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증가・감소와 극대・극소

4 D 4

x y -1 y 2 y

f '(x) - 0 + 0 +

f(x) ↘ ↗ ↗

x y -1 y 1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01

02

03

04

8

05

06

37

07

08

09

0 8

본문045`~`046

증가・감소와 극대・극소

유형`08. 증가・감소와 극대・극소

23 05

`f(x)=-x‹ +6x¤ -9x+a에서

`f`'(x)=-3x¤ +12x-9=-3(x-1)(x-3)

`f`'(x)=0에서 x=1 또는 x=3

즉, 함수 `f(x)는 x=1에서 극소이고 x=3에서 극대이다.

극댓값이 10이므로

`f(3)=-27+54-27+a=10

∴ a=10

따라서 구하는 극솟값은

`f(1)=-1+6-9+10=6

06

`f(x)=x‹ +ax¤ -9x+10에서 f`'(x)=3x¤ +2ax-9

함수 `f(x)가 x=1에서 극솟값을 가지므로

`f`'(1)=3+2a-9=0

∴ a=3

즉, `f`'(x)=3x¤ +6x-9=3(x+3)(x-1)이므로

`f`'(x)=0에서 x=-3 또는 x=1

따라서 `f(x)는 x=-3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f(-3)=-27+27+27+10=37

07

f(x)=x‹ +ax¤ +bx-3에서 f '(x)=3x¤ +2ax+b 함수 f(x)가 x=0, x=2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f '(0)=b=0 f '(2)=12+4a=0

∴ a=-3

따라서 f(x)=x‹ -3x¤ -3이므로 극솟값은 f(2)=8-12-3=-7

08

f(x)=2x‹ +ax¤ +bx에서 f '(x)=6x¤ +2ax+b

주어진 그림에서 함수 f(x)가 x=-2, x=1에서 극값을 가지 므로

f '(-2)=24-4a+b=0

∴ 4a-b=24 yy`㉠

f '(1)=6+2a+b=0

∴ 2a+b=-6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3, b=-12 따라서 f(x)=2x‹ +3x¤ -12x이므로 극댓값은

f(-2)=-16+12+24=20

09

f(x)=ax‹ -3x+b에서 f '(x)=3ax¤ -3

함수 f(x)가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가지므로 f '(x)=0이 서 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야 한다.

즉,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D=36a>0 ∴ a>0

x y 1 y 3 y

f '(x) - 0 + 0

-f(x) ↘ 극소 ↗ 극대 ↘

f '(x)=3ax¤ -3=3a {x+ } {x- }이므로 f '(x)=0에서 x=- 또는 x=

즉, f(x)는 x=- 에서 극대이고 x= 에서 극소이다.

극댓값이 5이므로

f {- }= +b=5 yy`㉠

극솟값이 3이므로

f { }=- +b=3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4, b=4

따라서 f(x)=4x‹ -3x+4, f '(x)=12x¤ -3이므로 f(2)-f '(-2)=30-45=-15

10

삼차함수 f(x)=x‹ +ax¤ +2ax가 구간 (-¶, ¶)에서 증가 하려면 f '(x)æ0이어야 한다.

즉, f '(x)=3x¤ +2ax+2aæ0에서 이차방정식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 -6a…0, a(a-6)…0

∴ 0…a…6

따라서 실수 a의 최댓값 M=6, 최솟값 m=0이므로 M-m=6

11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삼차함수 f(x)의 역함수가 존재하려 면 f(x)가 극값을 갖지 않고 항상 증가해야 하므로 모든 실수 x 에 대하여 f '(x)æ0이어야 한다.

즉, f(x)=;3!;x‹ -ax¤ +3ax에서 f '(x)=x¤ -2ax+3aæ0 f '(x)=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a¤ -3a…0, a(a-3)…0

∴ 0…a…3

따라서 상수 a의 최댓값은 3이다.

