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론

3. 연구 동향

우리 나라의 지리교육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양과 질의 측면에서 큰 진 전이 있었으며, 특히 일곱 번에 걸친 교육과정 개편은 지리교과의 위상을 유 지, 발전시키고 현장의 지리교육을 개선하는데 기여한 바가 매우 컸다3).

지리교육의 연구 영역은 지리교육 총론(성격, 문제점, 개선방안), 지리교육

3) 남상준(1996), “지리 교육 반세기의 회고와 전망 : 연구업적을 중심으로,”「대한지리학회 지」, 제31권, p. 317.

의 목적․목표, 지리교육의 내용, 지리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지리교육의 교재, 지리교육의 평가, 지리교육의 심리, 지리교육사 및 동향4) 등으로 구분 하여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지리교과서에 관한 분석은 대체로 교육과정이 바뀌고 새로운 교과서 가 개발되어 적용되는 시기를 중심으로 하여 많은 연구물들이 산출되었다.

그 결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물들은 새로운 교과서의 내용을 이해시키 고,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교사와 학생의 수업 전개에 도움을 주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차기 교육과정 교과서 집필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면에 서 의의가 크며, 반드시 필요한 연구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하여 사회 교과서 내용 분석과 관련된 선행 연 구의 동향을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대한 분석은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내용 분석에 비해 연구가 미진한 편이나, 교육과정이 바뀌는 시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별 로 신․구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분석한 경우와, 단일 교육과정 내에서 교 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교육과정이 바뀌는 시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별로 신․구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분석한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5).

4) 상게서, pp. 317∼318.

5) 박경희(1974),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내용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홍양주(1985), “중학교 사회1, 2 지리 내용의 분석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 육대학원.

임영묵(1993), “중학교 사회교과서 한국지리단원 내용분석 - 1975년∼1991년 편찬 교과서 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장현정(1995), “중학교 「사회Ⅰ」교과서의 비교분석 - 한국지리 부분을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박경희는 1974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사회 1 교과서의 내용에 대해 분석하여, 교과서의 내용이 교육과정이 요구한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정선되었는가 하는 것과 교과서가 갖고 있는 문제점 및 구 교과서에 비해 달 라진 점이 있는지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1974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중 학교 사회 1 교과서의 내용이 구 교과서에 비해 별다른 발전이 없었음을 지 적하였다.

홍양주는 중학교 사회 1, 2 교과서에 들어있는 지리 내용에 대한 연구에서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사회과 지리 내용의 목표를 분석하였으며, 제4차 교육 과정에 의해 편찬된 교과서와 제3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교과서의 구성 과 내용을 비교하였다.

임영묵은 1975∼1991년에 편찬된 중학교 사회 1, 3학년 교과서의 한국지리 단원을 비교 분석하여, 중학교 사회과교육 내용 중 지리교육 내용이 시대 변 천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봤으며,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조건 과 사회과 교과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분석하여 사회과 교과서의 저자가 교과서 저술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장현정은 중학교「사회Ⅰ」교과서의 한국지리 부분에 대해 신․구 교과서 를 본문과 본문의 지수 K, 그리고 학습 자료와 학습 문제를 채택하여 정량적 으로 비교․분석했으며, 신․구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및 전개가 중학생의 인 지 발달단계에 적합한 내용인지를 정성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류은정은 중학교 사회과에 나타난 환경관련 내용분석 연구에서 제6차 교 육과정에서 시행되고 있는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내의 환경교육에 관련된 목 표와 내용의 분석을 통해 중학교 사회과에서의 환경교육 실시 정도와 앞으로 의 개선점과 강화방안을 모색하였다.

단일 교육과정 내에서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경우로는 이양우와 류정

류은정(1998), “중학교 사회과에 나타난 환경 관련 내용 분석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 여자 대학교 교육대학원.

하․이중우를 들 수 있다6).

