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표면은 그 형태가 매우 복잡하여 일반적인 문장이나 숫 자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다. 지도는 복잡하고 다양한 지표면의 형태를 ‘그림’이라고 하는 정보 전달 매체를 이용하여, 알기 쉽게 표현해준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우리들은 실제로 어떤 지역에 직접 가보지 않아도 이들 지도를 통해 간접 적으로 그 지역의 지리적 특징들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다29). 지도는 보편 적인 현상들을 선택적으로 그리는 일반화, 상징적 기호(그림 기호와 추상 기 호)를 통한 추상화, 지표 특징 및 패턴에 유사하게 표현하는 실제 세계와의 동질 유사성, 상징화와 관련한 다양한 지도 언어를 포함하고 있어서, 매우 다 양한 종류의 지적 경험을 제공해주는 유용한 도구이다30).

특히 지도는 학생들에게 위치, 방향, 거리 등의 공간 개념, 분포 개념, 변 천 개념 등을 넓혀주며31), 지도를 통한 지리학습은 여행, 관광, 지역 개발 등 다양한 방면에서 실제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실체적인 지식을 다룰 수 있게 한다32).

교과서별 지도의 비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20). C 교과서가 12개 로 가장 많은 지도를 수록하고 있으며, B 교과서가 10개, A, E 교과서가 9개, D 교과서가 8개이다. F 교과서는 가장 적은 7개를 수록하여, 가장 많이 수록 한 C 교과서와 5개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6종 교과서의 단원별 지도 자료의 비중을 살펴보면, 관북지방­ 대륙의 관 문­관서 지방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교과서별로 살펴보면, A, C, E 교과 서는 관북 지방의 비중이 높으며, F, D 교과서는 대륙의 관문 부분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B 교과서는 각 단원의 비중이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29) 한국지리정보연구회(2000), 전게서, p. 325.

30) 교육부(1999), 전게서, p. 348.

31) 박경희(1974), 전게논문, p. 57.

32) 교육부(1999), 전게서, p. 348.

<표 20> 각 교과서의 단원별 지도의 비중

(단위 : 개) 교과서

단원 A B C D E F 계 평균

1. 대륙의 관문 3 3 2 4 3 3 18 3.0

2. 관서 지방 2 3 4 2 2 2 15 2.5

3. 관북지방 4 3 5 2 4 2 20 3.3

단원 정리 0 1 1 0 0 0 2 0.3

총계 9 10 12 8 9 7 55 9.2

주 : 총계와 비중이 높은 부분은 굵은 글씨로 처리함

지도 자료의 특징을 교과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교과서는 학생 활동에서 지도를 이용한 탐구 문제를 많이 제시하여, 지리적인 기능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B 교과서는 학생 활동 부분에서 백지도를 이용하여 문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학습 마무리 부분에서는 학습한 중요 내용을 지도를 이용하여 정리함으로써 학생들의 지리적인 감각을 향상시키는데 도움 을 주고 있다.

C 교과서는 백지도를 이용하여 중요한 내용을 채워넣게 함으로써, 지리적 인 위치에 대한 감각을 향상시켜주고 있다.

D 교과서는 다른 교과서와는 달리 단원 개요 부분에 북부 지방 지도를 제 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능 영역의 학습 목표를 서술하고 있다. 지도를 이용 한 단원 안내는 공부할 지역에 대한 지리적인 지식을 미리 상기시킴으로써 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라

고 생각된다.

E 교과서는 관서 지방과 관북 지방의 중단원 마무리에서 주요 도시의 위 치를 백지도를 이용해서 확인시키고 있다.

F 교과서는 지도 밑에 지도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지도를 이용한 간단한 문제를 제시하고 있어서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고 있으며, 지도 활 용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지도 수록에 있어서는 축척 표시의 여부가 중요하게 취급되는데, 6종 교과 서에 나와있는 대부분의 지도에 축척이 표시되어 있다. 6종 교과서 모두에서 다루고 있는 지도로는 북한의 행정 구역 지도, 북부 지방 지형도, 관서 지방 광공업 지도, 관북 지방 광공업 지도를 들 수 있다.

문제점으로는, A 교과서는 90쪽에서 북부 지방의 지형 특색을 색깔을 이 용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색깔에 따른 높낮이에 대한 표시를 안하고 있다. 북 동쪽이 높은 산지라는 것을 학생들에게 확실하게 인식시키려면 F 교과서처럼 색깔에 따른 높낮이가 지도상에 표시되어야 할 것이다.

F 교과서는 지도에 쓰여있는 글자가 너무 작아서 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는 문제가 있으며, 104쪽에 나와있는 ‘북부 지방의 지형’ 지도의 경우, 강의 명칭이 바탕색으로 깔려 있는 평야 지역의 색깔과 비슷한 색으로 되어 있으 며, 글씨가 너무 희미하여 글자 파악이 잘 안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 결하기 위해서는 지도의 크기가 좀 더 커져야 할 것이며, 글자의 선명도를 높이고, 바탕색과 글자색을 적절하게 배치해야 할 것이다.

현재 사회 교과서에는 보조 교재로서 사회과부도가 같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도와 도표 등의 경우 사회과부도에 나와있는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하는 것 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실제 수업을 해보면, 교과서의 내용과 관련된 지도나 도표가 사회과부도에 없는 경우가 많아, 두 학습 교재간의 연계성이 많이 떨 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업에 필요한 지도의 경우 교과서 자체에 반 드시 수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Ⅲ. <북부 지방의 생활> 단원의 바람직한 내용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