D 4 D

4

2 'a 1

'a

2 'a 1 'a

1 'a 1

'a

1 'a 1

'a

1 'a 1

'a

x y - y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1 'a 1

'a

x y -3 y 1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10

11

12

3

13

14

25

15

16

17

22

18

14

19

20

21

22

16

23

24

25

본문046`~`048

12

f(x)=;3!;x‹ -9x+3에서 f '(x)=x¤ -9=(x+3)(x-3) f '(x)=0에서 x=-3 또는 x=3

즉, 함수 f(x)가 감소하는 구간은 [-3, 3]이고, 함수 f(x)가 구 간 (-a, a)에서 감소하므로 -aæ-3, a…3이다.

따라서 a…3이므로 a의 최댓값은 3이다.

13

함수 f(x)가 구간 (-¶, 0)에서 감소하고 구간 (2, ¶)에서 증가하기 위한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이 x=-1에서 x축에 접해야 한다.

f '(x)=(x+1)(x-a)(x-b) (a<b)라 하면 a=-1

a=-(a+b), b=ab이므로 a¤ +b¤ =a¤ +2ab+b¤ +(ab)¤

a¤ +b¤=1-2b+2b¤

a¤ +b¤=2 {b-;2!;}¤ +;2!;

따라서 a¤ +b¤ 은 b=;2!;일 때 최솟값을 갖고, b=2일 때 최댓값을 가지므로 m=;2!;, M=5

∴ M+m=:¡2¡:

14

f(x)=x‹ -9x¤ +24x+5에서

f '(x)=3x¤ -18x+24=3(x¤ -6x+8)=3(x-2)(x-4) f '(x)=0에서 x=2 또는 x=4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므로 구하는 극댓값은 f(2)=8-36+48+5=25

15

f(x)=x‹ -3x+a에서

f '(x)=3x¤ -3=3(x+1)(x-1) f '(x)=0에서 x=-1 또는 x=1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이 7이므로 f(-1)=-1+3+a=7

∴ a=5

16

f(x)=x‹ -ax+6에서 f'(x)=3x¤ -a 함수 f(x)가 x=1에서 극소이므로 f '(1)=3-a=0

∴ a=3

y

O -1

2 x

y=f '(x)

x y -3 y 3 y

f '(x) + 0 - 0 +

f(x) ↗ ↘ ↗

x y 2 y 4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17

f(x)=2x‹ -12x¤ +ax-4에서 f '(x)=6x¤ -24x+a 함수 f(x)가 x=1에서 극댓값 M을 가지므로

f '(1)=6-24+a=0 ∴ a=18 즉, f(x)=2x‹ -12x¤ +18x-4이므로 M=f(1)=2-12+18-4=4

∴ a+M=18+4=22

18

f(x)=(x-1)¤ (x-4)+a=(x¤ -2x+1)(x-4)+a에서 f '(x)=(2x-2)(x-4)+(x¤ -2x+1)

=3x¤ -12x+9=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이 10이므로 f(3)=4_(-1)+a=10

∴ a=14

19

f(x)=x‹ -3ax¤ +3(a¤ -1)x에서 f'(x)=3x¤ -6ax+3(a¤ -1)

f'(x)=0에서 3x¤ -6ax+3(a¤ -1)=0 3(x-a+1)(x-a-1)=0

x=a-1또는 x=a+1

함수 f(x)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함수 f(x)는 x=a-1에서 극댓값을 가진다.

함수 f(x)의 극댓값이 4이므로 f(a-1)=4이다. 즉, (a-1)‹ -3a(a-1)¤ +3(a¤ -1)(a-1)=4 a‹ -3a-2=0, (a-2)(a+1)¤ =0

a=-1또는 a=2

a=-1일 때 f(x)=x‹ +3x¤

f(-2)=4>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킨다.

