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방 농정 거버넌스 영향요인 활성화2.2

문서에서 지방 농정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페이지 90-94)

지방 농정 거버넌스 영향요인으로 지방자치단체 농업인 농업인단체 민 간 요인 거버넌스 환경 등을 설정하고 관련자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들 요인 중에 어떤 요인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향요인 중 지자체장의 의지 농업인의 의지 공무원의 호의 적 태도 등은 상대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중앙정부의 지원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집단의 점수 합의 평균을 보면 농업인의 의지 지자체장의 의지 공무원의 호의적 태도 등으로 이론 평균 보다 높았다 그러나 농업인 참여 관련 교육 의회와 농협 관계 지자체의 인적 물적 자원 지원 농업인단체 간 협력 농업인단 체의 역량 등은 보통 수준이었다 중앙정부의 지원은 으로 가장 낮았다

문항별 응답범위 전혀 아니다 보통 매우 그렇다

거버넌스 영향요인의 활성화 정도에 대한 인식은 주요 주체별로 차이가 있었다 좋은 농정 거버넌스 인식에서와 마찬가지로 공무원들이 인식하는 영향요인 활성화 정도가 높았던 반면 농업인들이나 농업인단체 관계자는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방 농정 거버넌스 영향요인의 총점 평 균 이 공무원은 으로 농업인단체 관계자 농업인 보다 통 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영향요인별로 보면 공무원들은 모든 영향요인들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공무원들은 지자체 요인 지자체장의 의지 지자체의 인 적 물적 지원 공무원들의 호의적 태도 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

지방 농정 거버넌스 영향요인 개의 총점은 주요 주체별로 모두 내적합치도가 이상으로 총점을 전체 지방 농정 거버넌스 영향요인의 활성화 정도로 해석해도 큰 무리가 없었다

었다 하지만 농업인들의 경우 농업인들의 의지 지자체장의 의지가 다른 요인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공무원들만큼 높다고 인식하지는 않 았다 농업인단체 관계자들은 농업인단체의 역량과 농업인이 농정 참여 관 련 교육이 대체로 활성화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농업인들은 지자체의 인적 물적 자원 농업인단체 사무국 의 역량 농업인의 정치 참여 관련 교육 농업인단체 간의 협력 농업인단체와 의회 및 농협과의 호의적 관계 중앙정부의 지원 등의 활성화가 미흡하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시범지역과 사례지역 그리고 일반지역 간의 지방 농정 거버넌스 영향요 인의 활성화 정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 결과 활성화 정도에 대한 평가가 시범지역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사례지역과 일반지역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지방 농정 거버넌스 영향요인 활성화 정도의 총점 평균을 보면 시 범지역은 으로 일반지역 이나 사례지역 보다 통계적으로 유 의미하게 높았다

영향요인별로 시범지역의 응답자들은 지자체장의 의지 농업인의 의지 농업인단체 역량 농업인 참여 관련 교육 등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본 반면 사례지역이나 일반지역은 지자체장의 의지와 농업인 의지 외에 다른 영향 요인의 활성화에 대한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게 주었다

한편 농협과의 관계에 있어 일반지역에 비해 시범지역이 오히려 낮은 점 수를 받았는데 이는 사례조사에서도 일부 분석되었듯이 농어업회의소 기 능에 대한 농협의 중복성 인식으로 인한 갈등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농정 참여 관련 요인

문서에서 지방 농정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페이지 90-9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