이양우는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과 교육과정 목표를 분석하고 중학교 사회 1 교과서를 개념, 용어, 지명, 지도, 사진, 통계 도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류정하․이중우는 제5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사회 1 교과서의 단원Ⅱ (향토의 생활)과 단원Ⅲ(우리 나라 각 지방의 생활)의 내용을 개념을 중심으 로 분석하고, 평가문항을 통하여 지리 학습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도를 조 사하여 그 결과를 학습지도의 기본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상과 같이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교과서 분석이 주로 지리 개념과 지리 용어, 지명 분석에 중점을 두 고 행해지고 있으며, 교육과정간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교과서 저술과 교육과정 개편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은 교육과정별로 신․구 교과서를 비교․분석 한 경우와 단일 교육과정 내에서 교과서를 분석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교육과정별로 신․구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것에 대해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7).

6) 이양우(1976), “중학교 사회Ⅰ 교과서의 사회과 지리 교육적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희 대 학교 대학원.

류정하․이중우(1995), “지리학습 기본개념의 분석-중학교 사회 1 국토지리 단원을 중심으 로-,” 「지리교육」, 제8권,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pp. 39∼79.

7) 민흥기(1978), “고등학교 지리교육의 자연지리 내용변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 대학원.

김동수(1992),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자연단원의 내용분석-제2차, 제5차 교육과정 시기 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옥경재(1997),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 육대학원.

이승환(1998), “지리교과서의 그래픽 자료의 비교 연구-제 5․6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민흥기는 고등학교 지리교육의 자연 지리 내용 변천에 관한 연구에서, 각 교육과정에 따르는 교과서의 자연 단원 내용에 대해 교과서의 단원 구성과 내용별 용어의 취급 현황, 삽화, 지도, 도표 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해방 이후 의 자연지리 교육 내용의 변천과정을 파악하였다.

김동수는 제2차와 5차 교육과정 시기의 고등학교 교과서의 내용을 자연단 원에 한정하여 비교․분석하여 두 시기 교과서들의 문제점과 특징을 비교하 였다. 여기에서 김동수는 제2차 교육과정 시기에 비해 제5차 교육과정 시기 에 지리 교육의 비중과 자연단원의 비중이 증대되었으며, 내용구성이 체계적 으로 변화했음은 물론 특히 학습 자료 중에서 지도의 사용 비중이 증가했음 을 지적하였다.

옥경재는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에서 고등학교 지리 과 교육과정의 변천에 대해 개화기에서부터 6차 교육과정시기까지 살펴보고 있으며, 제5차와 제6차 교육과정 한국지리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한국지리 중심의 사회과 통합방안을 모색하였다. 여기에서 그는 고등학교 수 준에 가장 적합한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은 ‘한국지리 중심의 간학문적 통합’이 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밖에 이승환은 제5차와 6차 교육과정 한국지리 교과서의 그래픽자료를 사진, 도표, 지도, 그림 등으로 분류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별로 그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는 교과서 내의 자료야말로 가장 손쉽고 실질적으로 활 용될 수 있는 자료인 만큼 계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앞으로도 교과서 내용과 그래픽 자료와의 상관 관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분석은 지 리 교과서에 취급된 사진, 도표, 지도 등이 학습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시키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협우(1999), “고등학교 제4차․5차․6차 교육과정의 지리교과서 내용의 비교분석-자연환경 과 생활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고 학습 내용의 체계화와 사고력의 신장을 유도하기 위한 학습의 보조자료로 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때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이협우는 고등학교 지리교과서의 <자연환경과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제4 차와 5차, 6차 교육과정에 걸쳐 교과서의 구성 체계와 비중, 주요 용어, 내용 별 취급 현황, 학습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여기에서 그는 교육과정 변천에 따라 학습자료의 1면 당 취급 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학습 내용 의 이해를 돕고 사고의 체계화 능력을 길러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하 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단일 교육과정 내에서 교과서간 내용을 분석한 경우로는 다음을 들 수 있

단일 교육과정 내에서 교과서간 내용을 분석한 경우로는 다음을 들 수 있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