¤a=2일 때

f(x)=x‹ -6x¤ +9x

f(-2)=-50<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에서 f(x)=x‹ +3x¤

∴ f(-1)=(-1)‹ +3_(-1)¤ =2

20

f(x)=x‹ -3x¤ +a에서 f '(x)=3x¤ -6x=3x(x-2) f '(x)=0에서 x=0 또는 x=2

즉, 함수 f(x)는 x=0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f(0)=a 함수 f(x)는 x=2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x y 1 y 3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x y -1 y 1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x y a-1 y a+1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x y 0 y 2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유형`08. 증가・감소와 극대・극소

25

f(2)=8-12+a=a-4 모든 극값의 곱이 -4이므로 a(a-4)=-4, a¤ -4a+4=0 (a-2)¤ =0 ∴ a=2

21

f '(x)=-4x‹ +16a¤ x

=-4x(x¤ -4a¤ )

=-4x(x+2a)(x-2a)

이므로 함수 f(x)는 x=2a와 x=-2a에서 극댓값을 갖는다.

즉, b+(2-2b)=2a+(-2a)=0이므로 b=2 또, b(2-2b)=2a_(-2a)이므로

-4=-4a¤ ∴ a=1 (∵ a>0)

∴ a+b=1+2=3

22

`g(x)=(x‹ +2)`f(x)에서 `g`'(x)=3x¤ `f(x)+(x‹ +2)f`'(x) 함수 g(x)가 x=1에서 극솟값 24를 가지므로

g(1)=3`f(1)=24 ∴ f(1)=8

g '(1)=3`f(1)+3`f`'(1)=0 ∴ `f`'(1)=-8

∴ `f(1)-f`'(1)=16

23

`g(x)=f(x)-kx에서 g '(x)=f '(x)-k=x¤ -1-k 함수 g(x)가 x=-3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g '(-3)=9-1-k=0, 8-k=0

∴ k=8

24

f(x)= 에서

a>0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즉, 함수 f(x)의 극댓값은 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a=0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즉, 함수 f(x)의 극댓값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a<0일 때, 함수 y=f(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3

-y

O x

y=f(x) y

O x

y=f(x) ' 3

- ' a

y

O

x y=f(x) a(3x-x‹ ) (`x<0)

x‹ -ax (`xæ0)

즉, x<0일 때 극댓값이 존재하므로

f '(x)=a(3-3x¤ )=3a(1-x)(1+x)

f '(x)=0에서 x=-1 (`∵ x<0)

x=-1일 때의 극댓값이 5이므로

f(-1)=-2a=5 ∴ a=-;2%;

, ¤, ‹에서 f(x)=

∴ f(2)=8+5=13

25

y=f(x)g(x)에서 y '=f '(x)g(x)+f(x)g '(x)

즉, 함수 y=f(x)g(x)는 x=c에서 극댓값을 갖고,

a<x<b와 d<x<e에서 y'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변하므로 극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p<q이므로 a<p<b이고 d<q<e이다.

26

f(x)=x‹ -6x¤ -36x+7에서

f '(x)=3x¤ -12x-36=3(x¤ -4x-12)=3(x+2)(x-6) f(x)가 감소하는 구간에서 f '(x)…0이므로

3(x+2)(x-6)…0 ∴ -2…x…6 즉, a=-2, b=6이므로

f(-2)=-8-24+72+7=47, f '(6)=0

∴ f(a)+ f '(b)=f(-2)+f '(6)=47

27

`f(x)=-x‹ +6x¤ +ax-1이 극값을 갖지 않으려면 `f`'(x)=0 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가져야 한다.

즉, `f`'(x)=-3x¤ +12x+a=0의 판별식을 D라 하면

=36+3a…0 ∴ a…-12

28

임의의 두 실수 x¡, x™에 대하여 x¡<x™일 때, f(x¡)<f(x™)를 만족시키는 구간에서 `f(x)는 증가하므로 f '(x)æ0이어야 한다.

즉, f(x)=-;3!;x‹ -3x¤ +7x-11에서 f '(x)=-x¤ -6x+7=-(x+7)(x-1)

f '(x)æ0에서 (x+7)(x-1)…0 ∴ -7…x…1 따라서 이 구간에 속하는 정수의 개수는 9이다.

