해 검토 및 보완하여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 체계를 확 정하였다.

제1절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 요소 도출

지속가능성 지표는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량화된 도구로써15)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지속가능 관리 체계의 상위 항목에 해당하는 관리 요소와 의미가 부합된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유사 지속가능성 지표 사 례를 통해 국립공원의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향에 해당하는 관리 요소를 도출 하고자, 지표 개발 연구 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