D 4

-;2%;(3x-x‹ ) (`x<0) x‹ +;2%;x (`xæ0) (

{ 9

xabcde

f '(x)g(x) - - - 0 + 0 - 0 + + + f(x)g '(x) - 0 + + + 0 - - - 0 +

y ' - - + + 0 - - +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본문049`~`050

33

f(x)=x‹ -6x¤ +a라 하면 f '(x)=3x¤ -12x=3x(x-4) f '(x)=0에서 x=0 또는 x=4

즉, f(x)는 x=0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f(0)=a x=4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f(4)=64-96+a=a-32

극댓값과 극솟값의 부호가 반대이고, 절댓값이 같으므로 극댓값 과 극솟값의 합은 0이다.

따라서 a+(a-32)=0이므로 a=16

34

f(x)=x‹ +ax¤ +bx+c에서 f '(x)=3x¤ +2ax+b 함수 f(x)가 x=1, x=3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f '(1)=3+2a+b=0 yy`㉠

f '(3)=27+6a+b=0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9

한편, 극댓값이 극솟값의 3배이므로 f(1)=3 f(3)

1+a+b+c=3(27+9a+3b+c), 4+c=3c

∴ c=2

따라서 f(x)=x‹ -6x¤ +9x+2이므로 극댓값은 f(1)=1-6+9+2=6

35

원점을 지나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1인 사차함수를 f(x)=x› +ax‹ +bx¤ +cx(`a, b, c는 상수)로 놓으면 f '(x)=4x‹ +3ax¤ +2bx+c

조건 ㈎에서 f(2+x)=f(2-x)이므로 y=f(x)의 그래프는 직선 x=2에 대하여 대칭이다.

또 조건 ㈏에서 x=3에서 극소이므로 x=1에서 극소이고, x=2 에서 극대이다.

즉, f '(x)=0의 해가 x=1 또는 x=2 또는 x=3이므로 4x‹ +3ax¤ +2bx+c=4(x-1)(x-2)(x-3)

=4x‹ -24x¤ +44x-24

∴ a=-8, b=22, c=-24

따라서 f(x)=x› -8x‹ +22x¤ -24x이므로 극댓값은 f(2)=16-64+88-48=-8

36

g'(x)=f(x)+xf'(x)이므로 ㄱ. f(1)+g'(1)=f'(1)<0 (거짓) ㄴ. g(2)=2f(2)=2_(-2)=-4<0

g'(2)=f(2)+2f'(2)=-2+2_0=-2<0

∴ g(2)g'(2)>0 (참) ㄷ. f(3)=0

f '(3)>0이므로

g'(3)=f(3)+3f'(3)=0+3_f'(3)>0

∴ f(3)+g'(3)>0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29

f(x)=x‹ -9x¤ +24x+a에서 f '(x)=3x¤ -18x+24

=3(x-2)(x-4) f '(x)=0에서 x=2 또는 x=4

따라서 함수 f(x)는 x=2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이 24이므로 f(2)=8-36+48+a=24

∴ a=4

30

f(x)=x‹ -3x+1에서

f '(x)=3x¤ -3=3(x+1)(x-1) f '(x)=0에서 x=-1 또는 x=1

즉,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f(-1)=-1+3+1=3

x=1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f(1)=1-3+1=-1

따라서 극대가 되는 점의 좌표는 (-1, 3), 극소가 되는 점의 좌 표는 (1, -1)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2¤ +(-4)¤ ='2å0=2'5

31

f(x)=x‹ -5x¤ +ax-b에서 f '(x)=3x¤ -10x+a

함수 f(x)가 x=1에서 극값 2를 가지므로 f '(1)=3-10+a=0 ∴ a=7 f(1)=1-5+7-b=2 ∴ b=1

∴ ab=7

32

``f(x)=x‹ +ax¤ +bx+1에서

`f`'(x)=3x¤ +2ax+b

함수 `f(x)의 감소하는 구간이 [-1, 1]이므로 부등식 `f`'(x)…0 의 해가 -1…x…1이어야 한다.

3x¤ +2ax+b=3(x+1)(x-1)=3x¤ -3

∴ a=0, b=-3

즉, `f(x)=x‹ -3x+1이므로

`f`'(x)=3x¤ -3=3(x+1)(x-1) f '(x)=0에서 x=-1 또는 x=1

따라서 함수 `f(x)는 x=-1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M=f(-1)=-1+3+1=3

x=1에서 극소이므로 극솟값은 m=f(1)=1-3+1=-1

∴ M+m=3+(-1)=2

x y -1 y 1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x y 0 y 4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x y -1 y 1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x y 2 y 4 y

f '(x) + 0 - 0 +

f(x) ↗ 극대 ↘ 극소 ↗

유형`09. 함수의 최대・최소

27 05

f(x)=-x‹ +3x¤ +a에서

f '(x)=-3x¤ +6x=-3x(x-2) f '(x)=0에서 x=0 또는 x=2

따라서 닫힌구간 [-2, 2]에서 함수 f(x)는 x=0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f(0)=a=3

x=-2일 때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f(-2)=a+20=23

06

f(x)=x‹ +ax¤ +bx+1에서 f '(x)=3x¤ +2ax+b 함수 f(x)가 x=3에서 극솟값 1을 가지므로

f '(3)=27+6a+b=0 yy`㉠

f(3)=27+9a+3b+1=1

∴ 9+3a+b=0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6, b=9

즉, f(x)=x‹ -6x¤ +9x+1이므로 f '(x)=3x¤ -12x+9=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따라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f(1)=5

07

f(x)=x‹ -3x+5에서

f '(x)=3x¤ -3=3(x+1)(x-1) f '(x)=0에서 x=-1 또는 x=1

따라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f(1)=3

08

f(x)=x‹ -3x¤ -9x+8에서

f '(x)=3x¤ -6x-9=3(x+1)(x-3) f '(x)=0에서 x=-1 또는 x=3

01

f(x)=2x‹ -6x+4에서

f '(x)=6x¤ -6=6(x+1)(x-1) f '(x)=0에서 x=-1 또는 x=1

따라서 함수 f(x)는 0…x…2에서 x=2일 때, 최댓값 M=f(2)=8 x=1일 때, 최솟값 m=f(1)=0

∴ M+m=8

02

f(x)=-x‹ +3x+3에서

f '(x)=-3x¤ +3=-3(x+1)(x-1) f '(x)=0에서 x=-1 또는 x=1

따라서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의 최댓값은 f(1)=5, 최솟값은 f(2)=1이다.

∴ M-m=5-1=4

03

f(x)=x› -2x¤ +2에서

f '(x)=4x‹ -4x=4x(x+1)(x-1) f '(x)=0에서 x=-1 또는 x=0 또는 x=1

따라서 닫힌구간 [0, 2]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f(1)=1, 최댓 값은 f(2)=10이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11이다.

04

f(x)=2x‹ -3x¤ +a에서 f '(x)=6x¤ -6x=6x(x-1) f '(x)=0에서 x=0 또는 x=1

따라서 닫힌구간 [-1, 1]에서 함수 f(x)의 최솟값은 a-5이므로 a-5=5

∴ a=10

x 0 y 1 y 2

f '(x) - 0 +

f(x) 408

x 0 y 1 y 2

f '(x) + 0

-f(x) 351

x 0 y 1 y 2

f '(x) 0 - 0 +

f(x) 2110

x -1 y 0 y 1

f '(x) + 0 - 0

f(x) a-5aa-1

x -2 y 0 y 2

f '(x) - 0 + 0

f(x) a+20aa+4

x -1 y 1 y 3

f '(x) + 0 - 0

f(x) -1551

x -1 y 1 y 3

f '(x) 0 - 0 +

f(x) 7 ↘ 323

x -2 y -1 y 0

f '(x) + 0

-f(x) 6 ↗ 138

01

02

03

04

05

06

0 9

본문053

관련 문서